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1건
야구

[김식의 엔드게임] 뛰고 구르고…에드먼턴에서 자란 작은 거인들

2008년 8월 5일 캐나다 앨버타주 에드먼턴 국제공항. 출국 수속을 돕던 직원이 깜짝 놀라 물었다. "뭐라고? 이 친구들이 어제 미국을 박살 낸 야구 선수들이라고? 정말 잘했어! 내가 수하물 수속을 도와줄게. 다들 비행기로 가서 편히 쉬어!" 당시 제23회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대회에 참가했던 18세 이하 한국 대표팀 선수들은 영문도 모르고 짐을 부쳤다. 그 직원은 까까머리 고교생들을 흐뭇하게 바라봤다. 대부분의 키가 170㎝를 겨우 넘었다. 하나같이 순하게 생긴 청년들이 세계 정상에 올랐다니 캐나다 공항 직원은 마냥 신기했던 모양이다. 12년 전 기자는 이 대회를 취재했다. 각국 선수단이 묵는 앨버타대 기숙사에서 이들과 숙식도 함께했다. 그 열흘이 '한국야구의 미래'와 동행하는 행운이었다는 걸 그땐 알지 못했다. 기숙사에서 마주치는 미국·쿠바 선수들은 (조금 과장하자면) 한국 선수들보다 머리 하나씩 더 컸다. 당시 쿠바 대표팀엔 야시엘 푸이그(188㎝) 같은 '거인'이 대부분이었다. 기숙사에서 쿠바 선수들은 틈만 나면 한국 선수들에게 말을 걸었다. 다 찢어진 자신의 배팅 장갑과 한국 선수들의 반질반질한 글러브·방망이를 교환하자는 제안이었다. 가격 차이가 10배 이상 나는 '불공정 거래'였지만, 한국 선수들은 꼭 필요한 장비를 뺀 대부분을 줬다. 말도 통하지 않는 경쟁자 였지만, 야구로 통하는 친구들이었다. 7월 26일 에드먼턴 텔러스필드에서 대회가 시작됐다. 기자실에서 경기를 보고 있는데, 캐나다 관계자가 말을 걸었다. "한국 야구는 정말 대단하다. 체격은 작지만, 빠르다. 강하고 영리하다. 8년 전 나는 바로 이곳에서 추신수를 봤다. 이번에는 또 어떤 선수가 나올지 기대된다." 그는 2000년 에드먼턴 대회에서 우승한 한국 팀을 똑똑히 기억하고 있었다. 2000년 우승 주역이었던 추신수·김태균·이대호 같은 거인이자 천재들이 2008년 대표팀에는 없다는 걸 그는 몰랐다. 기자의 눈에는 2008년 청소년 대표팀이 강해 보이지 않았다. 특히 유격수만 4명(김상수·안치홍·오지환·허경민)이라는 게 불균형하게 느껴졌다. 이들 4명은 서로 유격수를 차지하겠다고 가위바위보를 했다. 물론 장난이었다. 이종운 감독의 지시대로 허경민이 유격수, 안치홍이 3루수, 김상수가 2루수, 오지환이 1루수를 주로 맡았다. 외야에서는 정수빈·박건우가 열심히 뛰어다녔다. 그들은 작지만, 강했다. 촘촘한 수비와 빠른 주루를 바탕으로 탄탄한 팀워크를 만들었다. 강타 대신 연타로 점수를 뽑았다. 강속구보다 계투로 상대 타선을 막았다. 한국 대표팀은 준결승에서 쿠바(선수 일부가 대회 중 미국 망명하긴 했다)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경기를 치를수록 그들은 자신감을 얻었다. "우승할 수 있겠느냐"고 묻자 다들 "할 수 있다"고 답했다. 한국야구 특유의 '스몰볼'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된 것이다. 8월 4일 결승전. 0-0이던 2회 정수빈(현 두산)이 내야안타로 출루해 투수 보크와 도루로 3루까지 진루했다. 포수가 공을 빠뜨리자 그는 홈으로 쇄도, 선취점을 뽑았다. 3회에는 김상수(현 삼성)와 오지환(현 LG)의 안타로 추가점을 올렸다. 5회에는 김재윤(현 KT)과 정주현(현 LG)의 안타로 3-0을 만들었다. 이어 안치홍(현 롯데)의 3루타와 장영석(현 KIA)의 희생플라이도 나왔다. 선발 투수 성영훈(은퇴)은 완봉투로 7-0 완승을 이끌었다. 한국 선수들은 에드먼턴에 모인 또래 중 가장 작았다. 그러나 가장 열정적이었고, 영민했다. 미국과의 예선전서 3-4로 진 건 어쩌면 전략 같았다. 그들의 기량과 전략을 파악해 결승전에서 다시 만나 압도했다. 18세 '작은 거인'들이 합작한 멋진 추억이었다. 2008 베이징올림픽, 2009 월드베이스볼클래식에 앞서 소년들이 한국 야구의 특장점을 먼저 보여줬다. 이들 대부분은 고교를 졸업하고 프로에 입단했다. 같은 유니폼을 입고 깔깔거렸던 친구들의 궤도는 저마다 다르게 뻗었다. 프로에서는 안치홍·김상수가 가장 먼저 주전으로 도약했다. 야수층이 탄탄한 두산에 입단한 허경민·정수빈·박건우가 1군에 오르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서로 다른 길을 가지만, 이들은 매년 겨울 만나 '에드먼턴 동기회'를 열었다. 그중 누구는 먼저 주전이 되고, 억대 연봉을 받고, FA(자유계약선수) 자격을 먼저 얻었다. 그들 사이에서도 성공과 실패가 엇갈렸다. 그리고 몇 년 만에 반전도 이뤄졌다. 이 과정을 함께 거친 1990년생 친구들은 유독 끈끈하다. 서로를 인정했고, 응원했다. 체격·지명순위 등 '스펙'이 화려하지 않았지만, 대부분은 10년 이상 KBO리그에서 살아남았다. 12년 전 그들이 만든 팀처럼, 각자의 자리에서 치열하게 뛴 덕분이다. 이번 스토브리그에서 허경민과 정수빈의 FA 계약을 보니 옛날이야기가 떠올랐다. '에드먼턴 키즈'는 2년 전부터 FA 자격을 얻기 시작했다. 하필 시장이 썩 좋지 않을 때다. 그래도 여러 세대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FA가 바로 이들이다. 허경민은 가장 늦게 주전이 됐지만, 올겨울 FA 최고 우량주였다. 그는 두산과 계약하자마자 친구인 정수빈을 쫓아다니며 "두산에 함께 남자"고 졸랐다고 한다. 결국 두산과 계약한 정수빈은 "나중에 박건우도 함께하자고 꼬셔보겠다"고 했다. 이어 정수빈이 덧붙인 말은 한결 같은 그의 플레이를 떠오르게 했다. "나는 은퇴할 때까지 수없이 넘어지고 구르고 싶다. 부상을 두려워하지 않고, 허슬 플레이를 하겠다." 그게 2020년 스토브리그에서 정수빈의 가치였다. 에드먼턴 키즈의 경쟁력이고, 한국 야구의 강점이다. 김식 스포츠팀장 2020.12.18 06:01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