kgma2024 ×
검색결과2건
경제

발등 불 떨어진 박정원 회장, 알짜 회사 얼마나 내놓을까?

경영 리더십 시험대에 오른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이 핵심 자산을 내놓는다. ‘허리’ 두산중공업을 살리고 그룹의 경영 정상화를 위한 고강도 자구안의 일환이다. 두산그룹은 지난 13일 KDB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 등이 포함된 채권단에 자회사 매각 등을 포함한 자구안을 제시했다. 여기에는 알짜 기업인 두산솔루스와 세계 기술력 1위를 자랑하는 두산중공업의 담수화 사업부의 매각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료전지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두산퓨얼셀의 매각도 거론되고 있다. 두산 측은 “대주주의 책임 경영을 이행하기 위해 뼈를 깎는 자세로 매각 또는 유동화 가능한 모든 자산에 대해 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두산은 두산중공업의 유동성 위기로 국책은행에서 1조원을 수혈받는다. 이 같은 지원을 받기 위해 경영 정상화 실행 계획이 담긴 자구안을 제시했다. 전기차용 배터리의 핵심 부품 ‘전지박’을 생산하는 두산솔루스의 매각 방안이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두산솔루스가 매각되면 8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확보할 수 있을 전망이다. 또 두산퓨얼셀을 매각하면 3800억원 규모의 자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두산솔루스는 두산(13.94%)과 박씨 오너가 지분(33.58%)이 50%에 가깝다. 박정원 회장도 5.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두산솔루스가 매각되면 오너일가가 두산중공업 회생을 위해 지분으로 사재를 출연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하지만 대주주의 책임 경영에 대한 질책도 이어지고 있다. 보통 극한 유동성 위기를 겪으면 오너가에서 사재 출연으로 극복 의지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고 조양호 회장과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도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유동성 위기에 각 400억원, 300억원의 사재를 출연했다. 재계 관계자는 “두산의 경우 오래전부터 위기설이 나왔는데, 오너가의 특별한 움직임이 없었다”고 말했다. 두산중공업은 차입금이 4조9000억원에 달한다. 국책은행에서 1조원을 받는다고 해도 한참 부족하다.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것만 4조2000억원에 달한다. 오는 27일 만기인 외화공모사채 6000억원을 수출입은행이 대출로 전환해준다고 해도 여전히 부족하다. 두산으로서는 알짜 회사들을 최대한 매각해야 경영 정상화의 기틀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두산 측은 “재무구조 개선 계획의 성실한 이행을 통해 두산중공업 경영 정상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며 "채권단에 제출한 재무구조 개선계획은 향후 채권단과의 협의 및 이사회 결의 등을 거쳐 최종 확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수출입은행은 두산이 제시한 자구안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 만약 그룹이 강조한 대주주의 뼈를 깎는 자세가 보이지 않는다면 두산중공업의 재무구조 개선은 더욱 험난해질 전망이다.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 빠진 두산은 박 회장이 아끼는 두산건설 매각과 인력 구조조정 확대 등을 포함시켰을 가능성도 있다. 또 두산중공업 자회사인 두산인프라코어와 손자회사인 두산밥캣을 분리해 지배구조를 개선한다는 내용이 포함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04.17 07:00
경제

박용곤 두산그룹 명예회장 별세…향년 87세

박용곤 두산그룹 명예회장이 지난 3일 저녁 향년 87세로 별세했다. 박 명예회장은 1932년 고 박두병 두산그룹 초대회장의 6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서울 경동고를 졸업했고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해군에 자원 입대해 활약했다. 군 제대 이후 미국 워싱턴대에서 경영학을 공부했다. 귀국한 뒤 1960년 한국산업은행에 공채로 입사해 사회생활을 시작했다.1963년 동양맥주 평사원으로 두산그룹에 들어온 뒤 한양식품 대표·동양맥주 대표·두산산업 대표 등을 거쳐 1981년 두산그룹 회장에 올랐다. 두산그룹 회장 재임 시 고인은 국내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연봉제를 도입하고 대단위 팀제를 시행하는 등 선진적인 경영을 적극 도입했다. 1994년에는 직원들에게 유럽 배낭여행 기회를 제공했고, 1996년에는 토요 격주 휴무 제도를 시작했다. 또 여름휴가와 별도로 리프레시 휴가를 실시했다. 부단한 혁신을 시도했던 고인은 창업 100주년을 한 해 앞둔 1995년 경영 위기 타개를 위해 당시 주력이었던 식음료 비중을 낮추면서 유사 업종을 통폐합하는 조치를 단행, 33개에 이르렀던 계열사 수를 20개 사로 재편했다. 고인은 인화를 중심에 두고 인재를 중시한 경영으로 ‘글로벌 두산’의 기틀을 닦은 것으로 평가받는다.가정에서나 직장에서 모든 결정의 중심에 있었지만, 좀처럼 먼저 입을 열지 않았고 상대의 말을 끝까지 경청하고서 나서야 자신의 뜻을 짧고 간결하게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적 결단의 순간에도 실무진의 의견에 먼저 귀를 기울였고, 다 듣고 나서야 방향을 정했다고 한다.아울러 고인은 한번 일을 맡기면 상대를 신뢰하고 오래도록 지켜보는 ‘믿음의 경영’을 실천했다. 이에 두산 직원들은 “세간의 평가보다 사람의 진심을 믿었고, 다른 이의 의견을 먼저 듣고 존중하던 ‘침묵의 거인’이셨으며, 주변의 모든 사람을 넉넉하게 품어 주는 ‘큰 어른’이셨다”고 말한다. 고인의 유족으로는 아들 정원(두산그룹 회장) 지원(두산중공업 회장) 딸 혜원(두산매거진 부회장)씨 등 2남 1녀가 있다. 빈소는 5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차리며, 장례는 가족장으로 치른다. 발인과 영결식은 오는 7일이며, 장지는 경기 광주시 탄벌동 선영이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tbc.co.kr 2019.03.04 15:38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