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6건
산업

‘K방산이 대세’ 35개국 몰린 ‘아덱스 2025’ 역대 최다

‘K방산’의 현재와 미래를 볼 수 있는 방위산업 전시회가 최대 규모로 열린다. 올해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가 20일 공식 개막했다. ADEX 2025는 일반인 누구나 참가할 수 있는 '퍼블릭 데이'와, 주로 항공우주와 방위산업 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비즈니스 데이'로 나눠 열린다. 퍼블릭 데이는 앞서 17일부터 19일까지 서울공항에서 열렸다. 비즈니스 데이는 이날부터 24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운영된다. 'K방산'이 눈에 띄는 수출 호조를 이어가는 가운데 올해 ADEX에는 35개국에서 600개 업체가 참가해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2023년에 개최된 직전 ADEX에는 34개국에서 550개사가 참여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한화오션 등 한화 방산 3사는 ‘AI 디펜스 포 투모로우(AI Defense for Tomorrow)’를 주제로 역대 최대 규모의 1960㎡ 통합관을 운영한다.차세대 수출전략 상품인 '배회형 정밀유도무기'(L-PGW)를 처음 선보이며 K9 자주포가 세계 최초의 유무인 복합 자주포인 K9A3로 발전해나갈 로드맵, 차세대 전략 수상함, 4차 발사를 앞둔 누리호를 비롯해 초고해상도(UHR)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 등을 소개한다.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전시관을 미래 전장 환경으로 구성하고 육해공군 특성에 맞춘 차세대 공중전투체계 개념을 소개할 계획이다. 개발 중인 다목적무인기(AAP)를 최초 공개하고, 소형무장헬기(LAH)와 공중발사무인기(ALE)도 전시한다.현대로템은 유무인 복합전투체계(MUM-T)를 시연해 육상 전투 플랫폼의 AI화를 강조한다. K2 전차와 다목적 무인차량 HR-셰르파가 연동 운용되는 시연을 진행하며, AI 기반 자율주행·원격통제 기술을 공개한다.LIG넥스원은 한국형 전투기 KF-21에 탑재될 항공무장체계와 AI 기반 유무인복합 설루션 등을 선보인다. 장거리공대지유도탄, 단거리·장거리 공대공유도탄 모형과 초고해상도 SAR 위성, 감시정찰용 전자광학 시스템 등이 전시된다.방위사업청은 '통합홍보관'을 운영하며 연구개발과 획득, 시험평가, 품질보증까지 이어지는 국방연구개발 과정과 방산수출을 위한 무기체계 개조·개발 성과를 홍보한다.이 외에도 고위급 회담, 비즈니스 미팅, 세미나, 학술회의, 기술교류회 등 네트워킹 행사와 진로 상담부스 등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자세한 일정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김두용 기자 2025.10.20 09:49
산업

한화, 10대 그룹 중 1년 새 시총 3배 증가...그룹별 시총 순위도 요동

10대 그룹 중 최근 1년간 시가총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한화였다.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10대 대기업 그룹 상장사의 합산 시가총액 추이를 분석한 결과, 한화그룹 상장사들의 시가총액 합산은 지난 2일 기준으로 1년 사이 40조7750억원에서 125조7970억원으로 3배 이상으로 늘어났다.개별 종목별로 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시가총액이 14조1070억원에서 56조5650억원으로 300% 이상 늘었다. 이어 한화그룹 상장사들의 1년 사이 시가총액 증감율은 한화오션(264.4%), 한화엔진(264.2%), 한화시스템(236.3%) 순이었다. 한화의 뒤를 이은 그룹은 HD현대와 SK로 1년 새 시가총액 합산이 각각 58조8350억원→137조7810억원(134.2%), 196조5930억원→394조1220억원(100.5%) 늘었다. 그 뒤는 삼성(36.1%), 현대자동차(21.8%), 신세계(13.0%), GS(7.2%) 순서였다.최근 1년간 한화와 HD현대의 시가총액 '벌크업'은 정부의 대미 투자 측면에서 상승 탄력을 받았던 ‘조방원(조선·방위산업·원자력)’ 관련 상장사 덕을 톡톡히 봤다.방산 대장주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비롯해 조선 및 관련 기자재 종목인 한화오션, HD현대조선해양(125.0%), HD현대미포(105.0%), HD현대마린엔진(355.8%) 등 상당수가 조방원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이었다.그런가 하면 SK와 삼성은 인공지능(AI) 기술주 훈풍을 탔다.국내 증시 전체의 대장주인 삼성전자 시가총액은 365조9480억원에서 526조8480억원으로 44% 늘어났다. 최근 강세장의 주역으로 꼽히는 또 다른 반도체주 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도 123조1050억원에서 287조9250억원으로 134% 증가했다. 유례없는 강세장에서 시가총액이 줄어든 그룹도 있다.본업인 철강 업황 부진 등을 겪고 있는 포스코 그룹의 시가총액은 65조6380억원에서 47조7420억원으로 27% 줄었다.중국 기업의 추격으로 TV·가전·배터리·석유화학 등 그룹 사업 전반적으로 경영 환경이 악화한 LG 그룹의 시가총액도 170조7020억원에서 166조2390억원으로 뒷걸음질 쳤다. 롯데케미칼과 롯데건설 등 주요 계열사가 수익성 악화를 겪는 롯데 그룹 역시 시가총액이 11%(16조8840억원→14조9860억원) 줄었다.이에 따라 10대 그룹의 시가총액 순위도 1년 새 크게 바뀌었다. 삼성과 SK가 부동의 1·2위를 지켰으나 3∼7위는 모두 바뀌었다.1년 전 3위였던 LG가 4위로 내려가고 4위였던 현대자동차가 3위로 올라섰다. 5위였던 포스코는 두 계단 밑인 7위로 내려갔고, 지난해 6·7위였던 HD현대와 한화가 5·6위로 한 계단씩 올라섰다.8∼10위는 1년 전과 마찬가지로 롯데·GS·신세계 순서였다.김두용 기자 2025.10.09 08:52
산업

현대로템, 폴란드형 K2 전차와 현대차 협업 HR-셰르파 공개

현대로템이 폴란드형 K2 전차(K2PL MBT)를 처음으로 선보인다.현대로템은 2∼5일(현지시간) 폴란드 키엘체에서 열리는 '제33회 폴란드 국제방산전시회(MSPO)'에 참가한다고 1일 밝혔다. 현대로템이 4년 연속으로 참여하는 MSPO는 폴란드에서 1993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행사로, 지난해에는 35개국 방산업체와 총 3만명 이상의 관람객이 행사장을 찾았다.지난 8월 폴란드 군비청과 K2 전차 2차 이행 계약을 체결한 현대로템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후속 사업 추진을 위한 홍보에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전차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 등 미래 무인 기술까지 폭넓은 협력을 이어갈 수 있는 사업을 모색하겠다는 전략이다.먼저 현대로템은 현지에서 양산될 폴란드형 K2 전차를 목업(Mock-up: 모형이나 시제품)으로 공개한다. 2028년부터 생산될 폴란드형 K2 전차에는 적군의 유도 미사일과 드론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능동방호장치(APS)와 전파를 교란해 드론의 정상 가동을 막는 드론 재머(ADS)가 탑재된다. 여기에 원격사격통제체계(RCWS)와 성능이 개선된 특수 장갑도 추가됐다. 현대로템은 향후 국내 전차에도 능동방호장치와 드론 재머 등을 탑재할 예정이다.현재 납품되고 있는 폴란드 K2 전차(K2GF MBT) 실차도 3년 연속으로 전시된다.폴란드 K2 전차는 올해 상반기까지 133대가 현지에 납품됐고, 올해 말까지 잔여 47대 인도가 마무리되면 1차 이행 계약분이 모두 도착하게 된다. 이어서 2027년까지 2차 이행 계약 물량인 116대가 폴란드에 추가 납품될 예정이다.현대자동차그룹의 자율주행과 인공지능(AI), 전동화 등 미래 기술이 집약된 다목적 무인차량(HR-셰르파)도 실물 크기의 목업으로 함께 선보인다. HR-셰르파는 전동화 차량으로 무인, 원격 운용이 가능해 사람을 대신해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이 밖에 차세대 전차인 유무인 복합 전차와 방호력 증강에 초점을 맞춘 차세대 장갑차도 관객들을 만난다.현대로템 관계자는 "폴란드 방산업계와 더욱 광범위하고 긴말한 협업 기회를 모색하고, K-방산의 경쟁력 제고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김두용 기자 2025.09.01 11:50
경제

국제 방산전시회인“DX KOREA 2022”개최 최종 결정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해외수출 촉진과 우리군의 첨단과학기술군으로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대한민국방위산업전 (DX KOREA 2022)이 2022년 9월 21일부터 25일 까지, 5일간 고양 KINTEX에서 약 50,000㎡ 규모로 개최한다고 주최를 맡고 있는 (사)대한민국육군발전협회와 공동 주관사인 MBC플러스, 디펜스엑스포 측이 1월 13일 공식 발표하였다. “DX KOREA”는 2014년부터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현주소를 확인할 수 있는 국제규모의 방산전시회를 개최하면서 우리 군과 해외 VIP들을 초청하여 방산기업들과의 교류·협력 플랫폼을 제공하고 해외 수출의 물꼬를 트는 계기를 마련해왔다. 2022년 대통령 신년사에서도 “첨단 방산제품의 수출이 확대 되면서 방산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변신했고 K-방산은 더 이상 비용이 아니라 우리 경제의 신 성장 동력으로 급성장 하고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정부에서도 “방위산업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물샐 틈 없이 지키는 책임국방의 중요한 축이며, 안보산업이면서 민수산업과 연관되어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닌 국가 핵심전략 산업”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또한 우리나라가 국방력을 높이고 방위 산업을 신 성장 동력으로 삼으면서 '종합군사력 6위 군사 강국'으로 발전하고 방산 수출국 순위도 세계 17위에서 단기간에 6위로 도약 하였다고 밝혔다. 행사초기인 2014년에는 방산수출 실적이 30억불 수준이었으나 현재에는 단 기간에 100억불을 목표로 하는 등 K-방산의 열기가 대 탄도탄 요격 체계를 비롯한 항공기, 잠수함, 군 정찰위성, K9자주포, 장갑차, K2전차 등을 주력 으로 중동지역은 물론 호주를 포함한 아시아, 유럽 대륙에 이르기까지 종횡 무진 하고 있다. 방산물자는 장비 수출과 연계하여 정비 및 후속 군수지원과 교육훈련까지 거 머쥘 수 있으며 이를 계기로 일자리 창출과 국가경제에 크게 기여하고 국가 간 군사 안보, 산업, 과학기술 등 다층적인 협력모델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특히 지난 2020년 11월에 개최된 “DX KOREA” 행사에서는 코로나19 라는 복병을 만나게 되어 큰 어려움 속에 있었으나 350명의 해외VIP 및 바이어들을 초청하여 국제행사를 안전하게 치러내면서 그 저력을 발휘한 바 있다. 주최측은 올해도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하고 보건안전 확보에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어려운 상황이지만 우리군의 발전과 방산기업의 해외 수출 판로 개척도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군 의료부대, 정부 보건당국과 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국가안보 능력 확충과 방위산업 발전의 목표를 달성할 것 이라는 의지를 밝히고 기간 중 방한하는 해외귀빈 및 참관객의 보건안 전을 최우선으로 한다는 계획이다. 참관객은 전시장 입구부터 최종 행사 종료시까지 상황별로 맞춤형 방역 대책을 수립하여 철저하게 집행할 예정이다. 한편 “DX KOREA 2022” 역시 그간의 개최 경험을 최대한 살린 국방 분야 최대의 방산전시회가 될 것 이라고 밝히고 이전의 전시회에서 표출된 참가기업 및 참관객의 애로사항을 수집하여 주최 측과 관련 기관, 그리고 참가업체 중심 으로 상설 협의체를 설치하여 이를 적극 보완 및 해결해 나아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KINTEX 행사장의 충분한 주차 공간을 확보와 대형 뷔페식당을 설치 휴게기능을 겸하도록 하며 접근성 또한 GTX-A노선이 2024년 개통하게 되 면 향후 서울역에서 행사장인 킨텍스역 까지 단 14분만에 도착할 수 있다. 2022.01.14 11:02
경제

기아, 소형전술차량 컨셉트카 2종 세계 최초 공개

기아는 오는 25일까지 UAE 아부다비 국립 전시센터에서 개최되는 ‘IDEX 2021(International Defense Exhibition & Conference 2021)’ 방산전시회에 참가한다고 22일 밝혔다. 올해로 15회째를 맞이한 IDEX 방산전시회는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 최대 규모의 국제 방위산업 전시회로, 지난 1993년부터 격년으로 개최되고 있으며 기아는 2015년부터 참가를 이어오고 있다. 올해 기아는 주요 시장인 아중동 지역을 적극 공략하기 위해 ‘4인승 카고’와 ‘베어샤시’ 등 차세대 소형전술차량 컨셉트카 2종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이번에 선보인 컨셉트카 2종은 현재 기아가 운영중인 소형전술차량을 기반으로 7톤급 차량 수준의 프레임 강성을 확보하고 225 마력의 엔진, 8단 자동변속기 등을 장착해 동급 최고 수준의 성능을 갖췄다. 소형전술차량 4인승 카고 컨셉트카는 전면부에 직선을 활용한 디자인으로 강인한 인상을 연출했으며 그릴과 헤드램프 주위에 입체적인 조형을 더해 웅장하고 미래지향적인 느낌을 구현했다. 아울러 병력 운송 및 각종 무기 운반이 가능한 적재함을 장착, 완전 무장한 병력 8명을 포함해 약 4톤의 물자를 수송할 수 있어 다양한 전력 활용성을 갖췄다. 이와 함께 선보이는 소형전술차량 베어샤시 컨셉트카는 차량의 기본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과 엔진 등 파워트레인만 장착되어 있는 차량으로, 장갑차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장비를 개발할 수 있는 확장성을 제공한다. 특히 기아는 이 차량이 베어샤시를 활용한 각종 기동장비 개발이 활성화된 아중동 시장에서 고객의 큰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아는 이번 전시회에서 현대로템과 함께 역대 최대 규모인 약 304㎡의 통합 전시관을 마련하고 공동 마케팅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기아 관계자는 “이번 IDEX 2021에서 소형전술차량 컨셉트카 2종을 공개하며 기아의 차세대 군용차량 비전을 선보였다”며 “이번 참가가 한국군에 탁월한 상품성을 인정받고 있는 기아 군용차량의 수출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02.22 15:11
연예

터키항공, 세계항공시상식서 4관왕

터키항공이 스카이트랙스 선정 ‘2017년 세계항공대상 시상식(Skytrax World Airlines Awards)’에서 ‘남유럽 최고의 항공사(Best Airline in Southern Europe)’, ‘최고의 비즈니스 클래스 기내식(Best Business Class Onboard Catering)’, ‘최고의 비즈니스 라운지(World’s Best Business Class Lounge)’, ‘최고의 비즈니스 라운지 식사(Best Business Class Dining Lounge)’ 등 총 4개 부문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국제 항공ㆍ방산전시회 파리 에어쇼(Paris Airshow) 에서 진행된 이번 시상식에서는 스카이트랙스 CEO 에드워드 플레이스테드(Edward Plaisted)가 직접 시상했으며 터키항공의 일케르 아이즈(Ilker Aycı) 회장이 대표로 상을 수상했다.터키항공 이스탄불 라운지는 올해 평가에서 국적 항공사 중 ‘최고의 비즈니스 라운지’ 자리에 오르게 되었으며 ‘최고의 비즈니스 라운지 식사’ 상도 함께 수상해 다양한 서비스와 훌륭한 케이터링의 세계적 명성을 재확인했다. 또한 터키항공은 2013, 2014, 2016년에 이어 올해도 ‘최고의 비즈니스 클래스 기내식’ 부문 수상으로 세계 최고 기내식을 제공하는 항공사라는 명예를 이어가게 되었다.터키항공 일케르 회장은 이번 수상에 대해 “항공 네크워크 확장을 위해 매진한 터키항공의 노력과 이에 따른 꾸준한 성장에 따른 결과”라고 말하며 “터키항공은 많은 부분에서 계속 발전해왔으며 이에 안주하지 않고 더 높은 도약을 위해 끊임 없이 노력하는 열정적인 직원들이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앞으로도 터키항공은 항공 업계를 선도하는 항공사로서 전 세계 항공 승객들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전 세계 항공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평가 기관인 스카이트랙스는 항공 서비스를 직접 경험한 승객들을 대상으로 여러 부문의 공항 및 비행 서비스를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상을 수여한다. 각 분야별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항공사는 ‘항공 업계의 오스카상’으로 불리는 ‘최고의 항공사’ 상을 수여하게 된다.터키항공은 이번 수상으로 9년 연속 ‘남유럽 최고의 항공사(Best Airline in Southern Europe)’ 타이틀을 차지하게 되었고, 2013년, 2014년, 2016년에 이어 ‘최고의 비즈니스 클래스 기내식(Best Business Class Onboard Catering)’, 2015년에 이어 ‘최고의 비즈니스 라운지(World’s Best Business Class Lounge)’ 자리에 다시 한 번 올랐으며, 3년 연속 ‘최고의 비즈니스 라운지 식사(Best Business Class Dining Lounge)’ 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이석희 기자 2017.06.25 00: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