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경제

우리금융 '정책형 뉴딜펀드'에 3500억원 지원

우리금융그룹이 한국판 뉴딜 지원을 위해 '정책형 뉴딜펀드' 2021년 위탁운용사(정시) 모집에 민간자본 방식으로 지원했다고 27일 밝혔다. 우리금융그룹은 자산운용 분야별 전문역량이 높은 자회사를 거쳐 정책형 뉴딜펀드 사업인 기업투자·인프라투자·국민참여 3개 부문에 참여해 지원할 계획이다. 기업투자 부문에는 기업금융 분야 강점이 있는 우리프라이빗에퀴티자산운용이 2000억원 규모 뉴딜성장형 블라인드 펀드 조성을 제안했다. 인프라투자 부문은 대체투자 분야에 전문성이 있는 우리글로벌자산운용이 신재생에너지 발전자산을 주목적 투자 자산으로 1500억원 규모 인프라 펀드 조성을 제안했다. 기업투자와 인프라투자 부문에는 우리은행과 우리금융캐피탈 등 자회사가 펀드 출자자로 참여해 그룹 차원의 뉴딜금융을 전방위 지원할 예정이다. 우리자산운용은 국민참여 부문에서 뉴딜사업 풀이 확보되는 3월 이후 일반 국민이 투자자로 참여하는 사모재간접공모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1.01.27 17:43
경제

'뉴딜펀드'가 뭐길래…투자할까, 말까

아직 준비단계에 지나지 않지만, 정부가 대대적으로 발표한 ‘뉴딜펀드’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최고조다. 손실을 정부가 메워준다니 투자할 만 한 것인지, 수익률은 얼마나 나오는지 등 투자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여기에 ‘원금 보장’ 분위기에 더욱 시선을 모으고 있다. 정부가 제시한 한국판 뉴딜 사업을 지원하는 뉴딜펀드는 투자할 만 할까. 일부 손실을 정책금융이 부담한다는 점에서 매혹적이지만, 수익률이 낮고, 내년 이후 운용되기 시작하고, 운용 기간도 짧지 않아 고민해 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뉴딜펀드, 어디에 어떻게 투자하나 뉴딜펀드란 정부가 '한국판 뉴딜'을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돈을 모으기 위한 수단으로, 정부가 핵심 산업으로 지정한 ‘디지털’과 ‘그린(환경)’ 분야에 과감한 투자를 진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뉴딜펀드로 자금을 조달하기로 했는데, 개인투자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분야는 크게 세 가지다. 저위험·저수익을 추구하는 정책형 뉴딜펀드와 그린·디지털 산업 관련 인프라 사업에 투자하는 뉴딜 인프라펀드, 고위험·고수익을 노릴 수 있는 민간 뉴딜펀드 등이다. 이 중 관심이 가장 높아 좁은 의미로 언급되고 있는 한국판 뉴딜펀드는 '정책형 뉴딜펀드'를 말한다. 인프라펀드의 경우는 기존에 있던 것에 세제 혜택을 줘서 활성화한다는 취지이고, 민간 뉴딜펀드는 민간이 운용하니 정부의 의지와는 거리가 있다. 그래서 정부가 손실을 사실상 보장해주겠다는 것도 정책형 뉴딜펀드뿐이다. 정책형 뉴딜펀드는 일반 투자자들이 민간 공모펀드에 투자하면 이 펀드가 정책형 뉴딜펀드의 자펀드 조성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자펀드 구성의 최대 35%에 달하는 정부와 정책금융이 후순위로 참여해 손실위험을 분담토록 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서 정책형 뉴딜펀드는 ‘모자펀드’의 형태로 이뤄져 있는데, 모자펀드는 말 그대로 하나의 엄마 펀드에 여러 개의 자식 펀드를 두는 모습이다. 일단 정부와 정책금융기관이 7조원을 투입해서 모펀드를 만들면, 민간의 돈으로 13조원을 투자해 총 20조원의 자펀드, 자식펀드들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그리고 자펀드들은 뉴딜 관련 기업과 프로젝트에 투자하게 된다. 즉, 일반 국민이 민간 공모펀드에 투자한 자금이 자펀드가 되고, 자펀드는 뉴딜 관련 기업에 투자하게 된다는 이야기다. 이처럼 뉴딜펀드는 현재 투자의 흐름도 정도는 나왔지만, 아직 구체적인 투자처는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다. 지금까지 투자처와 관련해 정부가 발표한 내용을 보면 예시로 든 곳은 ‘뉴딜 관련 민자사업’이 대표적이다. 그린스마트 스쿨, 수소충전소 구축 등 그린 산업과 디지털 SOC 안전관리시스템, 신재생에너지 시설 등 뉴딜 인프라 사업이다. 일반 투자자들이 이 정책형 펀드에 투자할 수 있는 시기는 아직 갈 길이 멀다. 정부와 정책금융의 자금이 조달돼야 모펀드가 일단 조성되는데, 이 시기가 올해 말까지로 계획돼 있다. 이후 자펀드 모집이 시작되는데, 이때부터 정책형 펀드 가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기본적으로 증권사에서 판매하되, 국민 접근성을 확대하기 위해 은행 등 다른 판매사와도 협의 중이다. 이에 대해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뉴딜 분야 특성상 불확실성이 크고 투자 기간이 길어 민간자금이 적극 투자에 나서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라며 “그래서 재정 지원을 통해 위험분담을 낮춰 투자를 유도하겠다는 것인데, 이게 결국 국민 혈세라는 점에서 말이 많다”고 했다. 손실 나면 혈세로 원금 보장? 뉴딜펀드가 일반 투자자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받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원금 보장’ 때문이다. 정부가 뉴딜펀드를 계획하면서 ‘원금 보장’을 해주겠다는 뉘앙스를 풍겼다. 하지만 말 그대로 ‘사실상 원금 보장’이지, 완전하게 보장되는 상품은 아니다. 손실 가능성은 있다는 얘기다. 은성수 금융위원장도 “사실상 원금 보장”이라고 말했다. 자본시장법상 펀드는 원금 보장 자체를 할 수가 없다. 하지만 손실 위험이 크지 않은 것은 맞다. 정부가 후순위 출자를 해서 먼저 위험을 떠안는 구조로 설계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정책형 뉴딜펀드자펀드가 뉴딜 관련 A 기업에 투자를 했는데 10%의 손실이 났다고 가정하면, 이때 정부가 후순위로 참여해 나중에 돈을 찾아가게 된다. 즉, 일반 투자자들부터 투자금액을 회수하고, 이후에 정부가 돈을 찾아가 10% 손실을 고스란히 떠안게 된다. 당초 정부가 자펀드의 35%를 대기 때문에 손실의 35%까지 보장하게 된다는 의미였다. 하지만 정부가 이내 "손실 부담률은 기본적으로 10%"라고 정정하면서 후순위 비율에 대한 조정 가능성을 열어뒀다. 현재 정부는 최종적으로 2조원은 후순위이고, 나머지 5조원은 유동적이라는 입장이다. 수익률은 당초 '원금 보장+연 3% 안팎 수익률'로 설정할 계획이었지만, 목표치는 낮아질 전망이다. 은 위원장은 "목표 수익률이 얼마라고 사전적으로 말하기는 어렵겠지만, 정책형 뉴딜펀드는 국고채 이자보다 높은 수익률을 추구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현재 1년 정기예금 금리는 0.94%, 국고채 3년물과 10년물 금리는 각 0.92%, 1.52% 수준인데 이보다는 높게 잡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한 P2P 업체 관계자는 “정부 주도 펀드는 과거 녹색펀드나 통일펀드 등 흑역사가 있다”며 “마이너스 수익률이 나면 국민 세금으로 손해를 보전해주는 건데, 정권이 바뀐 뒤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점에서 과연 수익률만 보고 상품을 만들지는 않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수익률이 떨어지더라도 안전한 상품을 만들다 보면, 적금 정도의 수익률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0.09.09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