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9건
경제

'우크라 민간인 학살' 러시아, 유엔 인권인사회 퇴출

우크라이나 침공 과정에서 민간인 학살을 저지른 러시아가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사실상 퇴출당했다. 유엔총회는 7일(현지시간) 긴급 특별총회를 열고 러시아의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 자격을 정지하는 결의안을 가결(찬성 93표·반대 24표·기권 58표)했다. 이에 러시아는 2011년 반정부 시위대를 폭력으로 진압한 리비아에 이어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쫓겨난 두 번째 나라가 됐다. 또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상임이사국이 유엔 산하 기구에서 자격 정지된 것은 러시아가 처음이다. 이번 결의안은 미국 주도로 추진됐다.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민간인들을 학살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서방 국가들과 한국 등은 찬성표를 던졌지만 북한과 중국, 이란은 반대표를 행사했다. 결의안은 "우크라이나에서 진행 중인 인권과 인도주의 위기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며 러시아의 인권침해 사례들을 적시했다. 표결에 앞서 세르게이 끼슬리쨔 주유엔 우크라이나대사는 "러시아의 행동은 도리를 벗어났다. 러시아는 인권침해를 저지르는 나라일뿐 아니라 국제 평화와 안보의 토대를 흔드는 나라"라고 비판했다. 겐나디 쿠즈민 주유엔 러시아차석대사는 "조작된 사건에 근거한 우리에 대한 거짓 혐의를 부인한다"고 맞섰다. 러시아는 자격이 정지가 돼도 명목상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으로 남을 수 있었지만, 결의안 채택 후 곧바로 탈퇴를 선언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2.04.08 10:51
연예

‘부활’ 구수환 감독, 우크라이나에 텐트와 모포 지원…“긴급 구호 진행 중”

영화 ‘부활’ 구수환 감독이 우크라이나 긴급 구호 활동 경과를 전했다. 구수환 감독이 이사장으로 재직 중인 이태석 재단은 지난 22일 우크라이나 어린이와 여성을 폴란드 바르샤바까지 탈출시키는 미국인 사업가 아르멘 멜리키안 씨를 돕고자 긴급 구호 캠페인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현재 우크라이나는 민간인에 대한 공격도 심한 상태이며 긴박한 상황 속 폴란드로 대피시킨 아이들과 여성들이 거처할 공간도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이태석 재단은 후원금으로 텐트와 모포를 구입해 항공편으로 지원했다. 구호 물품은 내일(2일)에 전달될 예정이다. 구수환 감독은 “고통받는 사람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누군가 자신들을 지켜보며 도와주려고 하는 마음이라고 생각한다”며 “살던 집을 떠나 기약 없는 유랑 생활을 해야 하는 아이들과 여성들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이어 “이태석 재단에서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우크라이나 국민의 아픔과 고통을 함께 느끼고 도움을 주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구수환 감독은 이태석 재단을 통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최근에는 우크라이나 긴급 구호를 진행하며 이태석 신부의 뜻을 실천하고 있다. 이세빈 인턴기자 2022.04.01 16:21
경제

'자원입대' 한국계 배우, 우크라 시민 탈출돕다 폭탄에 숨졌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20여일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계 우크라이나 배우가 시민의 탈출을 돕다 러시아군이 던진 폭탄에 사망했다.드미트로 포노마렌코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는 지난 11일 트위터에 “이파샤(Pasha Lee‧33)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공격했을 때 전쟁으로 황폐해진 도시 이르핀에서 시민들을 탈출시키다 사망했다”고 밝혔다.지난주 우크라이나 매체와 미국 데드라인, 인사이더 등 외신도 우크라이나 변호사이자 저널리스트인 야로슬라프 쿠츠의 페이스북 글을 인용해 파샤의 사망을 보도한 바 있다. 쿠츠는 “우리는 사진을 찍을 시간조차 없었다”며 “편히 쉬라”고 적었다.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대 교수 또한 지난 7일 페이스북에 “우크라이나 태생 소피에트 한국인(고려인) 배우 파샤 리가 러시아 침략자들과 싸우다 폭탄을 맞고 사망했다. 그는 고작 서른 세 살이었다”라고 말하며 현지 매체 보도 내용을 공유했다. 파샤는 자카르파 출신 어머니와 크림반도 출신의 한국인(고려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우크라이나의 유명 배우로, MC, 가수, 성우로도 활약했다. 유명 TV쇼 ‘데이 엣 홈’을 진행했다.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되자 자원입대했다.지난 4일 파샤 리는 인스타그램에 군복 입은 자신의 모습을 찍은 사진을 올리고 “지난 48시간 동안 우리가 어떻게 폭격을 당했는지 사진을 찍었다”고 말했다. 해시태그에는 #우크라이나 #단결 이라고 적었다. 이는 고인의 생전 마지막 게시물이 됐다. 현재 그의 SNS에는 추모 댓글이 이어지고 있다.한편 현지 시각으로 12일 유엔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이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민간인 사망자는 579명, 부상자는 1002명 발생했다. 사망자 중에는 어린이 42명이 포함됐다. 하수영 기자 ha.suyoung@joongang.co.kr 2022.03.13 11:28
무비위크

전주국제영화제 조직위원회 "우크라이나 침공 반대" 성명 발표

국내 영화제들이 평화를 위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3일 전주국제영화제(집행위원장 이준동) 조직위원회 측이 지난달 24일 발생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반대 목소리를 냈다. 전주국제영화제 조직위원회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국제사회 일원으로서 러시아의 침공을 강력히 규탄한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어 “대한민국 역시 전쟁과 주권 침해의 아픔을 겪은 적 있어 현재 우크라이나에게 닥친 안타까운 현실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전했다. 러시아의 침공으로 우크라이나에 수많은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하는 상황에 대해 “이러한 종류의 폭력은 어느 때에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단언하며 “우크라이나의 주권 및 영토 보존의 의지,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도 강력히 지지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국가의 일방적 결정에 반대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러시아 현지 영화인, 예술인, 국민의 용기에도 박수를 보낸다”고 마무리했다. 전주국제영화제는 그간 국제사회 평화를 위해 꾸준히 목소리를 냈다. 지난해 전 세계적 이슈로 떠올랐던 미얀마 민주화운동을 지지하는 공식 성명을 10개의 국내 국제영화제와 함께하기도 하는 등 범세계적 평화 유지에 앞장서며 국제영화제로서의 본보기가 되어주고 있다. 한편 제23회 전주국제영화제는 전라북도 전주시 영화의거리 일대에서 내달 28일부터 5월 7일까지 열흘간 개최될 예정이다. 다음은 성명서 전문. 전주국제영화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반대합니다. 지난 2월 24일부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역을 미사일과 탱크를 비롯한 대량 인명 살상 무기로 공격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우크라이나에서는 많은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주권 침해의 아픔을 겪은 바 있는 우리 공동체, 나아가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전주국제영화제는 러시아의 침공을 강력히 규탄합니다. 이러한 종류의 폭력은 어떤 상황에서도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 전주국제영화제는 우크라이나의 주권 및 영토 보존의 의지, 민주주의에의 열망을 강력히 지지하며, 국가의 일방적 결정에 반대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러시아 현지 영화인, 예술인, 국민의 용기 또한 지지합니다. 우크라이나 국민의 무사와 안녕을 기원합니다.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s against Russia’s invasion of Ukraine. Since February 24, 2022, Russia has been attacking Ukraine with Weapons of Mass Destruction(WMD), including missiles and tanks. The ongoing attack has resulted in many civilian casualties in Ukraine. As a member of our community,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ich has suffered from the infringement of sovereignty,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trongly condemns the invasion of Russia. This kind of violence cannot be justified in any circumstanc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trongly supports for Ukraine to respect sovereignty and territory, democracy, and also supports the courage of Russian local filmmakers, artists, and people who have begun to speak out against the unilateral decision of the nation. We hope citizens in Ukraine stay safe. 김선우 기자 kim.sunwoo1@joongang.co.kr 2022.03.03 15:23
경제

우크라이나 사태에 한국차 ‘초비상’…수천억 피해 우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내 자동차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미국과 동맹국들이 강력한 대러시아 경제 제재 방안을 내놓으면서 러시아 판매 위축은 물론, 생산망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번 사태 및 제재가 장기화할 경우 심대한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완성차, 원자재·부품 조달 등 악영향 불가피 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을 비롯한 서방이 러시아를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 결제망에서 퇴출하기로 하는 등 대러 금융·무역제재 강화 조치를 잇달아 발표하자 현대차 등 완성차 업체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대러시아 자동차 관련 수출 비중이 40.6%에 달했기 때문이다. 당장 서방국의 제재로 러시아 경제 상황이 악화하면 러시아 내 자동차 판매가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 지난 2014년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강제 합병한 이후 서방 제재가 나온 당시에도 러시아 경제가 침체하면서 자동차 판매가 급감했다. 코트라에 따르면 2012년 293만대였던 러시아의 연간 자동차 판매는 크림반도 사태 이후 2016년 130만대 수준으로 축소됐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이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장기화할 경우 러시아 현지의 내수 판매가 약 29%까지 줄어들 것으로 추정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러시아에서 기아 20만5801대, 현대차 17만1811대를 판매해 현지 자동차 브랜드인 라다에 이어 2위, 3위를 차지했다. 시장 점유율은 각각 12.3%와 11.2%다. 특히 현대차는 현지 공장(HMMR)에서 연간 25만대 가량을 생산한다. 제너럴모터스(GM)에서 인수한 연 10만대 수준의 공장도 올해 초부터 가동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기아의 리오도 위탁 생산하고 있다. 여기에 루블화 급락으로 인한 환 손실도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다. 현지에서 생산·판매하는 제품의 경우 현지 통화로 거래하기에 비교적 영향이 적을 수 있지만, 수출 품목의 경우 다른 기축 통화를 사용해 리스크를 분산시키더라도 손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미국의 전략물자 수출 통제에 따라 미국산 반도체나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국산 자동차의 대러 수출 자체도 제한될 수 있다. 증권가에서는 현대차·기아의 손실이 450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았다. 현지 부품 회사는 줄도산 우려 자동차 부품 업체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러시아에서 벌어들이는 전체 수출액은 연간 15억 달러(약 1조8000억원)로 미국과 중국 다음으로 큰 규모를 차지한다. 특히 규모가 작은 부품 업체들이 먼저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에 대한 고강도 제재가 장기화하면 최악의 경우 줄도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해부터 계속된 차량용 반도체 품귀현상이 채 해소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팔라듐, 백금 등 차량용 반도체에 들어가는 원자재의 공급이 더욱 어려워지면서 부품 생산에 차질이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부품 업체가 러시아로 수출하는 부품의 90% 이상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현대차 공장으로 납품되고 있는데, 부품 공급에 문제가 생길 경우 현대차·기아의 현지 공장 가동도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 우려는 현실이 되고 있다. 현대차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은 물류난에 따른 부품 수급 차질로 지난 1일부터 오는 5일까지 생산 라인의 가동을 멈추기로 했다. 완성차 생산에 차질을 빚으며 현대차는 현지 딜러들에게 차량 인도 역시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크라이나에 위치한 협력업체를 통해 자동차 부품을 공급받고 있는 쌍용차도 일정 부분 영향을 받을 우려가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 산업은 2년 넘게 이어진 코로나 사태와 반도체 등 원자재 공급난 때문에 생산 차질이 만성화된 상태”라며 "이번 사태가 이런 요인과 복합적으로 작용할 경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생산망을 구축해 놓은 국내 업체의 어려움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미국과 우리 정부 지침에 맞춰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타이어도 좌불안석 타이어 업계도 우크라이나 러시아 사태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당면한 과제는 산유국들의 전쟁으로 인한 중·장기 유가 상승이다. 한국타이어·금호타이어·넥센타이어 등 타이어 3사에 따르면 이달부터 국내 타이어 공급 가격은 3~10% 인상된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기 위한 가격 조정이다. 타이어 제조 원가의 30%는 천연고무와 합성고무가 차지한다. 천연고무 가격은 지난해 대비 20% 이상 증가했고, 최근 유가 급등으로 석유화학 공장에서 공급되는 합성고무 가격도 크게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에너지경제연구원, JP모건 등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군사 충돌로 인해 국제유가가 배럴당 최대 15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는 예상을 내놓으면서 원자재 가격 반영이 당면 과제로 떠올랐다. 타이어 업계 관계자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가격이 인상되면서 타이어 3사의 제조원가 부담이 크게 오른 상황"이라며 "유가 급등이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이에 더해 운송비도 오르면서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이번 사태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인다는 데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대표단은 교전 닷새 만에 협상에 나섰지만, 의미 있는 결과를 내놓는 데는 실패했다. 양측은 일단 다음 회담에서 구체적인 논의에 들어가기로 합의했지만, 대규모 러시아 병력이 키예프를 향하고 민간인 거주지역에도 포격이 이뤄지는 등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공세는 강화되고 있다. 이에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정부에 공급 차질이 우려되는 품목에 대해 한시적으로 긴급할당관세를 적용하고, 대러시아 수출 제재로 피해를 보는 기업에 대해서는 유동성 지원을 해달라고 건의했다. 협회 관계자는 "대금 결제를 못 받을 경우 등에 대비해 수출 금융 지원이나 대출 상환 유예, 금리 인하 등 지원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2.03.03 07:00
연예

'러시아父 우크라母' 귀화 일리야, 그가 올린 국기 이모티콘 하나

러시아 출신 귀화 방송인 일리야 벨랴코프(40)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소식에 간접적으로 심경을 드러냈다.일리야는 지난 24일 자신의 트위터에 우크라이나 국기 이모티콘을 올렸다. 이날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주요 도시에 공격을 개시하며 침공을 본격화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뒤였다. 별다른 언급이 없어지만 침공 위기에 놓인 우크라이나 상황에 대해 안타까운 마음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일리야는 지난 2014년 JTBC 예능 '비정상회담'에 러시아 대표로 출연했다. 그는 2016년 귀화해 방송, 강의, 유튜브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그는 러시아인 아버지와 우크라이나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졌다.일리야는 지난해 MBC가 도쿄올림픽 개회식 생중계에서 우크라이나 선수단 소개 화면에 체르노빌 원전 사진이 사용돼 논란이 인 것과 관련해 비판 목소리를 낸 바 있다.당시 그는 "대한민국 선수들 입장했을 때 세월호 사진 넣고, 미국은 9·11 테러 사진 넣지 그랬냐"며 "도대체 얼마나 무식하고 무지해야 폭발한 핵발전소 사진을 넣느냐"고 분노했다.한편,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이틀 만인 이날 수도 키예프를 에워싸고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시내 곳곳에서는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의 교전과 러시아의 미사일 공격 등으로 폭음이 잇따르고 있다.우크라이나는 국가총동령원을 내려 민간인과 기간시설을 전시체제로 전환해 저항하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화상 연설을 통해 "적이 우리의 저항을 무너뜨리려고 모든 병력을 총동원할 것"이라며 "어디서든 적을 막아 달라"고 호소했다. 김은빈 기자 kim.eunbin@joongang.co.kr 2022.02.26 13:59
축구

"푸틴, 가장 고통스럽게 죽길"…우크라 출신 진첸코의 절규

우크라이나 출신으로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맨체스터시티에서 활약 중인 수비수 올렉산드르 진첸코가 SNS를 통해 침략전쟁을 일으킨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저격했다. 진첸코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을 개시한 이후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가장 고통스러운 방식으로 죽길 바란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해당 게시물은 인스타그램이 자동 삭제해 현재는 볼 수 없다. 우크라이나 축구대표팀 주장이기도 한 진첸코는 러시아가 조국을 침공하기 전 “우크라이나는 내가 태어나고 자란 조국이다. 우리가 발전시켜야 하는 나라로, 침략을 두고 볼 순 없다”는 글을 SNS에 게재했다. 그는 해당 글에서 “전 세계가 우리를 지켜보고 있다”면서 “그 누구도 우리나라를 빼앗을 순 없다. 나는 물러서지 않는다”고 썼다. 그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저주하는 글을 게시한 건 전면전 발발과 함께 우크라이나 민간인 수십 명이 사망하는 등 인명피해가 속출하는 상황에 대해 분노한 때문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 축구 레전드 안드리 셰브첸코 또한 자신의 트위터에 “우리 모두가 우크라이나를 위해 단결해야한다”는 글을 올렸다. 송지훈 기자 song.jihoon@joongang.co.kr 2022.02.25 08:18
축구

“푸틴, 가장 고통스럽게 죽길”…우크라 축구선수의 절규

우크라이나 출신으로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맨체스터시티에서 활약 중인 수비수 올렉산드르 진첸코가 SNS를 통해 침략전쟁을 일으킨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저격했다.진첸코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을 개시한 이후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가장 고통스러운 방식으로 죽길 바란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해당 게시물은 인스타그램이 자동 삭제해 현재는 볼 수 없다.우크라이나 축구대표팀 주장이기도 한 진첸코는 러시아가 조국을 침공하기 전 “우크라이나는 내가 태어나고 자란 조국이다. 우리가 발전시켜야 하는 나라로, 침략을 두고 볼 순 없다”는 글을 SNS에 게재했다. 그는 해당 글에서 “전 세계가 우리를 지켜보고 있다”면서 “그 누구도 우리나라를 빼앗을 순 없다. 나는 물러서지 않는다”고 썼다.그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저주하는 글을 게시한 건 전면전 발발과 함께 우크라이나 민간인 수십 명이 사망하는 등 인명피해가 속출하는 상황에 대해 분노한 때문으로 보인다.우크라이나 축구 레전드 안드리 셰브첸코 또한 자신의 트위터에 “우리 모두가 우크라이나를 위해 단결해야한다”는 글을 올렸다.송지훈 기자 song.jihoon@joongang.co.kr 2022.02.25 07:48
축구

프랑스, 인재에 천재까지… 유로2016 '비상'

유로 2016 개최국 프랑스가 인재에 이어 천재까지 겹쳐 골머리를 앓고 있다.프랑스는 지난해부터 테러 위협에 벌벌 떨고 있다. 프랑스 당국은 안전한 대회 운영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선포했으나 걱정의 목소리가 끊이질 않는다. 또 노동법 관련 파업도 계속되고 있다. 수도 파리에는 홍수까지 발생했다.가장 큰 걱정거리는 테러다. 프랑스내 테러 공포증은 지난해 11월부터 이어지고 있다. 당시 이슬람 극우 무장 세력이 파리 각지에서 벌인 테러로 민간인 130명이 사망했다. 프랑스 의회는 국가 비상사태를 선언하고 경호 인력 9만여명을 배치해 테러에 맞서고 있다.하지만 위협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더구나 테러 용의자가 이슬람 세력에서 유럽내 극우주의자로 확대돼 더욱 우려된다. 영국 공영방송 BBC는 지난 6일(한국시간) 유로 2016 경기장과 관중을 대상으로 테러를 계획한 프랑스 국적 남성이 우크라이나 정보기관에 체포됐다고 보도했다.BBC에 따르면 이 남성은 기관총 5정, 125kg 상당의 폭탄 및 기폭 장치 등을 구매했다. 그는 프랑스 이민 정책과 이슬람 세력 확산에 항의하기 위해 15건의 테러를 계획했다고 실토했다.미국 국무부는 자국민들에게 프랑스 포함 유럽 여행 경보까지 내렸다. 국무부는 지난 1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경기장 등 공공 장소가 테러리스트의 목표물이 될 수 있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프랑스 각지에서는 노동법 개정안 반대 시위가 연일 계속되고 있다. 프랑스 의회가 노동자에 불리한 조항이 삽입된 법 개정을 강행한 것이 국민적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전기 및 대중 교통 등 사회기반시설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다. 유로 2016 관람을 위해 프랑스를 찾은 관광객들이 불편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하늘마저 돕지 않고 있다. 지난 5일에는 파리에 35년 만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다. 파리의 상징 센 강이 범람했으며 루브르 박물관도 침수 피해를 우려해 휴관했다.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이날 "프랑스 축구대표팀 상징인 수탉이 '전진하자!'고 울어야 할 처지에 놓였다"며 유로 2016을 앞둔 프랑스의 현 상황을 우회적으로 꼬집었다. 송창우 기자 song.changwoo@joins.com 2016.06.09 06: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