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195건
생활문화

전기, 에너지 연구 분야 권위자 국립부경대학교 전기공학과 권성열 교수, 혁신 연구 이어가..

심화되는 이상 기후 현상으로 인해 인류의 생존이 위협받게 되면서 에너지 패러다임이 친환경 신재생에너지로 급속히 전환되는 추세다. 이런 가운데 전기 및 에너지 분야 연구에서 많은 업적을 이룬 국립부경대학교 전기공학과 권성열 교수가 집중 조명을 받고 있다. 2024 일간스포츠 선정 혁신한국인 파워코리아 대상을 수상한 권성열 교수는 경북대학교에서 공학 박사, 프랑스 Limoges 대학교 물리학과에서 박사 후 과정을 수료하고 1993년부터 대학 강단에 섰다. 2002년 부경대 전기공학과 교수로 부임한 뒤 전력전자 시스템, 자동 제어 시스템, 전력 시스템, 에너지 변환 시스템 등에 대해 강의하며 전기/에너지 분야 인재를 양성해왔다. 한편, 그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이는 유리 사이에 흡착된 특수 염료 분자가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로 전환하는 저가형 박막 태양전지로서 저조도에서도 잘 작동하고 제작비용이 적게 든다. 개발이 완료되면 저비용으로 친환경 에너지를 얻게 되므로 DSSC에 대한 미래 전망이 밝다. 권 교수는 영국 국제인명센터(IBC)가 발행하는 ‘21세기 뛰어난 지성 2,000인’ 2016년판에 등재됐다. 또 100여 년 역사를 가진 세계인명사전 ‘마르퀴즈 후즈 후’(Marquis Who‘s Who in the world)에 7년 연속 등재됐고, 2018년 미국 스포타임이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로 선정했다. 전기/에너지 연구 분야 권위자로서 방위산업체 관련 정부지원사업/국가연구지원사업 기술평가/자문위원이자 부산광역시 민선9기 공약자문평가단(저탄소그린도시 분과)에서 활동한 권 교수는 “세계 각국이 탄소중립, RE100을 실천하며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하는 시대에 에너지와 식량이 부족해질 상황에 대비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려면 4C(Creativit, Communication, Cooperation, Critical thinking) 스킬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를 길러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정부가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전기/에너지 분야 인력 양성에 대한 중장기 비전을 수립하고 전폭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4.12.03 09:00
생활문화

[황교익의 Epi-Life] 살이냐 껍질이냐 이것이 문제로다

허영만 만화 '식객'에 고등어자반 굽는 법이 나왔는데 식객 공식 게시판을 통해 가사 선생님이 문제를 제기한 사건이 발생한 적이 있습니다. 선생님께서는 생선을 구울 때 살 쪽부터 굽는다고 학생들에게 가르쳤는데, 학생들이 식객에는 다르게 나왔다고 항의를 했습니다. 만화 식객 제작진은 이 문제에 진지했습니다. 식객 제작진은 연구자가 아니라 기록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등어자반을 어떻게 구워야 맛있는지 연구하여 만화를 그리는 것이 아니라, 맛있어 보이는 고등어자반 구이 방법을 찾아내어 만화에 반영하는 작업을 하였던 것이지요. 제작진은 “각종 조리법이나 조리과학은 오직 하나의 정답만을 요구하는 수학이 아님을 알려드리고 싶습니다”고 전제를 한 다음에 관련 자료를 찾아서 게시판에 올려주었습니다.“생선은 살부터 굽는 것이 껍질이 깨끗이 구워지므로 (중략) 그러나 맛있게 굽고 싶으면 껍질을 먼저 굽는 것이 좋다. 그것은 껍질부터 굽는 것이 생선에 남는 맛있는 성분이나 수분의 양이 많고 부드럽다. 껍질 쪽을 60% 정도 굽고 나서 살 쪽에서 나머지를 굽는 것이 좋다.” ('누구나 알아두면 좋을 우리 생선 이야기' 김소미 외 공저, 효일)“석쇠를 중간 불로 달군 다음 기름을 발라 살 쪽부터 익힌다. 익으면 뒤집어서 껍질 쪽을 익힌다.”('중학1 기술' 삼치구이 편, 대한교과서 가정 자습서)식객 취재진은 여러 책에 실린 생선 굽는 법을 분석했고, 결론은 이러했습니다.“두산동아, 지학사, 교학사, 금성출판사, 형설, 천재교육에서 나오는 자습서를 확인해본 결과 굽는 순서에 대한 정확한 명시는 없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생선 굽기에 있어 등 쪽(껍질)이냐 배 쪽(살)이냐는 솔직히 무의미한 논쟁일 수도 있습니다. 맛으로 따져도 어느 쪽이 월등히 좋다라고 판단하기에 무리가 따릅니다. 그것은 조리에 수많은 변수가 따르기 때문입니다.”다소 뜬금없이 던지는 정답 없는 질문을 저는 좋아합니다. 버릇처럼 해오던 일도 “왜 그렇게 하는데?” 하고 질문을 받게 되면 그와 관련한 일의 근원부터 다시 생각하게 되고, 뫼비우스의 띠를 타고 도는 ‘망상’의 즐거움에 흠뻑 빠져들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그 무렵에 저는 어느 일식 조리서를 읽고 있었는데, 그 책에는 생선 굽는 방법에 대해 바다생선과 민물생선을 나누어 설명하고 있었고, 바다생선 굽는 법은 이렇게 적어두고 있었습니다.“접시에 담을 때 위로 올라오는 쪽을 먼저 굽는다. 바다생선은 껍질 쪽을 위로 해서 올리므로 껍질부터 굽는다. 뒤에 굽는 부위는 불에 떨어진 기름이 타서 그을음이 생겨 모양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번역서인데 문장이 난삽해 제가 다시 고쳐 썼습니다.)'누구나 알아두면…'에서는 껍질을 깨끗하게 구우려면 살부터 먼저 구우라고 했는데, 이 책은 껍질을 깨끗하게 구우려면 껍질부터 구우라고 합니다. 이런 일은 불과 조리도구의 차이에서 오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프라이팬에서 굽는가 아니면 직화로 굽는가의 차이. 그러니까 프라이팬에서 생선을 구우면 생선 껍질이 벗겨져 팬에 달라붙게 되고, 그 다음에 생선을 뒤집어서 구우면 팬에 눌어붙어 있던 껍질이 살에 달라붙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말이지요, 일식 조리서는 직화구이인데 껍질부터 구우라고 하고 '중학1 기술'도 직화구이인데 살부터 구우라고 합니다. 참 복잡합니다.고등어자반 굽는 방법은 다양합니다만, 그 방법들이 목표하는 지점은 ‘겉바속촉’으로 한결같습니다. 먼저 굽는 게 살이냐 껍질이냐 하는 결정은 ‘겉바속촉’으로 가는 한 과정일 뿐입니다. 프라이팬 구이를 한다고 생각해봅시다. 자신에게 주어진 고등어자반이 순살인지 등뼈가 붙어 있는 전통적 자반인지부터 검토해야 합니다. 여기에 전분이나 밀가루를 입힐지, 입히더라도 껍질 쪽만 입힐지 전체에 입힐지 결정합니다. 그런 이후에야 껍질과 살 둘 중에 어느 쪽을 먼저 구울지 대충 감을 잡을 수 있습니다.단 하나의 방법이 정답이라는 주장은 재미도 없고 또 논리적이지도 않습니다. 자신에게 주어진 여러 조건을 분석하고 그에 맞는 대처법을 찾아나가는 것이 요리의 세상입니다. 2024.11.07 07:00
사회

㈜인투씨엔에스, 농식품부 ‘농림축산식품 과학기술대상’ 장관상

㈜인투씨엔에스는 28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제27회 농림축산식품 과학기술대상’에서 축산기술 분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고 밝혔다.농식품부는 1998년 ‘대한민국농업과학기술상’을 시작으로 매년 농림축산식품 분야의 우수기술 개발과 확산을 통해 농식품산업 발전에 기여한 연구자를 선정해 시상하고 있다.올해로 27번째를 맞이한 이번 시상식에서는 산업포장, 대통령 표창, 국무총리 표창, 농식품부장관 표창 등 총 27명에 대한 시상과 수상자 성과물 전시가 함께 진행되었다. 시상은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이 4월부터 약 6개월에 걸쳐 출품 기관의 기술적 완성도, 공익 기여도, 성과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이뤄졌다.인투씨엔에스는 국내 최초 동물병원 전용 EMR 시스템 인투벳GE(IntoVetGE) 개발을 시작으로 동물병원 EMR과 PACS(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연동 시스템을 개발하여 동물병원의 영상 진단 및 데이터 관리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반려동물 보험 자동청구 시스템을 개발하여 보험 청구 절차를 자동화하고 동물병원과 보호자 간의 청구과정을 투명하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또한 세계 최초로 동물병원 EMR과 연동되는 건강관리 앱 ‘인투펫’을 개발, 반려동물 보호자가 모바일 앱을 통해 반려동물의 동물병원 방문내역, 예약, 복약 및 건강 관리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은 인투씨엔에스의 수상에 대해 “동물병원용 IT 기술 혁신을 통해 국내 반려동물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며 “향후 이러한 기술 혁신을 통해 반려동물의 기대 수명을 연장하고, 국내 반려동물 산업의 생태계를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인투씨엔에스는 인투벳GE를 통해 병원 운영부터 고객관리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동물영상저장전송시스템, 무인접수수납시스템(키오스크), 전자동의시스템, 진료대기시스템, 환자모니터링시스템(wearable device), 모바일시스템 등 다양한 서비스의 차세대 스마트 동물병원 통합운영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인투씨엔에스의 허성호 대표는 “오랜 기간 수의산업 발전을 위해 힘써 온 공로를 인정받아 기쁘다”며 “앞으로도 기술을 통한 반려동물 복지를 증진하고 대한민국 반려동물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2024.10.30 14:35
경제일반

성신여대 청정융합에너지공학과 한혁진 교수 ‘위상 금속 나노구조체’로 미래 반도체 핵심 소재 토대 마련해

반도체 배선은 전통 학문인데다 기술이 완성된 상태여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기 쉽지 않으나 과감한 도전을 통해 구체적 성과를 낸 신진 연구자가 있다. 성신여자대학교 청정융합에너지공학과의 한혁진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 한 교수는 나노 단위 소재를 합성해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연구자답게 미개척 분야 연구에 도전하기를 좋아한다. 카이스트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미국 예일대에서 실리콘/금속산화물과 같은 전통적인 소재가 아닌 위상 금속을 주제로 새로운 나노 구조체 제어법에 대해 연구한 그는 글로벌 탄소중립 기조에 맞춰 에너지 소비 감축을 목적으로 자신이 만든 새로운 위상 금속을 반도체 배선에 적용했다. 이후 반도체 구리 배선을 대체할 특성이 있는 위상 금속 나노구조체를 반도체 배선 소재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작성했으며 이는 저명한 국제학술지 에 게재되었다. 이 연구 성과를 계기로 성신여대에 부임한 한 교수는 ‘구조제어 나노물질 연구실’을 개설하고 기능성 나노 물질 합성/제작, 기능성 나노 물질을 이용한 응용 소자 제작 등 두 가지 테마로 연구하고 있다. 한 교수 연구팀은 가천대학교, 미국 코넬대학교와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차세대 반도체 배선 소재로 꼽히는 위상 금속은 표면 전자의 산란이 없는 이상적인 전도체를 형성하는 특성을 지녀 기존 배선 소재인 구리를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위상 금속을 반도체 소재로 활용하려면 나노 구조의 위상 금속 합성이 필수인데 주로 벌크 형태로 위상 금속 합성 연구가 진행돼 나노 규모에서의 위상 금속 결정화 과정을 밝히기가 어려웠다. 공동연구팀은 반복 연구․실험을 통해 1차원화된 위상 금속 물질 텅스텐 포스파이드(WP) 결정화가 35nm 이하 영역에서 선폭의 영향을 받아 이인화 텅스텐(WP2)으로 새롭게 결정화되는 경로를 세계 최초로 규명해냈다. 관련 연구 논문은 인용 지수가 높은(16.6) 세계 최상위 저널 7월호(온라인판)에 게재됐다. 2024 일간스포츠 선정 혁신한국인 파워코리아 대상을 수상한 한혁진 교수는 “위상 금속 결정화 과정을 밝힌 것은 미래 반도체 핵심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에 중요한 토대를 마련한 것일 뿐만 아니라, 나노 단위 위상 금속 결정화 연구의 단초를 제시하고 향후 초고집적 반도체 개발의 새로운 길을 연 것”이라고 말했다. 2024.10.02 10:40
골프일반

[뱁새 김용준 프로의 골프모험] 지켜야 할 것을 지키자고 말할 용기를 잃지 말기를

막대기 세 개가 있다. 길이가 각각 서로 다른 막대기이다. 제일 긴 막대기를 A라고 정하고 그 다음 긴 것을 B라고 정하자. 가장 짧은 막대기는 C라고 정하고. 셋 중에 가장 긴 막대기를 고르라고 하면 독자는 어떤 것을 꼽겠는가? 당연히 A를 꼽는다고? 그럴 것이다. 눈이 삐지 않는 이상 B를 꼽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C는 말할 것도 없고. 그런데 어떤 상황에서는 똑같은 질문에 답을 다르게 할 때가 있다. 에이 설마, 그런 일이 있을 수 있느냐고? 있을 수 있다. 뱁새 김용준 프로가 근거 없는 이야기를 한 적이 한 번이라도 있는가? 이야기를 계속 들어보기 바란다.어느 대학교 심리학과 연구실에서 실험을 했다. 실험 참가자 열 명을 둥근 테이블에 앉혔다. 그리고 아까 그 막대기 세 개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참가자에게 순서대로 질문했다. 가장 긴 막대기는 어느 것이냐고? 실험 결과를 알려주기 전에 이 실험에 대해 조금 더 설명을 하겠다. 테이블에 앉은 열 명 가운데 진짜 실험 참가자는 한 사람뿐이었다. 나머지 아홉 명은 연구자가 기용한 사람이었다. 아홉 명이 미리 짜고 답을 한 것이다. 아홉 사람이 내놓은 답을 들은 뒤에 실제 실험 참가자인 맨 마지막 사람이 어떻게 답을 하는 지를 보는 것이 실험 내용인 것이다. 왜 이런 실험을 하느냐고? 실험 결과를 들으면 독자도 이해할 것이다.A와 B 그리고 C 가운데 길이가 가장 긴 막대기는 당연히 A이다. 그런데 둥근 테이블에 앉은 사람 가운데 맨 먼저 답을 한 사람이 ‘B’를 고른다. 너무나 태연하게 ‘B가 가장 길다’고 답을 하는 것이다. 맨 마지막에 답을 할 순서가 오는 실제 실험 참가자는 자신의 눈과 귀를 의심할 것이다. ‘엥! 무슨 소리야? B가 가장 길다니? A 아니고? 저 인간이 눈이 삐었나?’라는 생각을 하면서 말이다. 놀라운 일은 이제부터이다. 첫 번째에 이어 두 번째 사람도 ‘B가 가장 길다’고 답을 한다. 당당하게 말이다. 실제 실험 참가자는 어안이 벙벙할 것이다. 이어서 나머지 참가자가 모두 ‘B가 길다’고 답을 한다. 그리고 마침내 진짜 실험 참가자 차례가 돌아온다. 그는 어떻게 답을 할까? 과연 자기 눈에 가장 길게 보이는 ‘A’를 고를까? 아니면 다른 답을 할까? 여러 사람을 그 마지막 자리에 번갈아 앉히고 실험을 되풀이 한 결과는 놀랍다. 대부분이 A가 아닌 B를 고른 것이다. 당연히 가장 길게 보이는 A를 꼽지 못했다는 이야기이다. 이 대목에서 고개를 끄덕인다면 지성이 상당한 독자가 틀림 없다. 이 실험 결과를 보고 여러 가지 해석을 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남이 다른 의견을 내뱉으면 자신이 가진 소신을 이야기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우물쭈물 하다가 뻔한 진실도 말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는 말이다.골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너무나 당연한 것을 이야기 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생긴다. 지켜야 할 것을 지키자고 말하지 못할 때가 많다는 말이다. 골프에서 지켜야 할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공을 놓인 그대로 쳐야 한다는 원칙이 그렇다. 코스를 손대지 말고 있는 그대로 플레이 해야 한다는 원칙도 그렇다. 에티켓을 잘 지키며 신속하게 경기해야 한다는 원칙도 그렇다. 코스를 보호해야 한다는 의무도 그렇다. 그런데 다른 플레이어가 이런 원칙을 무시하며 플레이를 한다면? 지킬 것은 지키자고 말할 수 있는가? 정말 어렵다. 원칙을 무시하는 플레이어가 지위가 높거나 돈이 많거나 성질이 지* 맞기까지 하면 더 그렇다. 뱁새 김 프로에게 전자 우편으로 이런 어려움을 토로하는 골퍼가 제법 많다. 원칙을 지키자고 채근하는 자신이 오히려 뭔가 잘못한 것이 아니냐는 자괴감마저 든다는 하소연도 있다. 절대 그렇지 않다. 독자가 잘못한 것이 아니다. 지킬 것을 지키자고 말하기는 누구나 어렵다. 뱁새도 마찬가지이다. 싫은 소리를 하고 나면 관계가 소원해지다 못해 끊어지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그래서 매번 용기를 내지는 못한다. 그래도 지킬 것을 지키자고 말을 하는 독자가 진짜 용기 있는 지성인이다.위에서 이야기한 실험을 살짝 비튼 실험도 있었다. 미리 짠 아홉 명 모두가 ‘B가 가장 길다’고 거짓말을 하고 나서 마지막 사람이 어떤 답을 하는 지 보는 것이 첫 실험이었다. 변형한 새 실험에서는 미리 짜고 답을 하는 아홉 명 중 한 두 사람이 사실대로 ‘A가 가장 길다’고 말을 했다. 그랬더니 놀라운 결과가 나왔다. 첫 실험 때 보다는 훨씬 많은 사람이 ‘A가 더 길다’고 답을 한 것이다. 물론 모두가 진실을 말한 것은 아니었다. 다수에 눌려 A를 꼽은 사람이 여전히 더 많았다. 그래도 새 실험은 가치 있는 사실을 증명했다. ‘비록 소수라도 진실을 말하는 사람이 있다면 용기를 얻는 사람이 생긴다’는 것을 말이다. 골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독자가 낸 용기가 골프를 골프로 만드는 것이다. 뱁새도 더 용기를 내겠다고 독자에게 약속한다. ‘뱁새’ 김용준 프로와 골프에 관해서 뭐든 나누고 싶은 얘기가 있다면 메일을 보내기 바란다. 지메일 ironsmithkim이다. 김용준 KPGA 프로 2024.09.25 08:16
IT

추론 능력 갖춘 챗GPT 새 모델 '수학올림피아드 정답률 83%'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추론하는 능력을 갖춘 챗GPT를 내놓았다. 새 챗GPT에 탑재된 새 모델 '오픈A o1(오원·이하 o1)이다. 오픈AI는 12일(현지시간) "새로운 챗봇은 'o1'을 기반으로 수학과 코딩, 코딩 관련 작업을 통해 '추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o1'은 오픈AI가 그동안 '스트로베리'(Strawberry)라는 코드명으로 추론 능력에 초점을 두고 개발해 온 AI 모델이다.오픈AI 수석 과학자인 야쿱 파초키는 "챗GPT와 같은 이전 모델은 질문을 하면 즉시 응답하기 시작하지만, 이 모델은 시간이 걸릴 수 있다"며 "영어로 문제를 생각하고 분석하고 각도를 찾아 최선의 해답을 제시한다"고 말했다.이용자의 질문에 대한 답을 내놓기까지는 기존 모델보다 시간이 걸리지만, 단계적인 사고 과정을 통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한다.뉴욕타임스(NYT)는 "챗GPT나 구글의 제미나이와 같은 AI 챗봇은 때때로 간단한 수학 문제를 푸는 데 어려움을 겪고, 버그가 많고 불완전한 경우가 많으며 때때로 답을 지어내기도 한다"며 "새 모델은 이런 결함을 완화할 수 있다"고 전했다.오픈AI는 이 모델이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예선 시험에서 이전 모델 정답률이 13%인 데 비해 83%의 정답률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또 이 모델은 물리학자들이 복잡한 수학 공식을 만들고 의료 연구자들의 실험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오픈AI는 'o1'의 추론 능력을 보여주는 영상도 공개했다."Strawberry에 몇 개의 'r' 이 있나?"라는 질문에 정확히 "3개"라고 답하는가 하면 기존 AI 모델이 풀지 못한 복잡한 퍼즐도 단계별로 풀어나갔다.특히 한국인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수 있는 한국어를 영어로 번역했다."직우상 얻떤 번역깃돋 일끌 슈 없쥐많 한국인듦은 쉽게 앗랍볼 수 있는 한끌의 암혼화 방펍잇 잊다"(지구상 어떤 번역기도 읽을 수 없지만 한국인들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한글의 암호화 방법이 있다)라는 문장을 "No Translator on Earth can do this, but Koreans can easily recognize it"이라고 맞게 번역했다.이 새로운 모델은 오픈AI가 인간 수준의 AI인 범용인공지능(AGI)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다.오픈AI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은 이 모델을 "새로운 패러다임"이라며 "범용의 복잡한 문제를 추론할 수 있는 AI"라고 말했다. 다만 "이 기술이 여전히 결함이 있고,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오픈AI는 'o1'의 기본 모델과 함께 소형 모델인 'o1-mini'(오원-미니)도 공개했다. 'o1'는 텍스트로 답을 제공하며 이미지와 영상을 제공하지는 않는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9.13 09:31
생활문화

전문적인 기술연구 통해 AI 로봇 연구 차별화 구현하는 숭실대학교 김희원 교수

스스로 학습․판단해 인간 개입 없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로봇(AI robot)이 여러 분야에 적용되면서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숭실대학교 IT대학 글로벌미디어학부 김희원 교수에게 이목이 모아진다. 2024 일간스포츠 선정 혁신한국인 파워코리아 대상을 수상한 김희원 교수는 컴퓨터 비전 기반 인공지능 로봇 연구자로서 삼성전자와 영상 복원 알고리즘에 관해 연구했다. 이를 통해 휴대폰 영상 확대 시 화질이 더욱 선명해지는 결과를 얻고 논문을 작성하여 CS 분야 탑 콘퍼런스에서 발표했는데 이는 피인용지수가 1만 회나 될 정도로 크게 관심을 받았다. 그는 미국 반도체 제조사 퀄컴(Qualcomm), AI 컴퓨터 기업 엔디비아(NVIDIA)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며 자율주행에 관해 연구했다. 이때 작성한 연구 논문 ‘실용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적응형 심층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로 2023년 서울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이 실적으로 숭실대 교수로 부임한 후 리얼리티 연구실을 개설해 가상현실/증강현실을 위한 다양한 컴퓨터 비전과 기계 학습 주제에 관해 연구했다. 특히 인공지능이 인간에 가까운 지능을 갖도록 디지털 이미지에서 정보를 추출․인식하는 연구와 함께 AI 기반 딥러닝, 2D/3D 비전, 이미지 복원, 언어 모델, 스포츠, 의료, 로봇, 천문학, 미디어아트에 연구에 몰두하는 중이다. 김 교수 연구 팀은 지난 6월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인공지능 로봇 조작 챌린지 세계대회’(ARNOLD Challenge)에서 ‘상태 보간을 이용한 단계-특화 에이전트 알고리즘을 제시했다. 이로써 3위에 입상했으며 그가 이끄는 연구팀을 세계가 주목하는 연구 그룹으로 성장시키는 쾌거를 올렸다. 글로벌미디어학부 학생들이 전문성을 키우도록 연구와 교육에 최선을 다하는 김 교수는 “숭실대가 메타버스융합대학원 지원사업, AI융합보안대학원 지원사업에 선정돼 이에 참여하게 됐다”고 말했다. 2024.08.31 11:30
IT

LG, 구광모가 점찍은 AI 모델 상용화 '박차'

LG그룹이 구광모 회장이 점찍은 인공지능(AI)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룹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 '엑사원(EXAONE)'의 성능을 연이어 향상시키고 있다. AI를 중심에 놓고 새로운 고객경험과 혁신을 이뤄내겠다는 게 LG그룹 전략의 핵심인 만큼, 향후 엑사원을 활용한 LG그룹 제품·서비스 출시도 연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엑사원 3.0' 오픈소스 공개21일 재계에 따르면 LG AI연구원은 최근 엑사원(EXAONE) 3.0 경량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오픈소스란 AI 모델이나 소프트웨어 등의 개발 소스코드를 공개하는 것을 말한다. 설계 기본이 되는 소스코드를 알면 소프트웨어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 수 있어 이를 기초로 변형·응용한 모델을 추가 개발할 수 있다.배경훈 LG AI연구원장은 “엑사원은 리눅스 운영체제(OS)처럼 개방적인 연구가 가능하다”며 “국내외 AI 연구자들이 의미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 AI 생태계가 한걸음 나아가는 데 힘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엑사원은 메타(라마 3.1)와 구글(젬마 2)이 내놓은 오픈소스 AI와 비교해도 높은 경쟁력을 갖췄다는 게 LG의 설명이다. 실제 벤치마크(성능평가 지표) 25개 부문 중 13곳에서 1위를 거머쥐었다. 한국어 실제 사용성은 8.77점으로 구글 젬마(8점)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영어 실제 사용성(57.5점)과 수학(57.1점), 코딩(59.7점)에서도 1위에 올랐다.이전 모델보다 성능도 훨씬 좋아졌다. 추론 처리 시간은 56%, 메모리 사용량은 35% 줄였다. 구동 비용은 72% 절감할 수 있다. 엑사원 경량화·최적화에 집중하면서 성능은 높이면서도 모델 크기는 100분의 3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윤리와 보안도 강화됐다. LG 관계자는 “윤리성·보안성을 평가하고자 레드팀 과정을 거쳤으며 내부 데이터셋과 제3자 데이터셋을 사용해 평가했다”며 “성적 차별이나 불법적 답변을 하지 않아 우수하다”고 설명했다. 엑사원 들어간 LG제품 나온다LG는 엑사원3.0을 LG전자, LG유플러스 등 LG 계열사 제품과 서비스에 곧바로 적용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데이터 6000만건 이상을 학습했는데 연말까지 법률, 바이오, 의료, 교육, 외국어 등으로 분야를 확장해 학습 데이터를 1억건으로 늘려서 성능도 끌어올릴 계획이다.전자업계 관계자는 “LG가 경량화 모델에 성공했다는 것은 엔비디아의 AI 반도체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라며 “오픈소스를 통해 국내외 AI 엔지니어와 공학도들이 엑사원3.0을 많이 활용할수록 LG의 AI 관련 사업 범위도 넓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계열사별로 보유한 데이터로 최적화하는 과정도 거친다. 이를 통해 사업·제품·서비스 특성에 맞게 AI 혁신 속도를 높인다는 것이 LG 목표다.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은 “엑사원으로 LG 계열사와 외부 기업·기관과 파트너십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임직원 대상으로는 생성형AI ‘챗엑사원(ChatEXAONE)’을 시범 운영한다. 엑사원 3.0 기반 서비스로 질의응답, 검색·요약·번역·분석, 데이터베이스 관리, 코딩 업무 등을 지원한다. 자연어 입력만으로도 파이썬·자바 등 프로그래밍 언어 22개를 활용할 수도 있다.LG AI연구원은 연말까지 베타 서비스를 진행하며 임직원들의 의견과 아이디어를 반영한 업데이트를 주기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정식 서비스와 모바일 앱은 LG 계열사별 준비 상황에 맞춰 순차적으로 제공하기로 했다.사내 문서 학습 및 보안 데이터 관리가 필요한 계열사의 경우 지난 6월 LG디스플레이가 사내 문서 30만여 건을 추가 학습해 제품 품질 등 공정 관련 질의응답이 가능한 생성형 AI를 구축한 사례와 같이 별도의 특화 서비스 구축을 진행할 계획이다.LG 관계자는 “국내 기업들은 보안 이슈로 해외 AI를 사용하는 것을 꺼린다”며 “자체 개발한 AI를 사내망에서 활용하는 건 LG가 처음”이라고 말했다.LG는 2018년 구 회장이 취임한 이래로 AI 연구개발(R&D)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구 회장은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선 “미래 사업은 AI·바이오·클린테크를 중심으로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LG AI연구원에만 4년간 4500억원이 투입됐다. 앞으로도 매년 500억원 이상을 투자해 AI 사업을 키울 계획이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4.08.22 07:00
축구일반

한국축구과학회, ‘축구와 지속가능성’ 국제콘퍼런스 개최

2024 한국축구과학회 국제 콘퍼런스(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ience & Football 2024)가 오는 6월 28일(금) 오전 9시 20분부터 한국체육대학교 합동강의실에서 온/오프라인으로 개최된다.2011년 창립 후 축구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매년 콘퍼런스 및 워크샵 등의 행사를 진행하고 있는 한국축구과학회는 이번 2024년 컨퍼런스에서 ‘축구와 지속가능성 (ESG in Football)’을 주제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함께 강연을 진행할 예정이다.총 4개 파트로 나뉘어 진행될 이번 콘퍼런스는, 한국프로축구연맹 정성 프로의 ‘Football and ESG in K-league’와 인천대학교 임새미 교수의 ‘스포츠 환경 변화와 인구감소: 우수선수 육성 위기와 대응’, 그리고 올리브크리에이티브 정의석 대표의 ‘웹3와 AI혁신을 통한 스포츠 분야의 ESG’로 구성된 첫 번째 파트 강연을 시작으로 ‘심리와 코치(Psychology & Coaching)’, ‘피지컬 트레이닝과 영양(Physical Training & Nutrition)’, 그리고 ‘테크놀로지와 경기 분석(Technology & Match Analysis)’ 순서로 파트 별 강연이 진행될 예정이다.강사로는 한국체육대학교 윤영길 교수와 ‘임송이 멘탈코칭 연구소’ 임송이 박사, ‘전남 드래곤즈 U18팀’ 이정우 피지컬 코치, ‘시카고 파이어 FC’ 조호동 코치, ‘파워스포츠 과학연구소’ 길주현 연구소장, ‘독일체육대학교’ 배태한 분석관, ‘찰튼 애슬레틱스 여자FC’ 유세진 분석관 등이 각 분야 연사로 참석할 예정이다.한편, 콘퍼런스 시작 전에는 지난 6월 7일까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축구와 관련된 자유 주제 논문을 공모한 ‘SPIK 젊은 연구자상 (SPIK Young Investigator’s Awards)’을 당일 현장 발표 후 대상을 선정, 한국 축구의 학술 발전과 젊은 연구자들의 연구활동을 독려할 예정이다. 스피크어워드(SPIK Awards)는 축구과학 연구진흥을 위해 2019년부터 스피크 재활의학과(원장 정태석) 후원으로 제정되었다. 올해는 총 10편의 연구 주제가 응모했으며, 학술위원회의 공정한 심사 과정을 거친 최종 4편의 연구물이 선정되어 당일 최종 수상자를 가린다.콘퍼런스 사전 등록 기간은 6월 26일(수요일), 자정까지로 한국축구과학회 홈페이지 회원가입 후 등록할 수 있으며, 참가한 KFA 지도자에게는 보수교육 평점이 부여된다.김희웅 기자 2024.06.14 08:42
연예일반

[오동진 영화만사] 고래 보호와 스크린 보호가 같은 맥락인 이유

너무 심하다고 말할 필요가 없다. 이건 우리 스스로 따라 놓은 독배이다. ‘범죄도시4’가 개봉 13일 만에 800만을 돌파했다. 이 영화의 스크린 점유율은 80%이다. 전국 약 3400개의 스크린 가운데 2780개가 이 영화를 틀고 있다는 얘기이다. 이 영화가 스크린을 독점해서 단 기간에 800만명이 됐는지, 아니면 관객 800만명을 모을 만큼 인기가 높아서 자연스럽게 스크린을 독점하게 됐는지, 닭이 먼저인지 달걀이 먼저인지, 그건 이해 관계에 따라 접근방식이 다를 것이다. 분명한 것 한 가지는 이런 상황은 결코 약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중장기적으로는 독이다.코로나 이전 영화계는 스크린 독점 문제와 수직 계열화 문제로 들끓었었다. 코로나가 그 논쟁을 숨죽이게 했다. 극장이 모두 문을 닫을 판이었고 포스트 코로나 시기에 이르러서도 극장 영업이 살아날 기미가 보이지 않자 반(反)독점주의자들은 자제하는 분위기로 돌아섰다. 입을 닫았다. 독점을 해서라도 일단 극장을 살려 내자는 암묵적 합의가 이어졌다. 극장은 극장 대로 티켓 가격을 2~3년 만에 50%나 올렸다. 티켓 가격은 1만원 수준에서 1만5000원이 됐다. 다들 생존이 화두였다. 모든 논쟁과 이슈를 다 덮었다. 그 결과가 스크린 점유율 80%대라는 초유의 사태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우리 스스로 헬 게이트를 열어 놓은 결과다. 자본주의 경제구조, 특히 양극화의 심화를 조성하는 신(新)자유주의 시스템에서 기업이나 특정 개인의 이윤 추구 행위를 법적으로나, 시스템상으로나, 무엇보다 도덕이나 윤리적으로 재단할 수 없다. 아무리 도덕 연 한다 해도 모두들 자본의 이윤, 금융상의 이해 관계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극장들이 너도 나도 ‘범죄도시4’를 거는 것, 거의 모든 스크린을 영화 하나로 도배하는 것을 두고 다들 입으로 뭐라뭐라 해도 입장 바꿔서 극장 주가 되면 그 자신 역시 ‘이번 한번만’ 식으로 영화 한편으로 전체 스크린을 덧칠 하는 데 앞장설 것이다. 이건 ‘선진적 문화 의식’이나 예술혼을 앞세워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돈 버는 일에 마다할 극장, 영화인은 아무도 없다. 내가 벌 기회가 생기면 그 누구도 눈에 아무 것도 안보이기 마련이다. 불매운동 같은 소비자 운동이란 것도 이제는 다 옛날 이야기다. 시대는 코로나 이전과 이후로 확 갈려 버렸다. 예전의 방식은 더 이상 통용되지 않는다. 그만큼 모두의 삶이 각자 화 됐고 개인, 파편화 됐다. 다들 각자도생에 바쁘다.그러니 무엇보다 디테일이 좋아야 한다. 다소 엉뚱하게 들리겠지만 2021년 제4회 부산국제해양영화제의 개막작이었던 (안타깝게도 지금은 그 누구도 보기 힘든) 다큐멘터리 ‘종의 보존 Vs 인류 보존’(Entangled)은 지금의 ‘범죄도시4’가 가져온 스크린 과다 점유 논쟁의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영어 제목으로 ‘인탱글드’는 ‘(그물에) 걸려든’이란 뜻이다. 미 동북부 최단 지역의 메인 주 포틀랜드의 한 어촌은 바닷가재를 잡아 부촌이 된 지역이다. 그런데 어느 날 환경운동가들의 압력을 받은 연방정부에서 가재 잡이를 금지하라는 통보를 받는다. 고래를 보호해야 하며 바닷가재 잡이가 고래를 죽이고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바닷가재를 잡기 위해서는 통발을 내려야 하고 통발의 위치를 알기 위해서는 부표를 띄워야 하는데 통발과 부표를 연결하는 밧줄이 일종의 강한 그물망을 형성해 지나던 고래가 거기에 걸려 죽는 사례가 속출했기 때문이다. 고래는 바다 속 산소량을 늘리고 탄소 량을 줄이는 데 있어 결정적 역할을 하는 생물로 해양 환경에 필수적이다. 다큐멘터리 ‘종의 보존 Vs 인류 보전’은 고래 보호를 통한 해양환경 보호에 대해 얘기하는 작품이다.그러나 정작 이 다큐가 뛰어난 것은 고래를 보호해야 한다는 환경 선언적이고 교육적인 메시지 때문만이 아니다. 그보다는 고래 보호라는 ‘환경권’과 가재 잡이 라는 ‘생계권’에 대해 다큐 내내 줄기차게 토의하고 조정하고, 또 토론하고 조율하는 과정을 보여주면서 양측간에 의견을 좁히는 과정, 그리고 최선은 아니지만 차선의 방법론을 찾는 과정을 보여 준다. 양측은 조업 시기의 한도를 분기별, 월별로 정하고 심지어 조업시간, 조업양까지 합의해 낸다.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스크린 독과점 문제 역시 ‘다양성 보호’와 ‘극장의 이윤추구’라는 양 측의 이슈 사이에서 끊임없이 조율해 내는 세부 항목들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한 영화 당 2000개면 2000개, 1500개면 1500개의 스크린 상한선을 정하되 그것을 계절별, 분기별, 월별로 달리 하고, 스크린 별 프라임 타임대 상영의 한도 폭도 조율해서 합의해 내는 것도 방법일 수 있다. 이제 스크린독과점 문제는 운동이 아니라 과학으로 접근해야 한다. 영화 운동가들은 계속해서 극장을 압박하되 연구자들은 합리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 극장은 충돌과 갈등없이 자신들이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스스로 절충안을 역제안 해야 할 일이다. 정책 당국은 이를 총괄적으로 관리해 나갈 일이다. 아마도 시간이 걸릴 것이다. 논의의 과정을 거치다 보면 이견을 좁힐 수 있을 것이다. 10년이 걸릴 수도 있다. 모두가 좋자고 하는 일이다. 모두가 망하자고 하는 사람은 없다. 10년이 오랜 시간이라고 무서워서 해서는 안된다. 오동진 영화평론가 2024.05.09 06:02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