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7건
연예

'개뼈다귀' 박명수, 자가격리 해제 "애들 보고 싶네"

채널A 인생 중간점검 프로젝트 '개뼈다귀'가 코로나19로 생각지 못한 고충을 겪은 이들에게 따뜻한 밥상을 선물하는 '위로 식탁' 특집으로 추운 연말 훈훈함을 안긴다. 내일(27일) 오후 7시 50분에 방송될 '개뼈다귀'에는 글로벌 밥상부터 토종 입맛까지 손님들을 위해 다채로운 밥상을 준비한 김구라 이성재 지상렬의 '위로 식탁'이 공개된다. '위로 식탁'은 코로나19 확산으로 결혼식 날짜를 세 번이나 미뤄야 했던 신혼부부에게 따뜻한 한 끼를 선사한다. 이번 주에는 전 가족이 코로나19와 싸워야 했던 코로나19 완치자, 코로나19 때문에 평생 생각하지 못한 상황에 몰린 청년이 '위로 식탁'을 찾아 힘들었던 2020년을 진솔하게 돌아본다. 이들은 밝은 표정 속에 올해 겪은 아픔을 숨기고, '개뼈다귀' 멤버들 앞에서 속마음을 드러내며 눈물을 쏟아 울컥함을 안긴다. 멤버들은 힘들었던 청년들을 위해 정성껏 준비한 '위로 식탁'은 물론, 특별한 선물을 공개한다. 코로나19 확진자와의 밀접 접촉으로 2주 동안 자가격리에 들어간 모습을 연예계 최초 '셀프캠'으로 공개해 화제를 모은 박명수의 격리 해제 전 마지막 밤도 모습을 드러낸다. 그는 "애들 보고 싶네"라며 문 앞에서 설렘을 감추지 못하고, 마침내 자가격리가 해제된 날 아침 춤추는 듯이 신이 난 채 어딘가로 향한다. 자가격리에서 해방된 박명수의 첫 행선지와 지친 모두를 위한 훈훈한 건배가 있는 '위로 식탁' 두 번째 이야기가 공개된다. 황소영 기자 hwang.soyoung@jtbc.co.kr 2020.12.26 18:21
연예

“코로나 완치자 10명 중 9명 후유증”…경북대 연구팀

국내 코로나19 완치자 10명 중 9명이 후유증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부본부장은 29일 정례브리핑에서 국내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회복된 환자 10명 중 9명이 후유증을 겪고 있다는 경북대의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김신우 경북대학교 감염내과 교수는 국내 완치자를 576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연구를 진행했다. 이에 따르면 조사에 응한 확진자 965명 중 1개 이상의 후유증이 있다고 답한 경우는 879명, 약 91.1%였다. 권 부본부장은 "후유증 중 가장 비중이 높은 것은 피로감으로 26.2%가 나왔으며, 집중력 저하가 약 24.6% 정도 나왔다"며 "그 외에도 심리적·정신적인 후유증, 후각·미각 손실 등도 호소했다"고 전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자세한 분석을 거쳐 조만간 발간될 예정이다. 권 본부장은 경북대학교를 포함해 환자가 많았던 대구·경북지역의 병원 외에도 국립중앙의료원, 대한감염학회 등에서 16개 의료기관을 연합해 중장기 합병증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oongang.co.kr 2020.09.29 16:50
연예

[영상] "흡연자는 잘 안 걸려?" 코로나19 관련 여전히 풀리지 않는 미스터리 6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로 8일 기준 전세계적으로 379만명 이상이 감염됐고, 26만명 이상이 사망했습니다. 다행히도 한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감염자와 사망자가 빠르게 줄어들면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는 등 코로나19 발생 전 일상으로 조금씩 복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도 이 바이러스에 대해 모르는 게 많습니다. 지난달 프랑스 파리의 한 병원은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코로나를 앓을 확률이 낮을 수 있다는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병원 연구진은 해당 병원에서 진단받은 코로나19 확진자 480여명 중 흡연자 비율은 단 5%이며 이러한 양상은 미국과 중국 등 다른 지역에서도 확인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렇다면 담배를 피우면 코로나19 증상 발현을 막는다는 걸까요? 또한 코로나19 완치자가 다시 확진 판정을 받는 이른바 '재양성' 사례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완치 후 다시 코로나 19 판정을 받은 재양성자는 4일 0시 기준 347명이라고 발표했는데요. 감염병은 완치 후 항체가 생기면 이른 시간 내에 다시 감염되지 않는 게 일반적입니다. 그렇다면 코로나19는 완치 후에도 계속 재감염이 가능한 불멸의 바이러스일까요? 이 외에도 성별과 연령, 지역에 따른 감염률 차이, 바이러스의 기원 등 코로나19에 대한 풀리지 않은 미스터리는 많습니다. 영상으로 정리했습니다. 정희윤·남수현 기자 chung.heeyun@joongang.co.kr 2020.05.09 11:28
경제

코로나19 확진자 하루 새 146명 증가, 총 9478명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146명 증가했다. 중앙방역대책본는 28일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총 9478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날보다 146명 증가한 수치다. 신규 확진자 146명 중 73명이 대구·경북에서 나왔다. 대구 71명, 경북 2명이다. 이밖에 지역별 신규 확진자는 경기 21명, 서울 18명, 인천 5명, 충남 2명, 부산 1명, 강원 1명, 제주 1명 등이다. 검역에서 확진된 사례는 24명이다. 대구 달성군 제이미주병원에서 13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는 등 집단감염이 발생하면서 확진자 수가 대거 늘어났다. 지금까지 제이미주병원 환진자 수는 75명(간병인 1명, 환자 74명)이다. 집단 감염이 발생한 대구의 대실요양병원과 같은 건물을 사용하는 제이미주병원에서 지난 26일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다. 한편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144명으로 집계됐다. 전날보다 5명 늘어났다. 이날 코로나19 완치자 수가 격리 환자 수를 처음으로 추월했다. 올해 1월 20일 국내 첫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한 지 68일 만이다. 완치해 격리 해제된 확진자는 전날보다 283명 늘어난 4811명이다. 격리 치료 중인 확진자 수 4523명을 웃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03.28 10:52
경제

하루 1000명 육박, 이탈리아의 심각한 사망자 증가수

이탈리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망자가 하루 만에 1000명 가까이 증가했다. 이탈리아 보건당국은 27일 오후 6시(현지시간) 기준으로 전국 누적 사망자 수가 9134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일 대비 969명(11.9%) 증가한 것이다. 하루 기준 사망자 증가 수치로는 이탈리아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지금까지 최고치다. 이탈리아의 기존 일일 신규 사망자 기록은 지난 21일 집계된 793명이었다. 또 누적 확진자 규모는 바이러스 발원지인 중국을 넘어섰다. 누적 확진자 수는 5959명(7.4%) 늘어난 8만6498명으로 잠정 파악됐다. 이는 중국의 누적 확진자 수(8만1340명)를 넘어선 것이다. 현재 전 세계에서 누적 확진자가 가장 많은 국가는 미국으로 9만3151명이다. 누적 확진자 수 대비 누적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치명률은 10.56%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유지했다. 누적 완치자는 1만950명이고 확진자 가운데 중증 환자는 3732명이다. 바이러스 분야 최고 전문기관인 국립 고등보건연구소(ISS)의 실비오 브루사페로 소장은 이날 “3월 20일 이래 감염자 증가 곡선이 내림세는 아니더라도 명백한 둔화 조짐을 보였다. 전국 이동제한령 등의 봉쇄 조처가 효과를 내고 있다는 뚜렷한 징후가 있다.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는 현재 기조를 바꾸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탈리아 정부도 내달 3일까지인 전국 이동제한령과 휴교령 시한을 연장하는 쪽으로 방침을 굳히고 세부 사항을 검토하고 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03.28 10:29
경제

'완치율 50% 육박' 코로나19 완치자, 확진자 추월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완치자 수가 격리돼 치료 중인 확진자 수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28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전날 0시 기준 국내에서 코로나19에 걸렸다가 완치된 사람은 4528명으로, 격리 상태에서 치료 중인 확진자 수(4665명)에 근접했다. 완치율도 50%에 육박할 만큼 높아졌다. 완치해 격리에서 해제된 확진자 수가 연일 늘어나는 가운데 하루 신규 확진자 증가 폭은 둔화한 덕분이다. 국내 완치자는 이달 초부터 하루 수십명씩 나오기 시작했고, 최근 2주 동안에는 하루에 100명 이상 쏟아져 나오고 있다. 덕분에 완치율은 지난 15일 10.21%로 두 자릿수에 진입한 이래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지난 19일 22.73%, 22일 32.70%, 25일 40.8% 등으로 앞자리 수를 갈아치웠다. 전날 기준 완치율은 48.5%에 달한다. 2명 중 1명꼴로 완치한 셈이다. 전문가들은 완치자 증가를 '긍정적 신호'라고 평가하면서도 치명률 역시 지속해서 높아지고 있어 경계를 늦출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국내 치명률은 이달 1일 0.4%대에 머물렀으나 전날 0시 기준 1.49%까지 올라왔다. 평균 치명률은 아직 1%대지만 80세 이상 치명률은 15.19%에 달한다.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CDC)가 지난달 11일 기준으로 분석한 중국의 80세 이상 치명률(14.8%)을 넘어섰다. 당시 중국의 평균 치명률은 2.3%였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03.28 10:03
경제

이탈리아 코로나19 사망자 1000명 돌파, 전국 이동제한령

이탈리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누적 사망자가 1000명을 넘어섰다. 이탈리아 보건당국은 12일(현지시간) 기준으로 전국 누적 확진자 수 1만5113명, 누적 사망자 수 1016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확진자 수는 전날 대비 2651명 급증했다. 하루 기준 최대 증가 폭이다. 이틀 연속 2000명대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누적 사망자는 189명 늘어났다. 누적 사망자가 1000명을 넘어선 것은 지난달 21일 북부 롬바르디아주에서 첫 지역 감염 사례가 확인된 이래 20일 만이다. 누적 확진자 수 대비 누적 사망자 비율을 나타내는 치명률은 6.72%로 상승했다. 이날 기준 한국의 치명률은 0.08%이다. 이탈리아의 누적 확진자 수와 누적 사망자 수 모두 세계적으로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누적 사망자와 완치자(1258명)를 뺀 실질 확진자 수는 1만2839명이다. 이 가운데 60.8%인 7803명은 관련 증상으로 병원 입원 치료를 받고 있다. 상태가 안 좋은 1153명은 중환자로 분류됐다. 나머지 5036명은 자가 격리 중이다. 중환자는 전날 대비 125명 늘었다. 누적 검사 인원은 8만6011명으로, 한국(22만7천129명)의 38% 수준이다. 주별 누적 확진자 분포를 보면 바이러스 확산 거점인 롬바르디아 8725명, 에밀리아-로마냐 1947명, 베네토 1384명 등 북부 3개 주가 1만2056명으로 전체 79.8% 비중을 차지했다. 이탈리아 정부는 지난 9일 북부지역에 한정됐던 주민 이동제한령을 전국으로 확대했다. 전날에는 식료품점·약국·주유소 등 필수 업종을 제외한 모든 업소의 영업을 2주간 금지했다. 전국의 식당과 술집 등도 문을 닫았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03.13 08:47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