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스포츠일반

'中 한복' 직관한 한복입은 황희 "공식 항의할 필요까지는…"

베이징 겨울올림픽 참관을 위해 중국을 방문 중인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4일 불거진 베이징올림픽 개회식 한복 논란에 대해 유감의 뜻을 표현했다. 그러면서도 중국 정부에 공식 항의하진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황 장관은 5일 중국 베이징 시내 올림픽 메인미디어센터를 방문해 한국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개막식 한복 논란에 대한 질문을 받고 “중국 측에서는 조선족을 소수 민족 중 하나로 본 것인데, 양국 관계에 오해의 소재가 생길 수 있다는 점에서 안타깝다”고 말했다.황 장관은 “소수민족으로 분류할 때는 그 민족이 하나의 국가로 성장하지 못한 경우를 주로 이르는 것”이라면서 “한국은 (중국의) 바로 옆 나라고 세계 10위권의 큰 나라로 존재한다”고 말했다.하루 전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올림픽 개회식에서 중국 내 56개 민족 대표가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를 전달하는 과정에 한복을 입은 여성이 출연자로 등장해 논란이 불거졌다. 중국이 그간 한복을 비롯해 한민족의 복식을 “중국에서 기원한 것”이라 주장해왔다는 점에서 또 하나의 ‘문화 침탈’ 사례라는 우려가 쏟아졌다.황 장관은 “오전에 중국 신화통신과 인터뷰에서도 같은 뜻을 전달했다. ‘한국 문화가 전 세계로 퍼져가는 상황에서 조선족을 소수 민족으로 과감하게 표현한 것은 양국 간 오해의 소지가 있고 안타깝다’는 뜻을 명확히 밝혔다”고 설명했다.이어 “한편으로는 우리 문화가 이렇게 많이 퍼져나가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세계사적으로 보더라도 물리력 없이 소프트파워로 문화를 평정한 유일한 사례가 아닐까 한다”고 덧붙였다.외교적인 루트를 통해 (한복 논란에 대해) 항의할 계획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황 장관은 “그럴 필요성까진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다만 양국에 오해 소지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중국의 체육 장관 등 정부 관계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국내 여론 등을 언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첨언했다.황 장관은 “역지사지로 본다면, 우리나라에도 화교 분들이 살고 있다. 미국도 여러 민족이 모여 세운 나라다. 그 안에서 이것은 한국 문화, 저것은 어디 문화라고 이야기를 해주는 것이 문화 다양성 측면에서 더 좋지 않겠느냐”는 의견도 함께 내비쳤다.지난 3일 중국을 방문한 황 장관은 5일과 6일 중국 체육 문화 관계자들을 만나 한한령(한류 제한 조치)과 관련한 우리 정부의 입장을 설명할 예정이다. 7일에는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과 만난다.송지훈 기자 song.jihoon@joongang.co.kr 2022.02.05 15:39
스포츠일반

국제인권단체 "펑솨이 안전 확인한 IOC도 공범"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가 중국 테니스 스타 펑솨이(彭帥·35)의 안전을 확인한 국제올림픽위원회(IOC)도 중국 인권침해의 공범 역할을 했다고 비난했다.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소피 리처드슨 HRW 중국 담당 국장은 24일(한국시간) 기자회견에서 IOC가 중국의 인권침해에 대해 "적극적인 공모 역할"을 했다면서 "IOC는 사람이 어떠한 희생을 치르더라도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순조롭게 개최하는 데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고 주장했다.펑솨이는 2014년 여자프로테니스(WTA) 투어 복식 세계 랭킹 1위까지 오른 테니스 스타다. 그런데 지난 2일 자신의 웨이보를 통해 "중국 최고지도부(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일원이었던 장가오리 전 부총리와 수년에 걸쳐 강압에 의한 성관계를 했다"고 주장했다.이후 펑솨이의 웨이보 계정이 폐쇄됐고 그의 신변에 의문을 갖는 목소리가 커졌다. 노박 조코비치, 오사카 나오미 등 세계적인 테니스 스타들도 펑솨이의 안전을 걱정했다. UN 인권사무소와 미국 백악관까지 나섰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베이징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이에 IOC는 22일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이 펑솨이와 영상 통화를 했다"고 밝혔다. 약 30분간 이뤄진 영상 통화에서 펑솨이는 환하게 웃는 표정을 지었다. IOC에 따르면 펑솨이는 현재 베이징 집에서 안전하게 지내고 있으며, 자신의 사생활을 존중받고 싶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러나 국제사회는 펑솨이가 안전하다는 것을 여전히 믿지 못하고 있다.박소영 기자 park.soyoung0914@joongang.co.kr 2021.11.24 08:01
스포츠일반

미국, 베이징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시사…바이든 "검토 중"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내년 2월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가능성을 시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의 회담에서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외교적 보이콧 검토 여부에 대한 취재진 질문에 “우리가 검토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베이징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검토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의 인권 관행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고 밝혔다. 다만 그는 외교적 보이콧 검토가 지난 15일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회담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덧붙였다.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은 올림픽에 선수단은 보내되 관행적으로 해왔던 정부나 정치권 인사들로 꾸려진 사절단을 파견하지 않는 것을 뜻한다. 선수들의 올림픽 참여는 보장하되 주최국에 사실상 경고의 메시지를 담은 조치다. 미국 정치권에서는 그동안 중국의 홍콩 및 신장 등지에서의 인권 유린 주장과 관련해 베이징올림픽에 대한 정치적 보이콧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박린 기자 박린 기자 rpark7@joongang.co.kr 2021.11.19 12:0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