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5건
연예

[서지영 기자의 랜드ing] '서울은 무조건 100대 1 이상 찍는다?' 미친 청약 열풍

올해 들어 서울에서 분양하는 아파트의 청약 경쟁률이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또 한 번 역대 최고 경쟁률을 돌파하면서 '로또 청약'에 몰리는 수요도 폭발하는 모양새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가 급등하고, 당분간 추가 분양 물량이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감이 지속해 향후에도 비슷한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감정원은 서울 은평구 'DMC SK뷰 아이파크 포레'(수색 13구역 재개발)가 1순위 청약에서 110가구 모집에 3만7430명이 신청해 평균 340.3대 1의 경쟁률로 모든 주택형이 청약을 마감했다고 지난 19일 밝혔다. 주택형별 최고 경쟁률은 전용면적 102㎡(1976.8대 1)에서 나왔다. 전용 84㎡B(1101.7대 1)와59㎡A(1053.5대 1)도 네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했다. 공급 물량이 가장 많았던 신혼부부 특별공급에는 1만500명이 접수해 평균 308.8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 단지 일반분양가는 3.3㎡당 평균 1992만원이다. 지난달 말 시행된 상한제 전 입주자 모집공고 승인 신청으로 상한제 적용을 피할 수 있었다. 인근 시세보다 4억~5억원가량 싸게 분양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덕분에 분양가가 9억원을 넘기지 않아 중도금 대출을 받을 수 있어서 인기가 더욱 있었다. DMC SK뷰 아이파크 포레 결과가 나오자 분양업계는 술렁였다. 종전까지 서울에서 최고 청약 경쟁률을 기록한 단지는 2016년 10월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5차를 재건축해 분양한 '아크로리버뷰'(306.6대 1)였다. DMC SK뷰 아이파크 포레는 올해 서울에서 가장 높은 평균 청약률(168.1대 1)을 보인 서울 강남구 대치동 '대치 푸르지오 써밋'(대치 구마을 1지구 재건축)의 2배가 넘는 경쟁률을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올해 평균 청약 경쟁률이 100대 1을 초과하는 단지가 속출하고 있다. 마곡지구9단지(146.8대 1), DMC센트럴자이(128.7대 1), 호반써밋목동(128.1대 1), 르엘신반포(124.8대 1), 고덕강일8단지(124.2대 1), 길음역롯데캐슬트윈골드(119.6대 1), 르엘신반포파크애비뉴(114.3대 1), 고덕강일14단지(109.6대 1) 등 10개 단지가 청약 경쟁률이 100대 1을 넘긴 바 있다. 서울 청약 경쟁률은 꾸준하게 높아지고 있다.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에 따르면 지난해 1분기 서울 청약 평균 경쟁률은 13.7대 1 정도였지만, 올해 1분기에는 124.7대 1까지 경쟁률이 치솟았다. 올해 2분기 청약 평균 경쟁률은 64.9대 1, 19일까지 집계된 3분기 평균 경쟁률은 54.5대 1로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가 시행되고 HUG의 분양가 통제에 대한 수요자의 기대감이 큰 상황에서 생애 최초 특별 공급과 3기 신도시 물량 등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도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0.08.24 07:01
경제

대치푸르지오써밋 168.1대 1...올 들어 최고 청약 경쟁률

10일 한국감정원 청약홈에 따르면 대치 푸르지오 써밋은 이날 1순위 해당지역 청약에서 106가구 모집에 1만7820명이 몰렸다. 지난달 29일부터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으로 당분간 강남권에서 분양 물량이 나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수요가 대거 몰린 것으로 보인다. 경쟁률은 평균 168.1대 1을 기록하며 올해 서울에서 분양한 단지 가운데 가장 높았다. 또 마곡지구9단지(146.8대 1)와 호반써밋목동(128.1대 1) 등에 이어 올해 서울에서 8번째 세 자릿수 청약률을 보였다. 최고 경쟁률은 1가구 모집에 848명이 신청한 전용면적 101㎡A(848.0대 1)에서 나왔다. 전용 △59㎡B(427.7대 1) △102㎡A(257.9대 1) △117㎡A(257.0대 1) △129㎡A(245.0대 1) 등도 100대 1이 넘는 경쟁률을 기록했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구마을 1지구를 재건축하는 이 단지는 지하 3층∼지상 18층, 9개 동, 총 489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구마을 재건축 1∼3지구 중 가장 큰 규모로, 대우건설의 하이엔드 브랜드인 푸르지오써밋이 적용됐다. 3.3㎡당 평균 분양가는 4751만원이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0.08.11 08:15
경제

[랜드is] 아파트 청약 광풍의 이면…현금 부자들의 '줍줍'

"돈은 어떻게든 당겨야죠. 일단 청약이 되는 게 중요하지 않겠어요?" 올해 9월 결혼을 앞둔 A씨(41∙회사원)는 지난 5월 대림산업이 진행한 서울 성동구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 무순위 청약에 도전했다. 자신 말고도 결혼을 앞둔 여자친구에게도 청약을 권했다. 그는 "내가 아는 지인 중 상당수가 청약에 참여했다. 다들 카톡으로 '너는 안 했냐'고 묻는다"며 열기를 전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단 3가구 무순위 청약에 무려 26만4625명이 몰렸다. 그런데 아크로서울포레스트는 가장 분양가가 낮은 주택 유형인 전용면적 97㎡B도 17억4100만원에 달한다. 은행권 대출이 어려울뿐더러 아직 신혼집을 장만하지 못한 A씨가 한 번에 감당하기에는 상당한 액수로 보였다. A씨는 이렇게 말했다. "청약만 되면 부모님 돈을 끌어모아서라도 감당해야죠. 2년 뒤에 되팔면 수십 억원 차익을 볼 텐데요." 로또 청약 광풍 서울 등 수도권의 청약 시장이 날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21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11일까지 2020년 서울의 아파트 평균 청약경쟁률은 99.3대 1로 100대 1에 육박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집계가 시작된 지난 2000년 이후 가장 높은 경쟁률이었다. 서울만의 사정은 아니다. 같은 기간 수도권 아파트의 평균 청약경쟁률은 40.7대 1을 기록하면서 지방 평균 청약경쟁률인 18.3대 1과 비교해 2배 이상 높았다. 수도권 아파트의 평균 청약경쟁률이 지방을 앞지른 것은 2010년 이후 올해가 처음이었다. 청약 시장 과열은 시세보다 저렴하게 아파트를 장만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서울에서 가장 치열한 경쟁을 기록한 '마곡지구9단지'의 경쟁률은 무려 146.8대 1에 달했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공급하는 이 단지는 분양주택과 국민임대·장기전세 가구 등 총 1529가구로 구성됐다. 84㎡ 최고가가 7억원을 넘지 않아 주변 시세 대비 반값 수준에 그쳤다. 10년간 전매가 금지되지만 뜨거운 인기를 누린 비결이다. GS건설의 '과천제이드자이'도 인기가 높았다. 경기도 과천지식정보타운 첫 공공분양 아파트로 1순위 청약에만 2만5000여 명이 몰렸다. 평균분양가가 3.3㎡당 2195만원으로 주변 시세에 비해 반값수준이어서 수요가 몰렸다. 청약통장 가입자가 급증하는 건 이상한 일이 아니다. 한국감정원의 청약홈 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전국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는 2450만5569명으로 4월 말(2432만8888명) 대비 17만6681명 늘었다. 특히 서울 지역 청약 통장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지난 5월 말 서울지역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는 599만8595명으로 4월 말(597만1446명)보다 2만7149명 증가했다. 서울 지역 증가 폭도 지난 4월(2만3212명) 수치를 훌쩍 뛰어넘어 연중 최대치를 찍었다. 부동산114 측은 "기존 주택 가격이 단기간에 많이 올라서 매수하기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또 8월부터 전매가 제한되고,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주택에 대한 최대 5년 거주가 의무화가 실현될 수 있어서 청약 열기가 더욱 과열 양상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문턱 높은 당첨…3040에는 남의 일? 하지만 청약을 통한 30~40대의 당첨 가능성은 극히 낮다. 보통 청약가점 50점은 부양 가족 수 2명(3인 가족)을 기준으로 무주택기간 10년, 청약통장 가입 기간 11년을 유지해야 도달할 수 있는 점수라고 본다.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감정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5월까지 전국 청약 당첨자들의 평균 가점(전용 85㎡이상 추첨제, 미달주택형 제외)은 50.87점이었다. 당첨자들의 평균 가점은 50점을 상회한다. 수요가 많은 서울 지역의 평균가점은 61.38점이었다. 청약통장 가입 기간 만점(15년)에 무주택 기한 10년을 채우고 4인 가족을 둔 30대가 받을 수 있는 최고 가점 57점을 훌쩍 넘은 것이다. 서울 인기 지역의 청약 가점은 '신의 영역'이라고 불릴 정도로 비현실적이다. 지난 5월 분양한 동작구 흑석동 '흑석리버파크자이'는 청약 가점 만점(84점)자가 등장했다. 한 달 앞선 4월 분양한 서초구 잠원동 '르엘신반포'의 청약 가점은 최고 74점, 최저 62점으로 나타났다. 결혼 적령기가 갈수록 늦어지고 있고 출산률은 낮아지는 가운데 3040 수요자들의 청약당첨은 사실상 어려운 점수다. 청약을 통해 내 집 마련이 어렵다고 판단한 젊은 층은 아파트 매매에 직접 나서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2030세대의 매매거래 건수는 6만7578건으로 전체 연령대(24만3243건)의 27.78%였다. 한창 내 집을 마련하는 시기인 40대의 매매거래 건수(6만8246건)와 얼마 차이가 나지 않는다. 또한 50대의 매매거래 건수(5만381건)는 앞선다. 특히 서울의 경우 147%로 2030세대의 아파트 매입이 활발했다. 못 먹어도 '고'…부자들의 줍줍 현상 현금 부자들의 무순위 청약 '줍줍' 현상은 비현실적인 청약 당첨에 대한 또 다른 부작용으로 풀이된다. 무순위 청약이란 일반분양 당첨자 계약일 이후에 나온 계약 포기자나 청약 당첨 부적격자로 주인을 찾지 못한 가구에 대해 무작위 추첨으로 당첨자를 뽑는 것을 말한다. 앞서 아크로서울포레스트는 분양가의 10%인 계약금만 1억7000만원이다. 중도금 10%, 12월에 잔금을 치를 때 나머지 80%를 내야 한다. 또 9월까지 집값의 20%에 해당하는 3억4000만원이 필요하다. 17억~18억원에 달하는 돈은 자기 힘으로 조달해야 해서 웬만한 현금 부자가 아니면 청약에 당첨돼도 버티기 쉽지 않다. 지난 17일 무순위 청약 접수를 진행한 고양 덕은 'DMC리버파크자이'와 'DMC리버포레자이'은 각각 2만1510명, 1만4352명이 신청했다. 경쟁률이 202.9대 1, 91.4대 1에 달한다. DMC리버파크자이는 고분양가 논란으로 부적격 당첨과 계약 포기 물량이 대거 쏟아진 곳이었다. 3.3㎡당 분양가가 각각 2583만원, 2630만원으로 책정됐다. 이는 지난해 7월과 11월 덕은지구에서 3.3㎡당 평균 1800만원대에 공급된 덕은대방노블랜드(A5블록)와 덕은중흥S클래스(A2블록)보다 훨씬 높은 금액이다. 무순위 청약은 일반 청약과 달리 장벽이 낮다. 만 19세 이상이면 유주택자이거나, 청약 통장이 없어도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조건은 오직 현금이다. 15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의 경우 대출이 금지됐기 때문에 어느 정도 현금 조달 능력을 갖춘 수요자만 도전이 가능하다. 최소 7억~18억원에 달하는 현금을 손에 쥐고 있어야 '줍줍'도 할 수 있다는 것이 업계 평가다. 물론 부자만 무순위 청약 열풍에 가담하는 것은 아니다. 이 중에는 돈이 없어도 '고'를 외치는 이들도 적지 않다. 무순위 청약에서 설령 떨어진다고 하더라도 아무 불이익이 없기 때문이다. 어차피 되는 것 자체가 로또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본부장은 "공급 가구 수가 많아 경쟁률은 다소 떨어질 수 있겠지만, 무순위 청약이 마감할 것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며 "모두 계약으로 이어지긴 힘들고 또다시 미계약분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0.06.22 07:00
경제

[랜드is] '당첨 되면 성공'…덕은지구 리버파크 vs 마곡지구 9단지를 잡아라

바이러스가 창궐해도 내 집 마련 목표의 꿈은 계속된다. 특히 교통과 위치가 좋고, 시세보다 더 저렴하게 살 수 있는 청약 기회가 왔다면 전염병으로 잠시 위축된 열정도 끌어모아야 한다. 최근 실수요자 사이에 가장 관심이 뜨거운 청약 예정 단지인 경기도 고양시 덕은지구에 위치한 ‘DMC리버파크 자이(이하 덕은 리버파크)’와 서울 강서구 마곡동 ‘마곡도시개발사업지구 9단지(마곡 9단지)’를 비교한다. ‘직주’의 표본…덕은 리버파크 vs 마곡지구 9단지 덕은 리버파크와 마곡 9단지는 ‘직주(직장 주변)’로 불리는 원칙을 가장 충실하게 지키는 단지로 꼽힌다. 게다가 현재는 물론 미래에도 발전 가능성이 큰 서울 중심상업지역 인근이다. 덕은 리버파크는 국내 미디어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된 서울 상암 DMC와 가깝다. 덕은지구에서 상암동 JTBC 빌딩까지 거리는 약 2.9㎞다. 자가용으로 이동할 경우 차가 막히지 않을 때는 8분이면 도착할 수 있다. 대중교통도 잘 분포해 있다. 7711번과 7726번, 6715번 등 상암동까지 직행하는 버스가 제법 된다. 짧게는 15분, 길게는 30분 안팎이면 상암동 중심에 다다를 수 있다. 2030년에는 원종홍대선이 경유하는 덕은역이 신설된다. 다만, 덕은역이 완공될 때까지는 상암 DMC역을 이용해야 하는 점은 아쉽다. 직주로 따지면 마곡 9단지도 만만하지 않다. 마곡 9단지 인근인 마곡지구에는 현재 LG사이언스파크, 에쓰오일 TS&D센터 등 대기업과 중견기업 150여 곳이 자리 잡고 있다. SH공사는 최근 총 사업비 3조5000억원에 이르는 ‘마곡 마이스(MICE)’ 복합 단지 개발 우선협상대상자로 롯데건설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2024년 준공 계획인 이곳은 ‘제2의 판교’라고 불릴 정도로 일대 개발 기대감이 크다. 구도심에 있기 때문에 대중교통 여건은 잘 마련돼 있다. 5호선 마곡역이 걸어서 5분 이내에 있는 초역세권이고, 공항대로를 지나는 버스 노선도 적지 않다. 요즘 중요시되는 자연과 함께하는 단지이기도 하다. 마곡 9단지는 녹지가 단지를 관통하는 형태로 넓게 형성돼 있다. 도시 한복판에 있으면서도 공원과 접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덕은 리버파크 역시 대덕산을 뒤로하고 한강을 앞에 둔 전형적인 ‘배산임수’다. 여경희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두 단지 모두 입지적으로도 직주 근접이다. 덕은지구는 고양시 신도시 이슈 등도 겹쳐있기 때문에 청약 경쟁이 치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공공주택과 민간 브랜드… ‘차이’ 덕은 리버파크와 마곡 9단지의 가장 큰 차이는 민간분양과 공공분양이다. 덕은 리버파크는 GS건설이 짓는다. GS건설의 '자이'는 지난해 11월 부동산114와 한국리서치의 공동 조사에서 삼성물산의 '래미안'을 누르고 3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브랜드 새 아파트를 선호하는 국내 특유의 분위기에 잘 맞는다. 마곡지구 9단지는 SH공사가 사업 주체다. 시공업체는 한신공영·삼환기업 등으로 구성돼 있다. 공공분양이니만큼 전용 49㎡(총 567가구)는 모두 국민임대로 빠진다. 분양권 전매와 주택담보대출 요건도 잘 살펴야 한다. 덕은 리버파크는 소유권이전 등기일까지 분양권 전매가 금지된다. 또 주택담보대출 담보인정비율(LTV)이 9억원 이하의 경우 50%, 9억원 초과분은 30%가 적용된다. 마곡지구 9단지는 이달 25일을 기점으로 10년 뒤까지 전매가 금지된다. 대출 규제는 동일하게 적용돼 계약금을 포함해 입주 시 전용 면적에 최소 2억~4억원가량의 목돈이 필요하다. 덩치는 마곡 9단지가 더 크다. 지상 16층으로 총 19개동 1529가구로 구성된 요즘 서울에서 보기 드문 대단지 새 아파트다. 전용면적 59㎡, 84㎡로 나뉘어 있다. 두 단지 모두 중대형보다 중소형이 강세를 보이는 최근 추세와 궤를 같이한다. 덕은 리버파크는 지상 24층으로 총 6개동 702가구로 구성됐다. 전용면적 84~99㎡ 선에 몰려있다. 주변과 시세 차이는 두 단지 모두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분양가로 책정될 것으로 보인다. 17일까지 1순위 청약을 진행하는 마곡 9단지는 전용 59㎡가 최고 평균 5억2515만원, 전용 84㎡가 6억9750만원이다. 주변 시세보다 3억~4억원 가까이 저렴하다. 마곡지구 내 대표 아파트 단지인 마곡엠밸리 7단지는 최근 전용 84㎡가 9억원을 넘겼다. 같은 평수의 마곡힐스테이트13단지 역시 8억8000만원 안팎에 시세가 형성돼 있다. 오는 4월 분양을 시작하는 덕은 리버파크는 아직 분양가가 결정되지 않았다. 위치와 브랜드 명성 등을 따졌을 때 지난해 7월 3.3㎡당 1850만원에 분양한 인근의 ‘덕은 대방노블랜드’ 보다는 높게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덕은지구와 가까운 구축인 상암 9단지 시세보다 2억~3억원가량 저렴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건이 좋다 보니 청약 가점도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선 분양한 중흥S클래스와 대방노블랜드의 경우 대부분 1순위에 청약이 마감됐다. 마곡 9단지는 청약통장 1순위·서울 1년 이상 거주자·무주택자가 우선순위에 배정된다. 청약 납입 인정금액이 높은 순으로 당첨자를 결정한다. 여경희 연구원은 “마곡 9단지는 주목도가 높은 공공분양으로 시세보다 40% 가까이 가격이 저렴하다. 전매 제한이 풀린 이후에는 시세 차익도 상당히 예상할 수 있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덕은지구도 서울이 가깝고 상암 인프라를 누릴 수 있다. 시세 대비 저렴한 아파트를 분양받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0.03.16 07:00
경제

[위클리부동산] 2월 분양시장 일제 개막

휴식기를 거친 부동산 시장이 2월 들어 일제히 막을 올린다.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2월 한 달 동안 전국에서 총 2만3296가구(임대 포함, 오피스텔 제외, 청약접수 기준)가 공급된다. 이 중 2만136가구가 일반분양 예정이다. 수도권의 일반분양 물량은 1만199가구(50.7%), 지방은 9937가구(49.3%) 가량이다. 대표적으로는 서울 '마곡지구 9단지', 경기 '양주옥정 유림노르웨이숲', 인천 '힐스테이트 부평', 강원 '속초2차 아이파크', 부산 '쌍용 더 플래티넘 해운대' 등이 분양을 앞두고 있다. 이번 달 일반분양은 12·16 집값안정 대책 이후 첫 대규모 분양이다.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정책에 따른 주택시장을 가늠하는 바로미터가 될 수 있다. 리얼투데이 측은 "12·16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을 비롯한 인기 지역에서 공급되는 새 아파트에 대한 수요자들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고 말했다. 또 "청약홈을 통해 청약 자격 실시간 조회, 무주택 기간 및 청약통장 가입 기간 자동 계산 등이 가능해지면서 청약자들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만큼 신규 분양에 대한 관심도 더욱 뜨거워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0.02.03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