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지난해 7월 김판곤(오른쪽) 감독이 울산 공식 취임 기자회견에서 김광국 대표로부터 축하 인사를 받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IS포토 김판곤(56) 감독이 울산 HD에서의 최종전에서도 쓴잔을 들이켰다. 28년이라는 기다림 끝에 친정으로 돌아온 김 감독의 여정은 1년 만에 마침표를 찍었다.
울산은 지난 2일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열린 수원FC와의 하나은행 K리그1 2025 20라운드 순연 경기서 2-3으로 역전패했다. 울산은 리그 7위(8승7무9패·승점 31)를 지켰다. 공식전 무승 기록은 11경기(3무8패)로 늘었다.
이 경기는 김판곤 감독의 울산 고별전이었다. 김 감독은 올해 팀의 성적 부진으로 인해 입지가 좁아졌고, 급기야 서포터스로부터 “나가”라는 구호를 듣기까지 했다.
구단은 김판곤 감독과 결별을 택했지만, 마무리는 깔끔하진 않았다. 김 감독은 자신의 거취에 대한 소식을 언론으로부터 먼저 접한 뒤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가, 결국 지난 1일에야 상호 합의로 계약 해지라는 결말에 도달했다. 김 감독은 하루 뒤인 수원FC전까지 팀을 이끈 뒤 씁쓸한 마침표를 찍었다.
28년의 기다림이 1년 만에 끝났다. 김판곤 감독은 지난 1992년 프로 데뷔해 5년간 울산 유니폼을 입은 인물. 1996년에는 구단의 첫 리그 우승을 합작한 기억이 있다. 은퇴 뒤엔 홍콩, 말레이시아 등에서 지도자 생활을 하다 지난해 7월 친정팀인 울산의 지휘봉을 잡았다. 시즌 중 대표팀으로 떠난 홍명보 감독의 자리를 대신했다. 지도자 생활 중 K리그에서 정식 사령탑이 된 건 이번이 처음이기에, 우려의 시선이 공존했다. 김 감독은 팀을 떠났던 28년 전 겨울을 떠올리며 "도장 깨기에 임하는 각오"라며 리딩 구단을 이끄는 포부를 전했다.
결과적으로 김판곤호 울산은 절반의 성공만 거뒀다. 지난해 김판곤 감독은 부임 당시 리그 4위였던 팀을 잘 추슬러 정상까지 이끌었다. 구단 최초 리그 3연패라는 위업도 이어갔다.
4연패에 도전한 올해는 위용을 잃었다. 부임 당시 약점으로 지적받은 베테랑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여러 젊은 선수들을 품었지만, 효과가 밋밋했다. 시즌 중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ACLE), 국제축구연맹(FIFA) 클럽 월드컵을 병행하기엔 선수단도, 전술 완성도도 떨어졌다. 특히 클럽 월드컵을 위해 백3 카드를 꺼내며 급격한 변화를 시도하기도 했으나, 결국 3전 전패라는 아쉬움만 남겼다.
김판곤 감독은 수원FC전 뒤 취재진을 통해 "시원섭섭하다"며 "울산에서 받은 사랑 덕분에 후회는 없다"는 소회를 전했다. 또 울산이 아시아에서 위용을 되찾도록 매일 응원하겠다는 메시지도 전했다.
울산은 김판곤 감독의 후임으로 신태용 전 인도네시아 감독을 낙점하는 등 새 시대를 열려고 한다. 신 감독은 제의를 받은 뒤 심사숙고 중이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