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VIP인데 내 선물은 어디서 받나요?" 샤넬 파업에 속 타는 고객들
글로벌 명품 브랜드 샤넬코리아 화장품 판매노동자들이 무기한 파업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전국 85개 샤넬 매장 중 60개 매장이 문을 닫고, 나머지 매장도 정상적인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다. 현장에서는 샤넬 사용자 측과 노조의 갈등으로 소비자만 피해를 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샤넬을 바라보는 소비자 인식이 부정적으로 변화하는 기류도 엿보인다. 막대한 이익 챙기는 샤넬, 직원 처우는…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백화점면세점노조 샤넬코리아지부는 17일 서울 중구 샤넬코리아 본사 앞에서 결의 대회를 열고 "사용자 측이 노예계약과 다름없는 합의서를 종용한다"며 이날부터 무기한 파업을 선언했다. 샤넬 노조는 지난 9월부터 쟁의행위를 시작했다. 지난 7일부터는 노조원들이 샤넬 본사 앞에서 릴레이 시위를 벌여왔다. 전체 샤넬 화장품 판매 근로자 480여 명 가운데 샤넬코리아 노조원은 약 390명에 달한다. 샤넬코리아지부는 온라인 매출에 기여한 노동 인정 및 합당한 임금 보장, 법정 유급휴일 보장, 직장 내 성희롱 근절 정책 수립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노조는 매장 직원들이 온라인 관련 일도 맡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인센티브는 주지 않는다는 점에 불만을 갖고 있다. 지부에 따르면 샤넬 뷰티 매장은 코로나19로 매장 매출이 줄고 온라인 매출이 증가했다. 이에 낮은 기본급에 높은 판매 인센티브로 월급을 받는 매장 직원들이 힘겨워 한다는 것이다. 지난 16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샤넬은 2020년 글로벌 전체 매출의 8.5%를 한국에서 벌어들였다. 샤넬코리아지부는 샤넬코리아의 2020년 영업이익이 1491억원으로 2019년보다 34% 증가했다고 주장한다. 샤넬 노사 갈등에 고객만 불편 파업으로 인한 피해는 온전히 고객의 몫으로 돌아가고 있다. 샤넬은 VIP 고객의 등급에 맞춰 연말 시즌에 각종 선물(기프트)을 주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샤넬은 100만~200만원 이상 구매자에게 '블랙' 등급을, 연 1000만~1500만원 이상 화장품을 산 고객에는 '골드' 등급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다. 기프트는 보석함이나 향초 세트, 스노우볼 등 매번 바뀌는데, '샤넬이 제작한 특별한 선물'이라는 이미지가 덧씌워져 VIP 사이에는 반드시 갖고 싶어하는 '머스트 해브 아이템'으로 통한다. 일부 고객은 샤넬이 준 기프트를 중고 시장에 되팔 정도로 인기다. 하지만 올해 상당수 매장이 파업에 돌입하면서 기프트를 받지 못하거나 매장을 찾았다가 허탕을 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온라인 뷰티 커뮤니티에는 "파업 때문에 원래 가던 매장에서 기프트 수령이 안 된다. 어디로 가야 하나" "불편하다" "연말 선물인데 연말 전에는 받을 수 있나"는 불만 글이 상당수였다. 일부에서는 사용자 측이 파업 때문에 기프트 증정에 차질을 빚자 코로나19 핑계를 댄다는 지적도 있다. 본지 확인에 따르면 샤넬 측은 지난 14·15일 VIP 고객들에게 문자를 보내 "방역 수칙 준수를 위해 기프트 초대장을 소량씩 순차적으로 발송한다. 증정 시기 및 수령 가능한 매장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시기를 조율 중"이라고 했다. 그러나 고객들은 "핑계다. 파업 때문인데 코로나 탓을 한다" "파업하는데 고객이 몰릴까 봐 그러는 것"이라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샤넬 이미지 영향 미치나 샤넬의 충성 고객 사이에도 사용자 측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고객 A 씨는 "샤넬 코스메틱 직원들이 이전에도 단체행동을 알리는 조끼를 입고 근무하는 걸 본 적이 많다. 이번 파업에 앞서 운동화에 트레이닝복을 입고 근무하더라"며 "친한 셀러에게 들어보니 낮은 기본급에 처우도 열악해 놀랐다"고 말했다. 주요 뷰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이름값 못하는 샤넬, 정말 실망스럽다" "정말 직원과 고객 관리를 못 한다" "세계적인 브랜드가 부끄러운 줄 모른다" 등의 글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샤넬이 시즌마다 제품 가격을 올리면서 막대한 수입을 올리고 있지만, 직원이나 고객을 향한 배려는 찾기 힘들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은 코로나19로 좀 잦아들었지만, 샤넬 같은 백화점 입점 명품 화장품 매장의 뷰티 어드바이저(셀러)가 받아가는 돈이 국산 브랜드 주요 상권 매장만 못하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며 "사용자 측은 여전히 '업계 최고 대우'라고 버티고, 노조는 과거 단체행동보다 더 강경한 분위기다"고 말했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1.12.20 0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