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ma2024 ×
검색결과2건
산업

동학개미 목소리 커졌다 '주가 반등, 의사결정 번복'에 영향

소액주주들이 목소리를 내자 주가가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개미들이 똘똘 뭉쳐 연대를 이루자 주가는 물론이고 회사의 의사결정과 인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중요한 의사결정을 앞두고 소액주주와 사측의 경쟁 구도가 연출되고 있다. 풍산과 DB하이텍 등이 소액주주와 전면전을 벌인 대표적인 기업이다. 풍산은 소액주주의 반대에 부딪혀 경영 효율성 강화를 위해 추진했던 방산사업 물적분할을 결국 철회했다. 풍산은 4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분할 절차를 중단하기로 했다”고 공시했다. 지난달 7일 물적분할 계획을 밝힌 뒤 한 달도 되지 않아 입장을 바꾼 것이다. 당초 풍산은 오는 31일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12월 1일 방산사업 전담 신설법인 풍산디펜스를 출범할 계획이었다. 풍산은 “최근 정부와 관계 당국의 물적분할 관련 제도 개선 추진 및 일반주주 권익 제고를 위한 주주보호정책 전개 방향 등을 고려했다”며 “주주 및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겸허히 수용해 분할에 대해 다시 한번 신중한 검토 및 논의를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풍산은 물적분할에 대한 소액주주의 권익보호 시행을 앞두고 깜짝 물적분할을 발표해 주주들의 반발을 샀다. 동학 개미들이 주주연합을 결성하며 공동 행동에 나서자 풍산은 결국 한 달도 버티지 못하고 무릎을 꿇었다. 풍산의 물적분할 철회 소식이 알려지자 하락했던 주가는 반등했다. 지난달 공시 이후 풍산 주가는 3만1000원에서 2만4300원까지 16% 이상 밀렸다. 하지만 4일 공시가 뜨자 8.64% 오른 2만6400원에 장을 마감했다. 5일에도 2만7000원대까지 상승했다. ‘소액주주 승리=주가 상승’이라는 공식도 등장하고 있다. DB하이텍도 반도체 설계 사업부의 분사를 추진하다 지난달 26일 물적분할 검토 중지 의사를 밝혔다. 중지를 선언한 당일 DB하이텍의 주가는 3만7950원에서 5.51% 증가한 4만50원까지 껑충 뛰었다. 엔터테인먼트사인 에스엠도 소액주주와 갈등을 빚은 바 있다.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감사 선임을 놓고 이수만 에스엠 총괄 프로듀서가 소액주주와 정면충돌했다. 소액주주의 의결권과 지지를 얻은 행동주의 사모펀드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이 표결에서 승리했다. 결국 소액주주 측이 추천한 감사가 선임됐고,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자 주가는 급등했다. 지난 3월 31일 주주총회 날 7만9600원이었던 에스엠 주가가 8만1600원까지 올랐고, 다음날에는 5% 이상 상승률을 보이며 8만5900원까지 치솟았다. 바이오기업 헬릭스미스도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소액주주와 대결 구도에서 패했다. 신규 사내이사 선임과 관련해 사측에서 내세운 사내이사 안건이 표결에서 부결되는 등 소액주주들의 입김이 크게 작용했다. 셀트리온도 3사 합병과 관련해 서정진 셀트리온 명예회장과 소액주주들의 갈등이 이어지면서 합병 계획에 차질을 빚고 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2.10.06 06:58
경제

주주와 갈등 고조 헬릭스미스…정면돌파로 민심 달랠 수 있을까

임상 실패와 대규모 투자 손실 등의 각종 악재에 휩싸였던 바이오기업 헬릭스미스가 정면돌파를 시도하고 나섰다. 헬릭스미스의 김선영 대표는 3일 오후 2시부터 주주와 공개토론을 진행한다. 현재 헬릭스미스의 소액주주들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경영진 해임 촉구를 요구하고 있다. 헬릭스미스도 주주들의 허위사실 유포 및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는 등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김 대표는 이번 공개토론을 통해 그동안의 오해를 풀고 주주 달래기에 나선다는 포석이다. 1996년 바이로메드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헬릭스미스는 한때 시가총액 코스닥 2위까지 올랐던 기업이다. 하지만 기대가 컸던 유전자 치료제 엔젠시스(VM202)의 당뇨병성 신경병증(DPN)에 대한 미국 임상 3-1상 결과의 실패로 주가가 곤두박질 쳤다. 이어 경영·재무 영역의 악재까지 겹치면서 주주들의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헬릭스미스는 2016년부터 5년간 사모펀드·사모사채·파생결합증권(DLS) 등 고위험 자산에 2643억원을 투자했다가 큰 손실을 봤다. 매출의 60배에 가까운 규모를 투자한 것이다. 투자한 상품만 68개에 달할 정도여서 바이오기업이 아닌 투자운용사라는 비아냥까지 나왔다. 헬릭스미스는 옵티멈자산운용과 코리아에셋투자증권이 운용한 팝펀딩 관련 사모펀드에 390억원을 투자했지만 회수한 자금은 64억원에 그쳤다. 또 환매 중단 사태를 일으킨 독일 헤리티지 DLS에도 25억원을 투자해 한 푼도 회수하지 못했다. 이 같은 재무적인 이슈를 해소하기 위해 헬릭스미스는 지난 2월 재무 책임자를 새로 영입했다. 지난 3월 주총에서는 파격적인 제안으로 주주 달래기에 나서기도 했다. 김선영 대표는 “내년 10월까지 임상 성공과 주가 10만원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다면 보유 주식을 전부 팔아 회사에 기여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대표는 5.21%(178만4996주)의 지분을 보유한 대주주다. 2일 종가 기준으로 헬릭스미스의 주가는 3만1050원이고, 시가총액은 1조원 수준이다. 헬릭스미스는 주주 공개토론회에 이어 오는 7월14일에는 임시주총을 열어 주주 간의 갈등 해소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6.03 12: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