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5건
사회

엠폭스 감염자 2명 늘어 총 42명…경기·인천 거주

질병관리청은 국내 40번째 엠폭스(원숭이두창) 확진 환자 발표 이후 2명의 환자가 추가로 발생했다고 28일 밝혔다.신규 확진 환자들의 거주지는 경기(1명)와 인천(1명)이다. 모두 내국인으로, 의심 증상 발생 후 질병관리청 콜센터로 본인이 신고한 사례가 1건, 의료기관의 신고가 1건이다. 해당 환자들의 주요 증상은 발진과 발열 등이다. 전반적인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증상 발현 3주 이내에 해외 여행력이 없었고, 국내 발생으로 추정하고 있다.질병관리청은 "엠폭스는 백신과 치료제, 진단 역량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는 관리 가능한 질환으로, 의심 증상이 있을 시 가까운 의료기관이나 보건소를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했다.또 "엠폭스 발생 국가 방문력이나 의심 환자 밀접 접촉(피부·성접촉) 등의 위험 요인이 있거나 발진 등이 있는 경우 질병관리청 콜센터로 문의하고, 모르는 사람들과의 밀접 접촉에 각별히 주의해달라"고 강조했다.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3.04.28 14:46
연예일반

‘벌거벗은 세계사’ 코로나19·원숭이두창 등 인수공통감염병 조명

‘벌거벗은 세계사’가 인수공통감염병의 공포를 벌거벗긴다. 9일 방송되는 tvN ‘벌거벗은 세계사’ 59회에서는 원숭이 두창부터 코로나19까지, 인수공통감염병의 공포를 주제로 바이러스 역사에 대해 파헤친다. 인수공통감염병은 동물에서 인간으로 등 종간의 장벽을 뛰어넘어 발생하는 전염병을 일컫는다. 최근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은 코로나19와 원숭이 두창이 바로 인수공통감염병이다. 이번 강의에는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바이러스 분야의 전문가인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송대섭 교수가 출연한다. 송대섭 교수는 인수공통감염병의 정의부터 역사, 앞으로 인류에게 닥쳐올 감염병 시나리오까지 폭넓은 강의를 선보일 예정이다. 치사율이 최대 90%에 이르는 죽음의 바이러스 에볼라, 사상 최악의 사망자 수를 기록한 20세기 최초의 팬데믹 스페인 독감 등 그간 전 인류를 떨게 했던 바이러스의 정체를 파헤칠 계획이다. 그뿐만 아니라 송 교수는 우리 곁에 도사리고 있는 바이러스와 미래에 만나게 될 감염병에 관해서도 소개한다. 이에 은지원을 포함한 패널들은 “저 병이 우리나라에 왔다고?”라며 충격을 받았다는 후문. 이날 히스토리 에어라인에 함께 탑승할 여행 메이트로는 미국에서 온 존 그랜지와 나이지리아 출신 파스칼이 출연한다. 파스칼은 아프리카의 장례 문화와 그로 인해 퍼진 전염병의 상관관계에 대해 소개하며 이야기를 한층 풍성하게 한다. ‘벌거벗은 세계사’ 59회는 9일 오후 8시 40분에 tvN에서 방송된다. 김다은 인턴기자 2022.08.09 15:38
산업

원숭이두창 진단키트로 코로나 때처럼 'K바이오 저력' 뽐낼까

전 세계에서 원숭이두창이 확산하면서 국내 바이오업체들이 진단키트 개발에 나서고 있다. 코로나19 때처럼 K바이오의 힘을 보여줄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4일 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씨젠과 바이오니아, 진스랩, 시선바이오 등이 원숭이두창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키트 개발을 완료했다. 바이오니아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1시간 30분 만에 확인할 수 있는 검출용 키트를 개발했다. 바이오니아에 따르면 '아큐파워'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의 DNA를 추출해 증폭하는 기술로 감염 여부를 파악한다. 바이오니아 관계자는 "검출용 키트를 원숭이두창이 유행하고 있는 국가의 병원 및 연구소에 우선 판매한 후 유럽 통합규격인증(CE)을 받을지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GC의 자회사인 진스랩의 제품은 원숭이두창 바이러스가 속해있는 오소폭스바이러스를 폭넓게 검출하는 동시에 이 바이러스에 원숭이두창 바이러스가 포함돼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결과는 약 70분 내에 나온다.시선바이오도 원숭이두창 감염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해 지난 10일 유럽통합인증규격(CE) 체외진단(IVD) 인증을 받았고, 현재 수출용 및 국내 시판용 허가 절차를 밟고 있다. 국내를 대표하는 진단키트업체인 씨젠도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약 1시간 30분 이내에 확인할 수 있는 진단키트를 각각 개발 완료했다. 진단키트 업체인 휴마시스와 수젠텍은 각각 개발에 착수했다고 알리면서 신속하게 개발을 완료하고 상용화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진단키트 업체들은 모두 원숭이두창이 확산 중인 국가를 중심으로 진단키트를 공급할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1명의 원숭이두창 감염자만 나왔기 때문에 코로나19처럼 대규모 유행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지 않은 편이다. 원숭이두창의 경우 코로나19 진단키트와 달리 상용화가 쉽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대신 해외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코로나19 때도 진단키트의 해외 수출을 통해 K바이오의 힘을 뽐낸 바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에서는 원숭이두창에 대한 통제력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4일 정치전문매체 더힐에 따르면 미국의 일부 전염병 및 공중보건 전문가들은 조 바이든 정부의 원숭이두창 대응이 너무 느리다면서 이는 코로나19 초기 발병 때와 흡사하다고 지적했다. 원숭이두창이 기존과 다른 확산세를 보이고 있는데도 상당히 제한된 검사와 백신 보급으로 발병 확산을 초래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데이비드 하비 미 전국성병예방협력센터(NCSD) 이사는 "미국은 검사 간소화와 가용 백신 제공, 치료제 접근 합리화 모두에 뒤처져 있다. 세 영역 모두 관료적이고 느리며, 이는 발병을 억제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도 유럽에서 원숭이두창 감염 건수가 2주 새 3배로 급증했다며 각국 정부와 시민사회가 확산을 막기 위한 긴급조처에 돌입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전 세계 원숭이두창 확진 사례 중 90%는 유럽에서 나왔다. 31개국에서 확진 사례는 4500건에 달한다. WHO는 현재로서는 원숭이두창이 공중보건 비상사태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지 않았다. 하지만 추후 재검토를 할 예정이다. 특히 아프리카는 원숭이두창 백신이 없고 진단키트도 공급 부족한 상황이라 우려를 낳고 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2.07.04 10:32
연예일반

코로나19 다음 팬데믹은 더 강력하다?... KBS1 ‘이슈 픽’ 박한선 교수 강연

코로나19 아직 안심하긴 이르다. 오는 12일 오후 7시 10분 방송되는 KBS1 ‘이슈 PICK 쌤과 함께’에 생물인류학자 박한선 교수가 출연해 ‘인간과 감염병, 다음 팬데믹은 올 것인가’를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지난 2년여 동안 전 세계적으로 5억 명 이상의 확진자와 63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내며 (2022년 6월 8일 기준) 인류를 위협한 코로나19가 최근 감소세를 보인다. 거리두기에서 일상 회복으로의 전환을 시작하며 움츠러들었던 사회 분위기가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지만 아직 안심하기 이르다. 이날 박 교수는 코로나19에서 파생된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계속해서 출현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이에 개그우먼 강유미는 “2년 만에 전체회식을 잡았는데, 또 사회적 거리두기를 해야 하는 거냐” 라며 울상을 짓는다. 박 교수는 코로나19 같은 감염병이 인류 문명의 발달이 가져온 비극이라고 설명한다. 농업이 도입 이후 감염병이 생겼고, 인류가 농경 생활을 시작하고 가축을 기르면서 이를 매개로 감염병이 인간 사회로 들어왔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현재 인간이 걸리는 감염병 중 절반 이상이 이러한 인수공통감염병이라고 설명한다. 또 매년 15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결핵 원인이 불의 사용이라는 최신 주장도 소개한다. 세균의 체내 침입량을 줄이고 영양소의 흡수율을 높인 화식(火食) 때문에 인간의 면역계가 느슨해졌다는 것. 박 교수는 코로나19가 불러온 혐오에도 주목한다. 지난 2년여 동안 SNS에는 코로나19와 관련된 허위 정보와 함께 확진자를 향한 혐오와 편견이 폭발적으로 퍼졌다. 방송인 홍석천은 코로나 기간 허위 소문이 퍼져 가게를 접은 소상공인이 많다며, 자영업자로서 깊이 공감하며 안타까워한다. 박 교수는 특히 코로나19가 심각한 인종 차별을 초래했다고 지적한다. 코로나19가 중국 우한에서 시작됐다는 사실 때문에 미국에선 반아시안 증오범죄가 급증했다. 박교수는 반아시안 증오범죄가 뉴욕에서는 무려 833%나 증가했다고 전한다. 빌 게이츠를 비롯한 세계 석학들은 코로나19 이후 더 강력한 팬데믹이 찾아올 것이라고 경고한다. 최근 신종 감염병인 원숭이두창도 등장했다. 박 교수는 신종 감염병은 인류가 만든 괴물이라며 사회 구조가 바뀌지 않으면 감염병 통제는 점점 어려워질 것이라 강조한다. 김다은 인턴기자 2022.06.09 16:53
사회

원숭이두창 2급 감영병 지정, 코로나처럼 확진 시 격리 의무

세계 각국으로 번지고 있는 원숭이두창이 2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되면서 확진 시 의무 격리가 적용된다. 질병관리청은 원숭이두창을 제2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했고, 8일 오전 0시부터 시행되고 있다. 앞서 질병관리청은 지난달 31일 원숭이두창에 대한 위기 경보 수준을 관심 단계로 발령한 바 있다. 질병관리청은 "현재 신종감염병증후군으로 대응 중인 원숭이두창을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해 국내 발생 시 신속한 대응 및 효율적인 감염병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되면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대한 법률에 따라 확진자 발생 시 신고 의무 등이 발생한다. 2급 감염병은 전파 가능성을 고려했을 때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으로 현재 코로나19, 결핵, 수두 등 22종이 지정돼있다. 또 의료기관 등은 확진자가 발생했을 경우 24시간 이내 방역당국에 신고해야 한다. 원숭이두창은 중·서부 아프리카 지역에서 풍토병이 된 바이러스지만 지난달 7일 영국에서 첫 발병 보고가 있고 난 뒤 세계 각국에서 확산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5일 기준 비풍토병지역 27개국에서 780건의 원숭이두창 감염 사례가 확인됐다. 방역당국은 원숭이두창의 국내 유입 가능성에 대비해 2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하는 한편 효과성이 입증된 3세대 두창 백신 도입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생물테러나 국가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 대비해 1세대, 2세대 두창 백신 3502만명분도 이미 비축하고 있다. 정부는 아직 원숭이두창 국내 유입 사례가 없고 전파력이 높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해 두창 백신을 일반 국민에게 접종하는 방안은 고려하지 않다. 다만 감염 노출 위험이 있는 고위험군에 제한적으로 접종하는 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2.06.08 09:5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