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79건
스포츠일반

‘7연속 우승’ 우상혁, 종아리 통증으로 조기 귀국…세계선수권에 전념

한국 육상 간판 우상혁(29·용인시청)이 대회 출전 대신 다가올 도쿄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 전념할 전망이다.1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세계육상연맹 다이아몬드리그 출전을 위해 유럽으로 떠났던 우상혁이 예정보다 빠른 13일 귀국한다.앞서 우상혁은 지난 10일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하일브론에서 열린 하일브론 국제 높이뛰기 대회에 불참했다.대한육상연맹에 따르면 우상혁은 윔업 도중 종아리 쪽 불편함을 느꼈고, 부상 방지 차원에서 대회 출전을 포기했다. 이어 16일 폴란드 실레지아 다이아몬드리그, 29일 스위스 취리히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널에서도 결장할 전망이다.앞서 우상혁은 4차례 열린 다이아몬드리그 중 2개 대회에 나서고도 우승하며 랭킹 포인트 부문 3위에 이름을 올렸다. 랭킹 포인트 상위 6명이 경쟁하는 파이널 출전이 가시권이었는데, 올해 목표로 삼은 9월 도쿄 세계선수권에 집중하기 위해 결단을 내린 모양새다.우상혁은 지난 2022년 미국 유진에서 열린 세계선수권에서 2m35로 은메달을 획득, 역대 한국 육상 최초로 실외 세계선수권 입상에 성공했다. 그는 도쿄에서 최초의 실외 세계선수권 금메달을 정조준한다.올 시즌 기세는 좋다. 출전한 7개 국제대회에서 모두 정상에 올랐다. 시즌 최고 기록은 지난 7월 모나코 다이아몬드리그서 기록한 2m34다. 이는 도쿄 세계선수권 기준 기록(2m33)을 넘어선다. 그는 세계육상연맹 기준 월드 랭킹 1위이기도 하다.우상혁은 2025년 목표로 난징 세계실내선수권, 구미 아시아선수권, 도쿄 세계선수권 우승을 목표로 삼은 바 있다. 이미 앞선 2개의 목표는 이룬 상태다.김우중 기자 2025.08.12 15:00
스포츠일반

'충격 도핑 적발' 여자 마라톤 세계기록 보유자가 걸렸다…소변에서 이뇨제 검출

여자 마라톤 세계기록 보유자 루스 체픈게티(31·케냐)가 도핑에 적발됐다.미국 스포츠 전문채널 ESPN은 '체픈게티가 도핑 테스트 양성 반응으로 잠정 출전 정지를 당했다'라고 18일(한국시간)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3월 채취한 소변 샘플에서 금지된 이뇨제인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HCTZ)가 검출됐다. HCTZ의 최대 허용 수준은 20ng/ml인데 체픈게티의 소변에선 무려 3800ng/mL가 확인됐다. 4월 중순 관련 결과를 통보받은 체픈게티는 전적으로 조사에 협조한 것으로 알려졌다.체픈게티의 도핑 적발은 충격적이다. 그는 지난해 10월 시카고 마라톤에서 2시간 9분 56초로 완주하며 세계 기록(종전 2시간 11분 53초)을 2분 가까이 앞당겼다. 여자 마라톤의 난제로 손꼽힌 2시간 10분 벽을 깨며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는데 금지 약물 적발로 명성에 흠집이 났다. ESPN은 '(세계육상연맹의 독립기구인) 선수윤리위원회(AIU)는 아직 징계 일정을 밝히지 않았다'라고 부연했다. 육상 관련 소식을 전하는 flotrack은 '최종 처분을 받으면 2년간 선수 활동이 금지될 수 있다'라고 전망했다.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5.07.18 02:33
스포츠일반

‘7연속 우승’에도 파리 아픔 잊지 않은 우상혁 “이제는 나에게 더 집중”

‘중력을 거스르는 자’ 우상혁(29·용인시청)은 지난 2024 파리 올림픽의 아픔을 잊지 않았다.1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우상혁은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한국 땅을 밟은 뒤 귀국 인터뷰서 “지난해 파리 올림픽에서 아쉬운 결과(7위·2m27)를 낸 뒤에 더 열심히 훈련했다. 정말 많은 땀을 흘렸다. 열심히 한 만큼 운도 따라주는 것 같다”라고 전했다.우상혁은 전날(12일) 모나코의 스타드 루이 2세 경기장에서 끝난 2025 다이아몬드리그 남자 높이뛰기 경기에서 2m34를 넘어 우승했다. 우상혁의 올 시즌 개인 최고 기록이자, 세계 공동 1위의 기록이었다. 앞서 올레 도로슈크(우크라이나)가 실내경기에서 2m34를 넘어 시즌 최고 기록을 보유 중이었는데, 우상혁이 실외경기서 가장 먼저 해당 기록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우상혁은 모나코 다이아몬드리그 우승으로 올 시즌 ‘7개 대회 연속 우승’이라는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다이아몬드리그 사무국은 우상혁을 두고 ‘중력을 거스르는 자’라고 치켜세웠다. 그는 올 시즌 실내 대회 3개, 실외 대회 4개에서 모두 정상을 차지했다.“7연승이라는 건 기사를 보고 알았다”는 우상혁은 더 높은 곳을 바라본다. 그는 “열심히 훈련한 게 성과로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연승이 끊기더라도 훈련에 지치지 않고, 더 좋은 기록과 순위를 노릴 자신이 있다”라고 전했다. 우상혁은 이번 대회 우승 뒤 지난해 이 시기 열렸던 파리 올림픽을 떠올리기도 했다. 강도 높은 유럽 전지훈련을 하며 “여러 번 올림픽을 떠올렸다”라고 설명했다.이유가 있다. 우상혁은 지난해 올림픽을 앞두고 치른 모나코 다이아몬드리그서 2m28을 넘고 3위를 차지했다. 당시 해미시 커(뉴질랜드)가 2m33을 넘어 우승했고, 셸비 매큐언(미국)이 2m31로 뒤를 이었다. 2024 파리 올림픽에도 커는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매큐언은 은메달을 따냈다. 하지만 우상혁은 2m27에 그치며 7위에 머물렀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귀국 인터뷰서 파리 올림픽을 돌아본 그는 “로마 다이아몬드리그 우승을 차지하고 유럽에 남아 훈련할 때 몸이 무거웠다. 마침 다음 대회가 모나코 다이아몬드리그였다. 지난해 모나코 대회부터 파리 올림픽까지의 기억이 떠올랐고, 다시 훈련에 집중했다”라고 설명했다.이어 “파리 올림픽의 아픈 경험이 나를 더 단단하게 만들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상대를 더 의식했다. 이제는 나에게 더 집중하고 있다. 한 단계 성숙해졌다고 느낀다”라고 전했다.우상혁의 목표는 한국 육상 선수 최초 실외 세계선수권대회 우승, 그리고 올림픽 챔피언이다. 그러기 위해선 절친이자 파리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커를 넘어야 한다. 올해 4차례 맞대결에선 우상혁이 이겼다. 그는 “올해 내가 더 좋은 기록을 냈다고 해도, 커에게 배울 점이 많다. 노력해서 올림픽 챔피언의 타이틀을 얻은 커처럼, 나도 실외 세계선수권 챔피언, 올림픽 챔피언이 될 때까지 집중할 것”이라고 약속했다.우상혁은 오는 9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실외 세계선수권 정상에 도전한다. 8월에는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리는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널도 치를 예정이다. 남자 높이뛰기가 편성된 8월 폴란드 실레지아, 벨기에 브뤼셀 대회 중 1개만 출전해도 무난히 파이널 출전권을 얻을 전망이다.김우중 기자 2025.07.13 20:00
스포츠일반

시즌 최고 기록으로 7연속 우승…‘중력을 거스르는 자’ 우상혁

‘스마일 점퍼’ 우상혁(29·용인시청)이 한국 육상 최초의 실외 세계선수권 정상이라는 목표를 향해 거침없이 진격 중이다.우상혁은 지난 12일(한국시간) 모나코의 스타드 루이 2세 경기장에서 끝난 2025 세계육상연맹 다이아몬드리그 남자 높이뛰기 경기에서 2m34를 넘어 얀 스테펠라(체코·2m32)를 꺾고 우승했다.우상혁이 뛰어넘은 2m34는 올 시즌 개인 최고·세계 공동 1위 기록이다. 종전 실내경기에서 올레 도로슈크(우크라이나)가 2m34를 넘어 최고 기록을 보유 중이었다.우상혁의 올 시즌 기세가 멈출 줄을 모른다. 그는 실내 시즌 3개 대회(2월 9일 체코 실내대회 2m31·2월 19일 슬로바키아 실내대회 2m28·3월 21일 중국 난징 세계실내선수권 2m31)에서 정상에 오르더니, 실외 시즌에서도 4개 대회(5월 10일 왓그래비티챌린지 2m29·5월 29일 구미 아시아선수권 2m29·6월 7일 로마 다이아몬드리그 2m32·7월 12일 모나코 다이아몬드리그 2m34)에서 우승했다. 무려 7개 대회 연속 정상이다.우상혁은 한국 육상 최초의 실외 세계선수권 우승이라는 도전을 순조롭게 이어가고 있다. 이 대회는 오는 9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다. 모나코 다이아몬드리그는 세계선수권을 앞둔 전초전이었다. 파리 올림픽 챔피언 해미시 커(뉴질랜드), 은메달리스트 셸비 매큐언(미국), 유럽팀선수권 1위 스테펠라, 2023년 세계선수권 은메달리스트 저본 해리슨(미국) 등 도쿄 세계선수권에서 우승을 놓고 경쟁할 세계적인 점퍼들이 대거 출전했다.하지만, 커는 2m23(6위), 매큐언은 2m19(8위), 해리슨은 2m27(3위)에 그쳤다. 우상혁이 스테펠라까지 제치며 모의고사에서 만점을 받아냈다. 다이아몬드리드 사무국은 “‘중력을 거스르는 자(Defying Gravity)’ 우상혁이 2m34을 뛰어 시즌 세계 공동 1위 기록을 세웠다”라고 조명했다. 우상혁은 2025년을 시작하며 세계실내선수권, 아시아선수권, 9월 도쿄 실외 세계선수권 우승을 목표로 정했다. 이미 2개의 목표를 달성한 그는 도쿄 실외 세계선수권 기준 기록(2m33)도 뛰어넘으며 출전권을 조기에 확보했다. 우상혁은 경기 뒤 대한육상연맹을 통해 “올 시즌 세계 공동 1위 기록을 세우며 우승해 기쁘다. 한국 신기록 도전은 아쉽게 실패했지만, 앞으로도 끊임없이 도전하겠다. 응원해 주신 많은 분께 감사하다”라고 전했다.김우중 기자 2025.07.13 09:00
스포츠일반

'스마일 점퍼' 우상혁, 국제대회 7연승 행진 "앞으로도 끊임없이 도전하겠다"

'스마일 점퍼' 우상혁(용인시청)이 2025시즌 국제대회 7연승을 달성했다. 우상혁은 12일(한국시간) 모나코의 스타드 루이 2세 경기장에서 열린 2025 세계육상연맹 다이아몬드리그 남자 높이뛰기 경기에서 2m34를 넘어 우승했다. 2m34는 올 시즌 우상혁의 개인 최고이자, 세계 공동 1위 기록이다. 2m34는 올해 9월 열리는 도쿄 실외 세계선수권 기준 기록(2m33)보다 1㎝ 높다. 우상혁은 도쿄 세계선수권 출전권도 확보했다.우상혁이 다이아몬드리그 개별 대회에서 우승한 건 개인 통산 5번째다. 2022년 카타르 도하, 2023년 미국 오리건주 유진, 2024년 로마, 2025년 로마에서 우승한 바 있다. 올해에는 벌써 두 차례 정상에 올랐다. 올 시즌에는 무패 행진을 벌이고 있다. 우상혁은 2월 9일 체코 실내대회(2m31)부터 실내 시즌 3개 대회에서 정상에 오르더니, 실외 시즌에서도 5월 10일 왓그래비티챌린지(2m29)부터 7월 12일 모나코 다이아몬드리그(2m34)까지 4개 대회에서 1위를 차지했다.모나코 다이아몬드리그에서 우상혁은 2m15, 2m19, 2m23을 모두 1차 시기에서 넘었다. 2m27을 2차 시기에서 넘은 그는 2m30도 1차 시기에서 넘으며 순항했다. 경기에 나선 8명의 점퍼 중 2m30을 넘은 선수는 우상혁과 얀 스테펠라(체코), 두 명뿐인 가운데, 스테펠라가 2m32를 1차 시기에 넘자, 우상혁은 2m32를 패스하고 바를 2m34로 올려 1차 시기만에 성공했다. 스테펠라가 2m34를 1차 시기에 실패한 뒤, 2m36으로 바를 높였으나 실패하며 우승을 확정했다. 우상혁은 자신이 보유한 한국 기록과 같은 2m36에 도전했으나 1차 시기에서 실패했고, 2m37로 바를 높여 한국 신기록에 도전했으나 두 번 연속 바를 건드렸다.경기 뒤 우상혁은 "올 시즌 세계 공동 1위 기록을 세우며 우승해 기쁘다"며 "한국 신기록 도전은 아쉽게 실패했지만, 앞으로도 끊임없이 도전하겠다. 응원해주신 많은 분께 감사하다"고 말했다.윤승재 기자 2025.07.12 09:23
스포츠일반

'2m32 훌쩍' 미쳤다 우상혁, 올해 높이뛰기 국제대회 6연승

'스마일 점퍼' 우상혁이 로마 다이아몬드리그에서 우승했다.우상혁은 7일(한국시간)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2025 세계육상연맹 로마 다이아몬드리그 남자 높이뛰기 경기에서 2m32를 넘고 우승했다. 2m32는 올 시즌 우상혁의 개인 최고이자, 세계 2위 기록이다.이로써 우상혁은 올 시즌 국제대회 6연승 행진을 이어갔다. 우상혁은 2월 9일 시즌 첫 출전 대회인 체코 실내대회에서 우승(2m31)한데 이어, 2월 슬로바키아 대회 우승(2m28), 3월 중국 난징 세계실내선수권 우승(2m31)으로 올해 3개 실내 국제 대회에서 모두 1위에 올랐다. 실외 경기였던 5월 왓그래비티챌린지 우승(2m29)에 이어, 같은 달 구미 아시아선수권에서도 우승(2m29)한 우상혁은 로마 다이아몬드리그에서도 우승하며 6연승했다. 우상혁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로마 다이아몬드리그 챔피언에 올랐다.또 우상혁이 다이아몬드리그에서 우승한 건 2022년 카타르 도하, 2023년 미국 오리건주 유진, 2024년 로마 대회에 이어 이번이 개인 통산 4번째다.3차 시기 도전 끝에 2m26을 넘은 우상혁은 올레 도로슈크(우크라이나)와 함께 2m28을 넘으며 우승 경쟁에 나섰다. 올 시즌 기록 부문 세계 1위를 달리는 도로슈크는 2m30을 1차 시기에 넘은 한편, 우상혁은 바를 2m32로 높이는 승부수 끝에 성공했다. 도로슈크가 2m32를 1, 2차 시기에서 넘지 못했고, 2m34로 높힌 3차 시기에서도 실패하며 우상혁이 우승했다. 윤승재 기자 2025.06.07 08:22
스포츠일반

새 복싱 국제기구, ‘성별 논란’ 복서 칼리프에게 유전자 검사 요구

복싱 기구인 월드 복싱(World Boxing)이 2024 파리 올림픽 여자 복싱 66㎏급 금메달리스트 이만 칼리프(26·알제리)에게 유전자 검사를 요구한 거로 알려졌다. 월드 복싱은 국제올림픽위윈회(IOC)로부터 올림픽 복신 종목 관장 자격을 잠정적으로 얻은 새 국제 복싱 기구다.AP통신은 1일(한국시간) “월드 복싱이 국제 대회에 출전하는 모든 선수에게 성별 검사를 의무화하면서 칼리프 역시 검사를 받아야 대회에 출전할 수 있게 됐다”라고 전했다.월드 복싱은 “칼리프가 오는 7일부터 네덜란드 에인트호번에서 열릴 복싱 컵을 포함한 향후 대회에 출전하려면, 먼저 성별 검사를 통과해야 할 것이다”면서 “의무 검사 도입은 새로운 성별 정책의 일환으로, 모든 참가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공정한 경쟁 환경을 만들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칼리프는 지난해 열린 파리 올림픽에서 린위팅(대만)과 함께 성별 논란 속에 여자 복싱 금메달을 획득했다.칼리프와 린위팅의 ‘출전 자격’은 당시 큰 화제 중 하나였다. 월드 복싱 전 월드컵 복싱을 관장했던 국제복싱협회(IBA)는 2023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두 선수 모두 명시되지 않은 자격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며 출전을 금지했기 때문이다.하지만 IOC는 비리와 논란 등을 이유로 러시아가 주도하는 IBA를 올림픽에서 퇴출했다. IOC는 기존의 기준(여권 성별)대로 두 선수의 올림픽 출전을 허용했다.우여곡절 끝에 올림픽 무대를 밟은 칼리프와 린위팅은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나란히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하지만 세계 각국에서 불공정한 경쟁이라며 반발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AP통신은 “칼리프는 2028 로스앤젤레스(LA) 올림픽 출전을 목표로 에인트호번 복싱 컵을 통해 국제 경기에 복귀할 예정이다. 여기에 일부 선수와 국가가 대회 참가를 반대하고 나섰다. 월드 복싱은 성별 자격 기준을 명확하게 마련하라는 각국 연맹의 압박을 받는다”고 전했다. 월드 복싱은 18세 이상 선수에게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유전자 검사를 통해 출생 시 염색체 기준 성별을 확인하는 절차를 도입한 거로 알려졌다.여성 부문 대회 출전 의사를 밝힌 선수에게서 남성 염색체가 확인될 경우, 해당 선수의 검체는 독립적인 전문가에게 맡겨 유전자와 호르몬, 해부학적 또는 내분비학적으로 더 자세히 들여다볼 예정이다. 성별 검사는 각국 복싱 연맹이 시행한 뒤 결과를 월드 복싱에 제출해야 한다. 선수는 결과에 항소할 권리가 있다.월드 복싱의 성 감별 유전자 검사는 올림픽 종목 중 성 감별 유전자 검사를 요구한 건 세계육상연맹 이후 두 번째다. 세계육상연맹은 모든 올림픽 종목 중 가장 엄격하게 성별 제한을 적용한다. 지난 2023년 사춘기 동안 남성 호르몬 영향을 받은 트랜스젠더 선수의 여성 종목 출전을 금지했다. 올해 초엔 여성으로 출생해 남성 수준의 자연적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지닌 선수의 출전도 엄격하게 관리했다.김우중 기자 2025.06.01 12:10
스포츠일반

‘2m31’ 우상혁, 3년 만에 세계실내선수권 정상…3개 대회 1위·1위·1위

높이뛰기 우상혁(29·용인시청)이 3년 만에 세계실내육상선수권대회 정상에 올랐다.우상혁은 21일 오후 중국 난징의 유스올림픽스포츠파크에서 열린 2025 세계육상연맹(WA) 세계실내선수권 남자 높이뛰기 결선에서 2m31을 넘었다. ‘파리 올림픽 챔피언’ 해미시 커(뉴질랜드) 등 경쟁자들이 2m31를 넘지 못하며, 우상혁의 우승이 확정됐다. 우상혁의 세계실내육상선수권 우승은 3년 전 베오그라드 대회(2m34) 이후 두 번째다. 그는했다. 지난해 글래스고 대회에서는 3위(2m28)에 올랐다. 이로써 그는 이반 우코프(러시아) 이후 11년 만에 세계실내선수권 3회 연속 입상에 성공한 선수가 됐다.우상혁은 이날 13명의 출전 선수 중 로메인 벡포드(자메이카)에 이어 두 번째 순서로 나섰다. 첫 시도에서 2m14를 넘었고, 2m20도 가뿐히 상공했다. 점프 2회 성공한 6명 중 가장 먼저 세 번째 도선에 나선 그는 2m24를 넘진 못했다. 경쟁자인 커도 2m24에서 고배를 마셨다. 올레 도로시추크(우크라이나)가 2m24를 넘으며 선두를 꿰찼다. 레이몬드 리차즈(자메이카) 역시 어깨를 나란히 했다.우상혁은 두 번째 시도에서 2m24를 넘었다. 이어 2m28에서도 가장 먼저 성공했다. 커는 2m28을 넘으며 우상혁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이어 리차즈, 일라이자 코시바(미국)도 추격했다.희비는 2m31에서 엇갈렸다. 우상혁은 1번 주자로 나서 2m31을 넘었다. 커, 도로시추크, 리차즈, 코시바는 세 번의 시도에서 바를 넘지 못했다. 커가 2m28로 2위, 같은 기록을 남긴 리처즈, 코시바, 도로시추크가 실패 횟수에 따라 3~5위에 올랐다.우상혁은 지난달 체코 후스토페체 실내대회에서 시즌 첫 점프를 해 2m31로 우승했다. 19일에는 슬로바키아 반스카비스트리차 대회에서도 정상(2m28)에 올랐다. 실내 시즌 종료를 알리는 세계실내선수권에서도 우승하며, 올해 치른 3개 국제대회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파리 올림픽에서 7위(2m27)에 그쳐 잠시 좌절했던 우상혁은 “올해 다시 행복한 점프를 하겠다”며 새로운 출사표를 올린 바 있다. 올해 우상혁이 중요하게 여기는 3개 대회는 이번 세계실내선수권, 5월 경북 구미 아시아육상선수권, 9월 도쿄 실외 세계선수권이다. 우상혁은 중국으로 출국하며 우승을 약속했는데, 약속대로 시상대 중앙에 올랐다.김우중 기자 2025.03.21 23:00
스포츠일반

IOC의 혁명...'여성 + 아프리카 출신' 최초로 짐바브웨 코번트리가 IOC 위원장 됐다

보수적인 것으로 악명 높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역사상 첫 여성 IOC 위원장이 탄생했다. 주인공은 짐바브웨의 수영 레전드 커스티 코번트리(41·짐바브웨)다.코번트리는 20일(현지시간) 그리스 코스타 나바리노에서 열린 제144차 IOC 총회에서 제10대 위원장으로 선출됐다.신임 위원장으로 6월에 부임할 코번트리의 임기는 8년이며, 한 차례 4년 연장할 수 있어 최장 12년간 '세계 스포츠계 대통령'으로 일할 수 있다.코번트리는 1차 투표에서 전체 97표 가운데 당선에 필요한 과반인 49표를 정확하게 얻었다.그 뒤를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주니어(65·스페인) IOC 부위원장이 28표로 이었고, 강력한 경쟁자로 거론됐던 서배스천 코(68·영국) 세계육상연맹 회장은 8표 득표에 그쳤다.이 밖에 다비드 라파르티앙(51·프랑스) 국제사이클연맹 회장과 와타나베 모리나리(66·일본) 국제체조연맹 회장이 각각 4표, 요한 엘리아쉬(63·스웨덴) 국제스키스노보드연맹 회장과 파이잘 알 후세인(61) 요르단 왕자가 각각 2표를 획득했다. 대한민국 전북이 도전장을 낸 2036 하계올림픽 개최지 선정은 코번트리 위원장 당선인이 주도하는 IOC 총회에서 투표로 결정된다.코번트리는 유일한 여성 후보로 짐바브웨 체육부 장관과 IOC 선수 위원을 거쳐 성별의 벽을 넘어 역사를 썼다. 또 코번트리는 아프리카 대륙 출신으로는 최초로 위원장에 올랐다.코번트리는 2004 아테네 올림픽 수영 여자 배영 200m와 2008 베이징 올림픽 같은 종목 금메달을 딴 올림픽 챔피언 출신이다.이은경 기자 2025.03.21 09:07
스포츠일반

김홍록, 2025 서울마라톤 국내 남자부 우승

김홍록(한국전력공사)이 2025 서울마라톤대회 겸 제95회 동아마라톤대회에서 국내 남자부 우승을 차지했다. 이번 대회는 16일 오전 8시 광화문광장 앞을 출발한 후 서울시 일원을 돌아 잠실종합운동장으로 마무리하는 42.195㎞ 풀코스로 진행됐다. 김홍록은 2시간12분29초 기록으로 본인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 인해 김홍록은 작년에 이어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경기 종료 후 김홍록은“좋은 기록으로 우승하여 기분은 좋지만, 기록이 목표했던 것보다 좋지 않아 아쉽다”라며“하반기에 2시간 9분대에 들어갈 수 있도록 도전하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2위는 2시간13분41초를 기록한 이정국(코오롱)이, 3위는 2시간14분43초를 기록한 김종윤(국군체육부대)가 각각 차지했다.여자 국내부에서는 임예진(청주시청)이 2시간30분14초를 기록, 본인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2위는 2시간30분18초를 기록한 김도연(삼성전자), 3위는 2시간30분31초의 최경선(제천시청)가 각각 차지했다.남자 국제부에서 하프투 테클루 아세파(에티오피아)가 2시간5분42초를 기록,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 종료 후 하프투 테클루 아세파는“날씨 때문에 힘든 경기였지만 우승하여 기분이 좋다”라며 짧은 소감을 밝혔다. 2시간5분44초를 기록한 펠릭스 킵투 키르와(케나)가 2위를, 3위는 2시간5분50초의 버나드 킵롭 코에치(케냐)가 각각 차지했다.여자 국제부에서 베켈레치 구데타 보레차(에티오피아)2시간21분분36초를 기록,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2위는 2시간22분54초를 기록한 피크르테 웨레타 아드마수(에티오피아), 3위는 2시간23분10초의 메스타우트 피키르 트루네(에티오피아)가 각각 차지했다. 세계육상연맹(WA)으로부터 5년 연속 플래티넘 라벨을 획득한 2025 서울마라톤대회 겸 제95회 동아마라톤대회는 약 4만 명의 마라톤 동호인이 참가했다.이은경 기자 2025.03.16 15:52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