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IT

카카오, 서비스 완전 정상화 아직…다음 메일·카페·바이크 복구 중

카카오가 지난 15일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발생한 서비스 장애를 복구 중인 가운데, 다음 메일과 카페, 카카오모빌리티 일부 기능 이용이 아직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카카오는 17일 오전 9시 기준 서비스 복구 현황을 공지사항에 공유했다. 카카오톡은 메시지 수발신·오픈채팅·이모티콘 기능이 살아났다. 카톡으로 주고받은 미디어 파일을 모아서 보여주는 '톡서랍'과 비즈니스 홈 '톡채널'은 아직 복구 중이다. 쇼핑은 선물하기·쇼핑하기·주문하기 등 주요 기능은 이용 가능한데 검색 기능 일부는 작업을 거치는 중이다. 포털 다음과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뷰'는 정상화했지만 이용자가 많은 다음·카카오 메일은 아직 접근할 수 없다. 다음 카페도 주요 기능은 정상화했지만 인기글·통계는 복구 작업을 진행 중이다. 카카오모빌리티 서비스는 차량 호출 앱 '카카오 T'를 비롯해 내비게이션 앱, 대리기사 앱, 택시기사 앱, 픽커 앱 등 주요 앱 기능 전체를 정상화했다. 하지만 바이크 서비스는 기기 점검 후 이날 오전 내 서비스를 재개할 예정이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킥보드를 대여했다가 반납이 되지 않아 요금이 수십만원으로 불어난 사연이 올라기도 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제공하는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멜론)와 웹툰(카카오웹툰)은 정상 이용이 가능하다. 카카오게임즈도 전체 모바일 및 PC 게임 서비스를 정상화했다. 카카오페이 역시 카톡 송금과 온·오프라인·해외 결제, 카카오 T 결제, 계좌 송금 및 자산 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카카오 측은 "많은 서비스가 안정화하고 있지만 트래픽의 상황에 따라 일부 지연이 발생할 수도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린다"고 했다. 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2.10.17 10:39
금융·보험·재테크

카카오페이, 받는 상대방 사기이력 있으면 '주의' 경고문 뜬다

카카오페이가 금융사기를 막기 위해 모든 송금 서비스에 '사기 이력 탐지기'를 적용하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착오송금 피해를 신속히 해결할 수 있도록 24시간 대기 없이 카카오톡으로 반환 중개를 요청할 수 있는 '착오송금 챗봇'도 추가했다. 카카오페이는 금융 사기 방지 전문업체 ‘더치트’와 함께 만든 ‘사기 이력 탐지기’로 송금 단계에서 더치트에 신고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카카오톡친구 송금, 계좌번호 송금, 코드 송금, 예약 송금, 오픈 채팅 송금 등 카카오페이의 모든 송금 서비스에 적용된다. 사기 의심 이력 여부는 금액 입력 단계에서 송금하려는 상대방의 이름 옆에 표시된 방패 아이콘으로 확인할 수 있다. 더치트에 신고된 이력이 없다면 파란색의 '안전'이, 신고 이력이 있다면 빨간색의 '주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주의’ 방패 아이콘을 인지하지 못하고 진행할 경우 송금을 주의하라는 안내와 함께 ‘그만둘래요’, ’송금할게요’ 중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오픈채팅 송금 상대가 신고된 이력이 있을 경우에는 송금받기 자체가 중단된 후 송금인에게 반환된다. 지난달 말에는 잘못 돈을 보냈을 때 반환 신청을 24시간 대기 없이 가능한 챗봇 서비스도 도입했다. 카카오페이 거래 내역을 불러와 접수할 수 있기 때문에 수취 계좌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가 없다. 카카오페이에 등록된 본인 계좌가 있다면 반환 계좌로 지정할 수도 있다. 이전까지 고객센터를 통해서만 받을 수 있었던 착오송금 접수증도 챗봇을 통해 자신의 이메일로 직접 발급할 수 있게 됐다. 앞으로는 착오송금 챗봇에서 접수한 내역을 취소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할 예정이다. 챗봇 외 기존처럼 카카오페이 금융안심센터 또는 고객센터 1대 1 문의를 통해서도 착오송금 중개를 요청할 수도 있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카카오페이 사용자들이 걱정 없이 송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조치를 강화했다"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2.09.06 17:3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