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자동차

휘발유·경유 '가격역전' 심화, 디젤차 운전자 한숨 깊어진다

디젤차 운전자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값싼 '서민의 기름'으로 인식됐던 경유 가격이 휘발유보다 비싼 '가격 역전' 현상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어서다. 업계에서는 전동화 열풍에 가까스로 명맥을 이어 가던 디젤차 시장의 '호흡기'가 떨어지고 있다는 말까지 나온다. 30일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에 따르면 이날 9시 기준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와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L당 각각 1660.81원, 1866.73원을 각각 기록했다. 경유가 휘발유보다 205.92원 비싸게 판매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유는 휘발유보다 싸게 판매됐다. 산업용으로 널리 사용돼 휘발유보다 세금이 낮게 매겨지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1월까지만 해도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1635.22원으로 경유(1453.53원)보다 180원가량 비쌌다. 그러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유럽을 중심으로 경유 공급이 부족해졌고, 이에 지난 5월 11일 경유 가격(1947.59원)이 휘발유 가격(1946.11원)을 추월했다. 국내 경유 가격이 휘발유 가격을 넘어선 것은 2008년 6월 이후 약 14년 만이다. 이후엔 등락을 반복하다 6월 13일부터 이날까지 4개월 넘게 경유가 휘발유보다 비싼 가격 역전 현상이 지속하고 있다. 이번 가격 역전 현상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경유 수급난이 해소되지 않고 있어서다. 유럽은 경유를 연료로 쓰는 디젤 차량이 많은데 코로나19 대유행 여파로 이동이 줄자 현지 정유업체들이 경유 생산을 줄였다. 여기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경유 수급난이 가중된 것이다. 정유업계는 당분간 역전 현상 해소가 어렵다고 보고 있다. 경유는 난방유로도 쓰이는데, 겨울이 다가오면서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디젤차 운전자들의 부담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디젤차 운전자 A 씨는 “최근 기름을 넣을 때마다 높아진 경유 가격에 깜짝깜짝 놀란다”며 “최대한 짧은 거리는 걸어 다니고, 아니면(거리가 멀면) 지하철·버스 등 대중교통을 타고 다닌다”고 하소연했다. 업계에서는 치솟는 경유 가격에 전 세계적인 친환경 흐름까지 겹치며 경유를 사용하는 디젤차의 미래가 점점 불투명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디젤차 등록 대수는 급감하는 추세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디젤차는 총 24만6674대가 등록됐다. 전년 동기 대비 27%나 줄어든 수치다. 같은 기간 전기차가 11만9841대로 73%가량 늘어난 것과 대조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전체적으로 차 판매량이 줄었는데 그중 디젤차의 판매량이 가장 많이 감소했다”며 “유가 상승으로 인해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으나 디젤차의 경우 환경 문제도 있다 보니 친환경 차량인 전기차나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눈을 돌리는 운전자들이 많아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10.31 07:00
연예

엔진큐어, 신제품 '엔진큐어 프리미엄' 출시

엔진규어가 신제품 '엔진큐어 프리미엄'을 선보인다고 30일 밝혔다엔진큐어 프리미엄은 신개념 프리미엄 엔진복원첨가제다. 포장부터 용기 내용물이 완전히 바뀐 2018년 신제품으로 기존 제품에 비해 고급화 전략을 실현한 것이 특징이다.승용차, 버스, 대형트럭, 소형선박, 농기계, 오토바이, 중소형 발전기 등 모든 내연기관의 엔진에 사용이 가능하다.자동차 엔진내부는 흡입, 압축, 폭발, 배기가 순환되는 가혹한 환경으로 사용빈도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소음, 진동, 매연, 연비하락 등 다양한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한다.엔진 내부의 마모와 흠집으로 인해 출력이 떨어지고 소음이 발생하며 운전자들은 적잖은 스트레스를 받기 시작한다.신제품은 엔진 내부의 흠집들을 메워주고 메워진 실린더 금속표면을 매끄럽게 코팅을 해줘 오히려 새 차 엔진 이상으로 만들어준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회사 관계자는 "사용해본 고객들은 일단 진동이 상당히 감소됐다고 한다"며 "특히 디젤차 고객들은 엔진큐어 제품을 사용하고 나서 디젤 특유의 덜덜거림이 현격히 줄었다며 만족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이 관계자는 엔진큐어 프리미엄 제품 사용으로 진동이 줄면서 소음도 많이 감소가 됐다는 의견도 많았다고 덧붙였다.안민구 기자 an.mingu@jtbc.co.kr 2018.04.30 11:15
경제

‘어떤 모델이 좋을까?’ 차량 교체를 위한 팁

어떤 모델이 좋을까?’국내의 대기업에 근무하는 K모(38) 과장은 올해로 운전 경력 5년차에 접어들었다. 입사 후 3년 만에 구입한 소형차는 출퇴근 외에 야외 나들이 등으로 10만㎞ 가까이 달려왔다. K과장은 차량의 노후화에 자녀들의 성장으로 인해 좀 더 큰 차로 바꾸기로 했으나 새로운 고민이 시작됐다. 막상 떠오르는 모델이 없기 때문이다. 3000만원 내외의 예산만 결정했을 뿐이다. K과장같은 30~40대 직장인에게 승용차는 출퇴근·업무·레저 등 다양해진 현대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 된 지 이미 오래다. 이에 맞춰 각 메이커들은 다양해진 소비자의 기호에 맞춰 성능·기능·디자인 개선에 심혈을 기울이며 경쟁적으로 새로운 모델을 내놓고 있다. 그래서인지 국내 운전자들이 차량을 교체하는 시기도 짧아지고 있다. 최근 국내 자동차 전문 사이트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국내 운전자들이 차량을 바꾸는 주기는 평균 3년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년 이상 운전한 경력자 가운데에는 5대 이상 차량을 교체한 경우는 50%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렇다면 어떤 차로 바꿀까. K과장과 같은 30~40대 운전자의 자동차 구입은 소형차에서 출발, 중형차로 옮겨가는 패턴을 보인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기면서 좀 더 편안한 승차감, 과시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차량의 종류와 크기로 신분을 판단하는 우리나라의 독특한 자동차 문화도 ‘좀 더 큰 차’에 대한 선호도 상승에 한몫하고 있다. 차량 교체 방향은 크게 국산차·SUV·수입차 등 세 가지로 나뉜다.우선 배기량 2000㏄ 미만의 국산 중형 승용차를 선택하는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다. 국산 중형 승용차는 과거와 달리 엔진 성능이 크게 향상됐을 뿐 아니라 승차감·각종 편의사양 등이 소형차에 비해 월등히 뛰어나다. 이 때문에 배럴당 100달러라는 ‘살인적인’ 고유가 시대를 맞은 올해에도 중형차의 약진이 돋보인다. 현대자동차의 소나타가 내수 승용차 전체 판매 순위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르노삼성자동차의 SM5(7위), GM대우의 토스카(9위) 등도 꾸준한 판매고를 보이고 있다. 이들 국내 중형차의 ‘빅3’가 국내 승용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에 육박한다. 두번째는 중소형 SUV(스포츠유틸리타차량). 도심보다 아웃도어를 즐기는 소비자들이 선호한다. 초기 구입 비용이 다소 부담스럽지만 디젤차량 특유의 육중함과 터프함이 이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탓이다. 게다가 승용차에 크게 뒤지지 않는 승차감도 SUV의 꾸준한 인기 비결로 꼽힌다. 최근 경유값 인상으로 판매가 주춤하는 편이지만 아웃도어 마니아에게는 여전한 ‘드림카’이다.나만의 스타일을 추구하는 소비자는 수입차를 선호한다. 수입차 업계는 최근 2000만~3000만원대의 중저가 모델을 경쟁적으로 출시하면서 이같은 분위기에 부채질하고 있다. 대표적 모델인 혼다의 시빅2.0은 2990만원이며, SUV 모델인 CR-V(2WD)는 3090만원(이상 VAT 포함)이다. 박상언 기자 2008.04.02 10:42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