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6건
생활/문화

실감 콘텐트에 꽂힌 LGU+ 황현식, 아시아 찍고 중동으로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가 5G 기반 실감형 콘텐트를 미래 핵심 먹거리로 지목했다. 아시아의 수출 성공 사례를 중동에도 전파해 글로벌 콘텐트 강자로 거듭나겠다는 포부다. 3일 LG유플러스에 따르면, 황 대표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2'에서 자인·셀콤·보다폰 등 글로벌 이동통신사와 퀄컴 등 빅테크 기업을 만나 사업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황 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3년 만에 찾은 바르셀로나에서 글로벌 파트너와 만나 많은 인사이트를 얻고 돌아갈 것"이라며 "이번에 파악한 글로벌 트렌드로 한국에서 비통신 사업을 성장시키고, LG유플러스를 디지털 혁신기업으로 만들어 나가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황 대표는 이번 MWC에서 자인그룹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자인그룹은 중동의 다국적 통신사업자로, 쿠웨이트·사우디아라비아·이라크·수단·요르단·바레인·남수단 등 7개국 약 5000만명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를 중동 지역 진출의 기회로 삼아 현지 고객들에게 자사 XR(확장현실) 콘텐트 등 서비스를 선보이는 데 주력한다. 오만 1위 통신사 오만텔의 최고경영자(CEO)인 셸크 탈랄 세드 마르훈 알 마마리와도 XR 콘텐트 및 솔루션 협력에 관한 협약을 맺었다. 또 말레이시아 3위 이동통신사인 셀콤의 이드함 나와위 CEO와는 K팝 콘텐트 등 공급을 논의했다. 셀콤은 올해 2분기 말레이시아 2위 통신사인 디지와 합병해 가입자 1900만명의 1위 통신사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LG유플러스는 중국 차이나텔레콤·홍콩 PCCW·일본 KDDI·대만 청화텔레콤·태국 AIS·말레이시아 셀콤 등에 누적 2400만 달러(약 290억원) 규모의 XR 콘텐트·솔루션을 수출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XR 콘텐트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 문화 아이콘이 된 K팝 콘텐트도 글로벌 시장에 공급할 계획이다"고 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2.03.03 16:36
축구

'세계 최초 팔로워 3억명' 호날두, EPL 20구단 합계보다 많아

포르투갈 축구 스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36·유벤투스)가 세계 최고의 셀럽다운 기록을 세웠다. 영국 매체 '더선'은 19일(한국시간) 호날두의 소셜미디어(SNS·인스타그램) 팔로워가 세계 최초로 3억 명이 넘어선 소식을 전하며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팔로워를 보유한 인물"이라고 소개했다. 프로레슬러 출신 헐리우드 배우 드웨인 존스(2억 4600만명), 아리아나 그란데(2억 4400만명)이 뒤를 이었다. 호날두의 라이벌 리오넬 메시(바르셀로나)는 2억 1900만명으로 전체 7위다. 스포츠 전문 매체 ESPN은 프리미어리그 20구단 팔로워 합계(1억 7000만명)보다 호날두의 팔로워가 더 많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호날두의 인스타그램 팔로워는 지난해 초 최초로 2억명을 돌파했고, 올해 초 2억 5000만명에 이어 3억명 고지도 가장 먼저 돌파했다. 호날두는 현재 유럽축구연맹(UEFA)이 주최하는 2020 유럽축구선수권대회(유로 2020)를 치르고 있다. 헝가리전와의 조별예선에서 멀티 골을 기록했다. · 안희수 기자 An.heesoo@joongang.co.kr 2021.06.19 13:12
축구

K리그, 전 세계 1900만명이 지켜봤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극복하고 개막한 프로축구 K리그1 개막전 TV 중계 시청자가 전세계적으로 190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9일 프로축구연맹에 따르면 8∼10일, 3일간 열린 2020시즌 K리그1(1부리그) 1라운드 6경기를 중계로 지켜본 시청자는 1554만7000명이다. 유튜브와 트위터에 접속해 K리그1 공식 개막전(전북 현대-수원 삼성) 중계를 지켜본 360만 명을 더하면 전 세계에서 1914만명이 지켜봤다. K리그는 코로나19 여파로 세계 축구 멈춘 가운데 유일하게 개막했다. K리그 중계권은 37개국에 중계권이 팔렸다. 독일 분데스리가는 16일 재개했다. 가장 많은 시청자를 기록한 것은 중국이다. 중국과 마카오에 영상을 중계하는 'K-BALL'(6경기 중계)과 'PPTV'(2경기 중계)의 시청자 수가 580만명에 달했다. 이어 인도와 파키스탄 등 인도권 방송사인 판코드(FANCODE)가 시청자 520만명을 기록했다. K리그 첫 라운드는 볼거리도 풍성했다. 이동국(전북, 1골), 양동현(성남FC, 2골), 주니오(울산 현대, 2골) 등 특급 골잡이들이 득점포를 가동했다. 강원 공격수 조재완은 절묘한 힐킥으로 득점하는 '회오리 슛'을 성공시켜 세계 축구팬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한편 지난 주말 치러진 K리그1 2라운드의 네이버 중계 동시 접속자 수는 3만4102명으로 집계됐고, K리그2는 1만3016명이었다.피주영 기자 akapj@joongang.co.kr 2020.05.19 16:39
야구

WBC 한일 결승전.지난해 TV 시청자 6위

제2회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한·일전이 2009년 세계에서 6번째로 TV 시청자가 많이 지켜본 스포츠 경기로 꼽혔다. 1일 로이터통신과 영국 신문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영국의 이니셔티브 퓨처스 스포츠 엔터테인먼트그룹이 지난 해 단일 스포츠 경기 TV 시청자 수를 조사한 결과, WBC 한일전은 2700만명이 시청한 것으로 집계돼 6위에 올랐다. 부분 시청자까지 포함하면 8천200만명이나 된다. 한일전은 지난해 3월24일 미국 LA 다저스타디움에서 열린 한국과 일본의 WBC 결승을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1위는 지난해 5월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FC바르셀로나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으로 1억900만명이 시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1억600만명이 시청한 미국프로풋볼(NFL)의 &#39슈퍼볼&#39 피츠버그 스틸러스와 애리조나 스틸러스의 경기였다. 한편 지난해 5월 중국 광저우에서 열린 제11회 세계혼합단체배드민턴선수권대회 한국과 중국의 경기도 1900만명이 시청해 전체 10위에 올랐다. 2010.02.01 10:36
게임

온라인게임의 역사 ‘바람의 나라’ 12주년 맞아

세계 최초의 온라인 게임 ‘바람의 나라’가 지난달 12일 열두번째 생일을 맞이했다. 넥슨의 ‘바람의 나라’는 1996년 인기만화가 김진 작가의 동명 만화를 온라인으로 옮겨 화제가 된 게임이다. 2005년 동시접속자 13만명을 기록하고 현재까지도 누적 회원 1900만명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 온라인게임의 ‘역사’를 새로 쓰고 있는 작품이다. 4월 15일 뒤늦게 가진 기념행사에서 김 작가는 “12년 동안 게임 내에서 또 다른 하나의 세계가 완성되어가는 과정을 보는 것 같아 기쁘다. 이런 과정을 함께해준 팬들에게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날 행사는 김 작가 뿐만 아니라 초창기부터 개발에 참여했던 김상범 이사와 넥슨 클래식RPG를 총괄하고 있는 김영구 실장, 바람의 나라 개발팀 황인준 파트장 등이 참석해 개발자와 원작자의 대담 형식으로 진행됐다. 이수한 기자 2008.04.21 10:53
게임

명품 게임 보물창고는 ‘원작 만화’

만화를 원작으로 한 게임은 장수한다? 상용화 12년을 맞은 넥슨의 ‘바람의 나라’ 와 10년째 장수하고 있는 엔씨소프트의 ‘리니지’, 60여개국에 수출된 그라비티의 ‘라그나로크’ 같은 온라인 게임의 공통 분모는 탄탄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원작 만화가 있다는 점이다. 세계 최초의 온라인 그래픽 게임인 바람의 나라가 올해 상용화 12주년을 맞는다. 1996년 첫 서비스를 시작한 이 게임은 국내에만 1900만명의 누적 회원이 있다. 바람의 나라가 이처럼 인기를 얻고 있는 배경에는 게임 콘텐트의 탄탄한 시나리오를 마련한 김진씨의 원작 만화가 있었다. 동명 만화를 원작으로 고구려 시대를 배경으로 전쟁 서사극을 게임 속에 담아냈다. 게임 내에서는 만화 속 캐릭터들을 구현했으며, 삼국 시대 초기를 배경으로 당시의 무기·갑옷 등도 그대로 재현했다. 넥슨의 김영구 실장은 “바람의나라를 서비스하고 업데이트할 때 원작의 존재는 중요한 구심점이 되어왔다” 며 “탄탄한 시나리오와 세계관은 장수 게임이 되기 위한 필수 사항이라고 생각한다” 고 설명했다. 올해 서비스 10년을 맞이하는 엔씨소프트의 리니지 역시 신일숙 작가의 동명 만화에서 초기 설정을 채용했다. 원작은 중세시대를 배경으로 주인공 데포르주 왕자가 자신의 왕좌를 되찾기 위해 의붓아버지 켄 라우헬과 혈투를 벌인다는 줄거리이다. 리니지 게임에서는 무대와 등장인물 등이 차용되었다. 엔씨소프트는 리지니1의 인기에 힘입어 2003년에 이르러 리니지2를 출시했으며, 두 게임을 모두 합쳐 지금까지 1조5400억 원이 넘는 매출을 기록하며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이 밖에도 이명진 작가의 원작을 기반으로 한 그라비티의 라그나로크 또한 온라인게임으로 큰 성공을 거둔 예이다. 2001년 서비스를 시작한 이 게임은 세계 60여 개국에 수출되며 게임한류의 표상으로 자리잡았다. 특히 후속작인 라그나로크2에서는 이명진 작가가 원화 작업부터 이야기 구성에 이르기까지 개발에 직접 참여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업계 전문가는 “만화와 온라인게임의 크로스오버 현상은 인기 만화들의 인지도를 통해 초기 게이머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원작의 탄탄한 시나리오가 게임의 전체적인 세계관을 구축할 때 안정적인 콘텐트를 제공한다"고 분석하며 “만화 장르의 캐릭터성과 스토리 특징이 게임으로 재구성되기 유용한 틀을 갖추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수한 기자 2008.04.14 10:2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