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산업

18년 만에 회장 승진 정용진, 진정한 ‘1인자’ 될까

신세계그룹의 수장이 마침내 바뀌었다. 삼성가 3세로 ‘적자’인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회장으로 18년 만에 승진하면서다. 그러나 동갑내기 사촌지간으로 항상 비교되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처럼 그룹 내 ‘1인자’로 올라서기 위해 성과 창출과 책임경영 강화 등 해결해야 할 숙제가 적지 않다. 급변 환경 속 ‘정용진의 신세계’ 되나 10일 재계에 따르면 정용진 회장의 모친인 이명희 신세계그룹 총괄회장으로 물러났지만 그룹 총수(동일인) 지위는 유지된다. 이는 정용진 회장이 아직 진정한 ‘1인자’의 입지는 아니라는 의미다. 신세계그룹은 지난 8일 ‘정용진 회장 승진 배경’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돌파구 마련을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1995년 입사 이후 28년 만에 회장 승진이다. 신세계는 “날로 경쟁이 치열해지는 유통 시장은 과거보다 훨씬 다양한 위기 요인이 쏟아지고 있어 그만큼 '강력한 리더십'이 더욱 필요해졌다”며 “정용진 회장 승진을 통해 시장 변화를 선도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해나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강력한 리더십’ 구축은 이제 정용진 회장의 당면 과제가 됐다. 신세계는 고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자의 막내딸인 이명희 총괄회장의 색채가 강하다. 이명희 총괄회장이 40대 때 여성 경영자로 나서 신세계그룹을 키웠다. 이에 여전히 이 총괄회장의 영향력이 강하고, 곳곳에 측근들이 포진돼 있다. 신세계는 이건희 회장 별세 이후 이재용 회장이 1인자의 지위를 공고히 구축한 삼성그룹과는 다른 분위기다. 삼성그룹은 이병철·이건희·이재용 회장으로 이어지는 남성 중심의 권력구조가 강하다. 이로 인해 ‘1인자’ 이재용 회장을 중심으로 측근들이 수직화된 구조다. 이재용 회장은 1991년 입사한 뒤 지난 2022년 10월, 31년 만에 회장으로 승진한 바 있다. 정용진 회장은 동갑내기로 어렸을 때부터 사촌지간인 이재용 회장과 항상 비교돼왔다. 재계 관계자는 “둘은 서울대 입학 등 모든 측면에서 비교대상이 됐기 때문에 친구인 이재용의 앞선 회장 승진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고 했다. 정용진 회장이 모계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성과로 증명해야 한다. ‘유통 1위’를 자부하는 신세계는 쿠팡의 거센 도전을 받고 있다. 이마트는 지난해 쿠팡에 유통 매출 선두 자리를 내줬다. 이마트의 매출이 29조4000억원이었고, 쿠팡의 매출은 31조8000억원에 달했다. 신세계백화점과 이마트의 합산 매출 규모는 35조8000억원으로 아직 쿠팡에 앞서있다. 하지만 온라인 이커머스의 급성장세 등 유통 환경이 빠르게 변하면서 1위 수성을 자신할 수 없는 상황이다. 위기의식이 팽배한 신세계는 정용진 회장을 내세워 ‘승부수’를 던졌다. 지난 8일 회장 승진 이후 첫 사장단 회의에서도 “위기가 있으나 더 열심히 하겠다”고 첫 출사표를 던졌다. 지난해 연말에는 경영전략실을 기능 중심의 컨트롤타워로 개편하는 등 '정용진의 신세계'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모습이다. 신세계는 “현재 환경이 기존과는 완전히 다른 차원의 혁신이 필요한 시점임을 인식하고 있다”며 “정용진 회장 승진으로 치열하게 변화하는 혁신기업으로 성장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했다. ‘SNS 리스크’ 줄이고, 책임경영 보여줘야 정용진 회장은 신세계그룹의 수장으로서의 신뢰도를 끌어올릴 필요성이 있다. 신세계는 오너가의 책임경영 측면에서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오너가 중 등기임원으로 이름을 올린 경영자가 없기 때문이다. 이명희 총괄회장, 정용진 회장, 정유경 총괄사장 등은 모두 비등기임원으로 경영 권한은 막강하지만 누구도 책임을 지지 않는 구조다. 삼성가의 경우 이재용 회장이 국정농단 사태로 인해 ‘사법리스크’에 빠지기 전까지 등기임원을 유지했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의 경우 2011년부터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을 겸직하며 책임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정 회장의 경우 2013년 신세계와 이마트의 사내이사직을 내려놓은 뒤 등기이사에 이름을 올리지 않고 있다. 지난 2020년 이명희 총괄회장의 지분 증여로 대주주 지위가 바뀌었을 때도 책임경영 강화에 대한 요구가 있었지만 정용진 회장과 정유경 총괄사장은 등기임원을 끝내 맡지 않았다. 소셜미디어(SNS) 리스크를 줄여야 하는 것도 과제다. 84만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한 정 회장은 ‘재계 인사’다. 경영행보를 비롯해 일상생활, 가족사까지 다양한 게시물을 올리며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하지만 ‘멸공’ 등 정치적 색깔을 노골적으로 드러냈고, 기자들과 대립각을 세우는 등 그룹을 대표하는 수장으로서 진중하지 못한 태도가 도마 위에 올랐다. 회장 승진 이후 이런 논란의 게시물들을 일괄 삭제하는 등 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재계 관계자는 “이제 지위가 달라진 만큼 슬기로운 SNS 생활로 그 리스크도 줄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3.11 07:00
산업

비등기임원 총수 삼성, 신세계 등 40%...SM 우오현 '문어발 겸직' 1위 총수

대기업 집단 중 총수가 비등기임원이지만 경영을 하고 있는 기업이 40%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21일 자산 규모 5조원 이상인 82개 대기업 집단 중 47개 집단을 대상으로 총수 및 친족 일가의 경영 참여와 등기임원 재직 현황을 조사한 결과, 2018년에는 47명의 총수 중 등기임원이 아닌 경우는 14명(29.8%)이었으나 올해에는 5명 늘어난 19명(40.4%)으로 집계됐다.2018년 기준으로 총수가 등기임원이 아닌 대기업 집단은 롯데(신동빈 회장), CJ(이재현 회장), DL(이준용 회장), OCI(이우현 회장), 삼성(이재용 회장), 태광(이호진 회장), 동국제강(장세주 회장), 유진(유경선 회장), 두산(박용곤 회장), HD현대(구 현대중공업그룹·정몽준 회장), 신세계(이명희 회장), DB(김준기 회장), 하이트진로(박문덕 회장), 한솔(이인희 회장)이었다.이 가운데 롯데, OCI, 두산, 한솔은 올해 기준으로는 총수가 등기임원으로 등재됐다. 그러나 부영(이중근 회장), 코오롱(이웅열 회장), 금호석유화학(박찬구 회장), 금호아시아나(박삼구 회장), 동원(김재철 회장), 네이버(이해진 회장), 삼천리(이만득 회장), 한국타이어(조양래 회장), 한화(김승연 회장) 등 9곳은 총수가 등기임원이 아닌 대기업 집단으로 추가됐다. 다만 한화의 경우에는 장남인 김동관 부회장이 등기임원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총수 일가의 계열사 등기임원 참여가 줄어든 상위 5개 대기업 집단은 중흥건설(-26곳), 호반건설(-21곳), SM(-18곳), 부영(-15곳), KCC(-14곳)로 조사됐다. 총수와 친족 중 계열사 등기임원을 겸직하는 인원은 전체적으로 줄었다.2018년 3곳 이상의 계열사에서 등기임원을 겸직한 총수 및 친족은 70명이었으나 올해에는 52명으로 감소했다. 10곳 이상에서 등기임원을 겸직하는 오너 일가 수도 5명에서 2명으로 줄었다.한편 올해 기준으로 등기임원 겸직이 가장 많은 총수 및 친족은 우오현 SM그룹 회장의 사위인 박흥준 SM하이플러스 대표로 14개 계열사의 등기임원을 함께 맡고 있다. 우오현 회장은 13곳을 겸직해 2위에 올랐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11.21 10:37
경제

직원-등기임원 연봉 격차 더욱 커져…MZ세대 차별 불만 고조

‘MZ세대’가 연봉 차별에 분노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지표로 고스란히 나타났다. 지난해 일반 직원과 미등기임원 및 등기이사 간 연봉 격차가 더욱 벌어졌기 때문이다. 기업 평가 사이트 CEO스코어는 31일 국내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294개 기업 임직원의 지난해 급여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직원 1인당 연봉의 평균이 8120만원인 것에 반해 등기이사 평균 8억7010만원, 미등기임원 평균 3억5890만원으로 나타났다. 직원 대비 등기이사와 미등기임원의 연봉이 각 10.7배, 4.4배가 높았다. 이는 2019년의 10.3배, 4.3배 격차에서 더욱 벌어진 것으로, 직원 연봉이 전년 대비 3% 오를 때 등기이사와 미등기임원의 연봉은 각 7.3%, 4.7% 상승했다.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 초 출생 세대의 통칭)는 기성세대들과는 달리 투명한 연봉 체계를 요구하며 목소리를 내고 있다. 현대차와 SK하이닉스 등에서 연봉 및 성과금에 대한 직원들의 불만은 총수에게 직접 전달됐다. 이로 인해 총수들이 '공정한 연봉 시스템'에 대한 시정 조처를 내리는 등 연봉 차별에 대한 논란이 다른 기업들로 퍼지고 있다. 한진그룹 조원태 회장의 경우 코로나19 여파로 대한항공 매출이 38% 줄어들었음에도 보수가 30억98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0%가 늘어 논란이 일었다. 대한항공 사원들의 급여가 15%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의 연봉도 48억9000만원으로 전년보다 52.6%나 인상됐다. 반면 직원들은 경영난 타개를 위해 평균 15.3%의 연봉을 줄여야 했다. 호텔신라는 지난해 3조1881억원으로 매출이 44.2%나 감소했고, 영업이익이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됐다. 등기이사와 직원 간 격차가 가장 큰 기업은 게임업체 엔씨소프트로 나타났다. 직원들의 평균 연봉이 9610만원임에 반해 등기이사는 94억5300만원으로 나타나 98.4배의 격차를 보였다. CJ제일제당이 93.6배로 2위였고, 호텔신라와 LG전자, 삼성전자가 각 53.5배, 52.6배, 44.5배로 뒤를 이었다. 직원과 미등기임원 간 연봉 격차가 가장 큰 기업은 이마트였다. 이마트 직원의 평균 연봉은 3790만원에 불과했지만, 미등기임원은 6억9100만원으로 18.2배나 차이 났다. 지난해 직원 평균 연봉이 줄어든 곳은 294개 조사 기업 중 33.7%에 달하는 99개나 됐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4.01 07:00
경제

롯데, 10대그룹 중 임직원 평균 연봉 ‘꼴찌’

국내 10대 그룹 중 롯데그룹 임직원들의 평균연봉이 가장 낮고, 임원들과 직원들의 임금 격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재벌닷컴이 자산 상위 10대 그룹 소속 93개 상장사 임직원의 지난해 연봉을 조사한 결과 전체 임원(등기 및 비등기 임원 포함)은 3억9500만원, 직원은 6790만원으로 임원이 직원보다 평균 5.8배 많았다. 임원별로는 등기 임원이 평균 9억7800만원, 비등기 임원이 평균 3억1800만원의 연봉을 받아 직원 평균 연봉보다 각각 14.4배, 4.7배가 많았다. 10대 그룹 중 임원과 직원의 연봉 차이가 가장 큰 곳은 롯데였다. 롯데(8개사)는 지난해 등기 임원이 6억2000만원, 비등기 임원이 2억9200만원으로 전체 임원 평균 연봉이 3억1500만원이었다. 이는 직원 평균 연봉인 3760만원 보다 8.4배 많은 금액이다. GS(8개사)가 8배, LG(11개사)가 6.2배로 그 뒤를 이었다. 또 롯데그룹은 임원 평균연봉과 부장급 이하 직원 평균연봉도 각각 3억1500만원과 3760만원으로 10대 그룹 중 가장 낮았다. 임직원 연봉 차이가 가장 적은 곳은 현대차그룹이었다. 재계 2위로 직원 연봉 수준이 높은 현대차그룹은 전체 임원 평균 연봉이 3억6100만원으로 직원 평균 연봉 8850만원과 비교해 4.1배였다. 현대중공업(3개사)은 전체 임원 평균이 직원의 4.3배, 포스코(7개사)는 4.8배 수준이었다.삼성, 임원연봉 가장 높아 임원 연봉 수준이 가장 높은 그룹은 삼성이었다. 삼성그룹 계열 17개 상장사의 등기 및 비등기임원을 합친 전체 임원의 평균 연봉이 4억5600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삼성그룹 부장급 이하 직원 평균 연봉(7120만원)보다 6.4배 많은 것이다. 삼성그룹의 등기 임원은 14억1300만원, 비등기 임원은 4억3300만원을 각각 받았다.SK그룹도 전체 임원 평균 연봉이 4억원대로 삼성에 이어 두번째로 많았다. SK그룹은 등기 임원 12억6700만원, 비등기 임원 3억500만원 등 전체 임원 평균 연봉이 4억600만원으로 삼성에 이어 두번째로 높았다.등기 임원과 비등기 임원의 평균 연봉 차는 3.1배로 10대그룹 중에서는 한화가 4.9배로 가장 격차가 컸다. 포스코는 등기 임원과 비등기 임원 연봉 격차가 1.7배로 가장 작았다. 이형구 기자 ninelee@joongang.co.kr 2013.11.13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