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11건
경제일반

"설 연휴 일평균 여객 12만명...코로나 이후 최대"

설 연휴기간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하는 국제선 이용객이 일평균 12만명을 넘을 것으로 전망됐다. 코로나 발생 이후 최대다.20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설 연휴 특별교통대책 기간인 20일부터 24일까지 총 5일간 약 61만 6074명, 일평균 기준 약 12만 3215명의 여객이 인천공항을 이용할 것으로 예측됐다.이는 지난해 설 연휴기간 일평균 여객(8859명) 대비 1291% 증가한 수치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설 연휴기간과 비교하면 61% 회복한 수준이다.이번 설 연휴 기간 중 이용객이 가장 많은 날은 21일로 13만1250명이 인천공항을 이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출발여객이 가장 많은 날은 연휴 시작 전날인 20일(7만702명), 도착여객이 가장 많은 날은 연휴 마지막 날인 24일(7만2534명)로 전망됐다.인천공항공사는 코로나19 이후 여객수요가 본격적으로 회복되는 첫 설 명절에 공항 본연 기능 강화, 24시간 안전한 공항 및 코로나19 방역 분야에 대한 빈틈없는 대책을 수립해 공항운영에 만전을 기한다는 계획이다.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3.01.20 10:15
경제

하루 이용객 7000명대로 줄어든 인천공항, 17년 만에 적자 전망

인천국제공항의 하루 평균 이용객이 7000명대로 줄어들었다. 18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7월 16일까지 인천공항 이용객은 약 1089만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3867만명)과 비교하면 약 4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코로나19 발병 초기인 1월에는 631만명이 이용해 작년 1월(625만명)보다 소폭 늘었다. 그러나 2월부터 338만명으로 반 토막이 난 뒤 3월에는 61만명 수준으로 급감했다. 이어 4월 15만명, 5월 14만명, 6월 18만명으로 3개월 연속 10만명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하루 평균 이용객으로 봐도 지난해에는 20만명대를 유지했다. 하지만 올해는 1월 20만4000명에서 2월 11만7000명, 3월 2만명, 4월 5000명, 5월 4000명으로 계속 줄었다. 특히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확산하면서 대부분의 국가가 출입국을 강하게 통제하던 5월 26일에는 인천공항 이용객이 2601명으로 개장 이래 최저치를 찍었다. 그나마 최근 유럽 주요 국가들이 국경 통제를 속속 해제하면서 이달 들어 일평균 이용객이 7000명대 수준으로 소폭 회복한 상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공사는 올해 17년 만의 적자를 기록할 전망이다. 지난해 8660억원이었던 당기순이익이 올해는 3244억원 순손실로 적자 전환할 것으로 공사는 내다보고 있다. 주요 수입원이던 면세점 사업이 크게 위축된 탓이 크다. 인천공항 면세점 사업은 지난 2월 5개 사업장 중 2곳이 유찰됐고, 시티면세점과 SM면세점은 영업을 포기한 상태다. 이에 따라 공사는 3월 26일부터 출국장 운영을 축소하고 셔틀 트레인을 줄이는 등 '1단계 비상 운영'에 돌입한 상태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07.18 10:28
연예

하나투어, 인천공항 터미널간 왕복 셔틀 운영

하나투어(대표이사 김진국)가 자사 고객들을 대상으로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이하 T1)과 제2여객터미널(이하 T2)을 오가는 셔틀서비스를 운영한다. 터미널을 혼동한 고객들이 출국시간을 놓치는 일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이다.오는 18일 개항하는 T2는 대한항공과 에어프랑스, 델타항공, KLM네덜란드항공이 취항한다. 이밖에 다른 항공사를 이용해 출국할 경우에는 기존처럼 T1을 이용하면 된다.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T2 개항 후 출국터미널을 잘못 찾을 것으로 예측되는 공항 이용객은 일평균 770명 정도다. 이용객들은 ▲단순히 출국터미널을 혼동하거나 ▲공항리무진버스에서 잘못 하차할 수 있고 ▲항공사간 코드셰어로 인해 출국터미널을 잘못 인지할 수도 있다.이에 하나투어는 출국시간이 1시간 반 전후로 임박한 자사 고객들의 터미널간 원활한 이동을 위해 자체적으로 'HNT 셔틀서비스'를 운영한다. HNT 셔틀서비스는 하나투어 공항 미팅데스크에서 신청 가능하며, 신청시 5분 내에 셔틀이 준비된다. 터미널간 이동에 걸리는 시간은 20분 전후이며, 출국 전 미팅도 셔틀 도착시간에 맞춰 지체 없이 진행할 수 있다. 이밖에 출국시간에 여유가 있는 고객들은 인천공항이 운영하는 무료순환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HNT 셔틀서비스는 오는 2월16일까지 1달간 시범운영하며, 필요시 연장된다. 서비스 이용 가능시간은 05시부터 19시까지다.하나투어 정기훈 공항지점장은 "T2 개항 직후 출국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고객이 없도록 철저히 준비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고객들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라고 말했다.이석희 기자 2018.01.17 09:19
경제

대한항공, 기내식 하루 8만4936식 만들어…‘역대 최대’

대한항공은 지난달 30일 8만4936식의 기내식을 생산, 하루 기내식 생산량 최고치를 기록했다.1일 대한항공 기내식사업본부에 따르면 지난 주말인 30일 하루동안 8만4936명이 먹을 수 있는 기내식을 생산했다. 이는 작년 여름 최대 수송인원을 기록한 2015년 8월 1일 7만7339식에 비해 7597인분이 많은 수치다.본격적인 해외여행 시즌을 맞아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온 대한항공 기내식 생산량은 올해 구정 연휴인 2월 6일 7만9905식을 비롯, 7월 27일 8만332식으로 8만식을 돌파하는 기록 갱신을 한 후, 7월 30일 하루 8만4936식 생산을 기록하며 정점을 찍었다. 이는 대한항공이 1969년 기내식을 생산한 이래 역대 최대치 기록이다.대한항공 기내식 생산량이 최대치를 기록한 것은 국내에서 해외로 나간 승객이 역대 최대 수준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지난 주말 인천국제공항 이용객은 20만명을 육박하며 역대 최대 수송인원을 기록했다.대한항공은 지난 1969년 기내식 생산을 시작한 이래, 47년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며 기내식의 품질을 높이는데 힘써왔다. 특히‘국민 기내식’인 비빔밥을 선보이며 한식 세계화에도 앞장서고 있다.현재는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에 국내 최대 규모의 기내식 공장을 두고 싱가포르항공, 에어프랑스, 브리티시에어 등 우리나라에서 출발하는 49개 항공사에 기내식을 공급하고 있다. 지난해 대한항공 기내식사업의 매출액은 2433억원 수준으로 전체 매출의 2.2%를 차지했다.기내식 메뉴 별로는 역시 한식 메뉴가 가장 많이 공급됐다. 국내 출발 편 승객의 경우 한식을 선호한다는 점에서 비빔밥 등 한식 메뉴를 주로 생산하고 있다.지난달말 기준 대한항공 기내식에서 하루 생산하는 핫 밀(Hot Meal)의 종류는 된장덮밥, 불고기, 토종닭백숙등 약 1000여 가지다. 동치미국수, 샌드위치류, 초밥류, 샐러드류 등 230여종의 콜드 밀 (Cold Meal)과 소프트롤, 크로아상, 머핀 등 베이커리 140개까지 합치면 일평균 1400종류의 기내식을 만들어 제공하고 있다.또한 기내식 중 최고 인기 메뉴인 비빔밥의 경우 일 생산량이 약 3600식에 이르며, 그 외에 디저트 8000개, 빵 6만7000개 등을 하루에 생산하고 있다.대한항공 관계자는 "기내식에 쓰이는 식자재는 제주 한라산 청정 지역 목장에서 사육한 제동한우와 토종닭을 비롯해, 재배 전 과정을 엄격하게 관리해 생산한 파프리카, 체리 토마토 등 무공해 농산물을 사용한다"며 "제철 식재료를 활용해 기내식의 계절성을 강조하며 ‘웰빙’과 ‘맛’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안민구 기자 an.mingu@joins.com 2016.08.01 13:20
연예

서울 지하철 5~8호선, 무임운송 나날이 증가... 고충은 후세대들의 몫?

지하철 5~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지난해 처음으로 무임운송 인원이 1억명을 넘어섰다고 15일 밝혔다.뉴시스는 도시철도공사의 '2015년 수송인원 분석결과'를 인용, 지난해 무료로 지하철 5~8호선을 이용한 승객은 전체의 14.8%인 1억46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으며 운임으로 환산하면 약 1260억원에 달했다고 보도했다.만 65세 이상 노인이 하루 평균 21만4000명(77.7%)으로 가장 많았고 장애인 5만7000명(20.8%), 국가유공자 4000명(1.5%) 순이었다.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무임운송이 매년 증가 추세이며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그 비율 또한 지속해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지난해 총 운송인원수는 전년도보다 750만명가량 감소한 약 9억7000만명이었다. 특히 메르스 여파로 6~8월 운송인원이 전년 대비 813만명가량 감소했다.가장 많은 시민이 이용한 역은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하루 평균 6만1187명이 다녀갔다. 이어 5·8호선 천호역(5만8682명), 광화문역(5만2240명)이 뒤를 이었다.5호선 마곡역은 전년 대비 일평균 승객이 43.8%(2944명)나 증가했다. 마곡지구 개발로 2만3000여가구가 입주하면서 이용객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도시철도공사는 분석했다.최다 운송인원을 기록한 날은 336만8000명이 이용한 스승의 날(5월15일)이었고 가장 적었던 날은 97만4000명이 이용한 설날 당일(2월19일)로 나타났다.요일별로는 금요일 이용객이 하루 평균 약 300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시간대별로는 출·퇴근 시간대인 오전 7~9시와 오후 6~8시 승객이 전체의 33.4%를 차지했다.김태호 서울도시철도공사 사장은 "운송통계에는 사회 분위기와 경제 상황, 날씨 등의 변화가 그대로 반영돼 지하철이 시민과 얼마나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알 수 있다"며 "더 많은 시민에게 사랑받는 지하철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온라인 일간스포츠'서울 지하철 5~8호선' 2016.02.15 12:29
연예

서울 지하철 5~8호선, 무임운송 인원 1억명 넘어서... 고령화 사회 골치

지하철 5~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지난해 처음으로 무임운송 인원이 1억명을 넘어섰다고 15일 밝혔다.뉴시스는 도시철도공사의 '2015년 수송인원 분석결과'를 인용, 지난해 무료로 지하철 5~8호선을 이용한 승객은 전체의 14.8%인 1억46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으며 운임으로 환산하면 약 1260억원에 달했다고 보도했다.만 65세 이상 노인이 하루 평균 21만4000명(77.7%)으로 가장 많았고 장애인 5만7000명(20.8%), 국가유공자 4000명(1.5%) 순이었다.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무임운송이 매년 증가 추세이며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그 비율 또한 지속해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지난해 총 운송인원수는 전년도보다 750만명가량 감소한 약 9억7000만명이었다. 특히 메르스 여파로 6~8월 운송인원이 전년 대비 813만명가량 감소했다.가장 많은 시민이 이용한 역은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하루 평균 6만1187명이 다녀갔다. 이어 5·8호선 천호역(5만8682명), 광화문역(5만2240명)이 뒤를 이었다.5호선 마곡역은 전년 대비 일평균 승객이 43.8%(2944명)나 증가했다. 마곡지구 개발로 2만3000여가구가 입주하면서 이용객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도시철도공사는 분석했다.최다 운송인원을 기록한 날은 336만8000명이 이용한 스승의 날(5월15일)이었고 가장 적었던 날은 97만4000명이 이용한 설날 당일(2월19일)로 나타났다.요일별로는 금요일 이용객이 하루 평균 약 300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시간대별로는 출·퇴근 시간대인 오전 7~9시와 오후 6~8시 승객이 전체의 33.4%를 차지했다.김태호 서울도시철도공사 사장은 "운송통계에는 사회 분위기와 경제 상황, 날씨 등의 변화가 그대로 반영돼 지하철이 시민과 얼마나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알 수 있다"며 "더 많은 시민에게 사랑받는 지하철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온라인 일간스포츠'서울 지하철 5~8호선' 2016.02.15 11:16
연예

서울 지하철 5~8호선, 무임운송 인원 증가에 위기... 승객 전체 15% '헉'

지하철 5~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지난해 처음으로 무임운송 인원이 1억명을 넘어섰다고 15일 밝혔다.뉴시스는 도시철도공사의 '2015년 수송인원 분석결과'를 인용, 지난해 무료로 지하철 5~8호선을 이용한 승객은 전체의 14.8%인 1억46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으며 운임으로 환산하면 약 1260억원에 달했다고 보도했다.만 65세 이상 노인이 하루 평균 21만4000명(77.7%)으로 가장 많았고 장애인 5만7000명(20.8%), 국가유공자 4000명(1.5%) 순이었다.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무임운송이 매년 증가 추세이며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그 비율 또한 지속해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지난해 총 운송인원수는 전년도보다 750만명가량 감소한 약 9억7000만명이었다. 특히 메르스 여파로 6~8월 운송인원이 전년 대비 813만명가량 감소했다.가장 많은 시민이 이용한 역은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하루 평균 6만1187명이 다녀갔다. 이어 5·8호선 천호역(5만8682명), 광화문역(5만2240명)이 뒤를 이었다.5호선 마곡역은 전년 대비 일평균 승객이 43.8%(2944명)나 증가했다. 마곡지구 개발로 2만3000여가구가 입주하면서 이용객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도시철도공사는 분석했다.최다 운송인원을 기록한 날은 336만8000명이 이용한 스승의 날(5월15일)이었고 가장 적었던 날은 97만4000명이 이용한 설날 당일(2월19일)로 나타났다.요일별로는 금요일 이용객이 하루 평균 약 300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시간대별로는 출·퇴근 시간대인 오전 7~9시와 오후 6~8시 승객이 전체의 33.4%를 차지했다.김태호 서울도시철도공사 사장은 "운송통계에는 사회 분위기와 경제 상황, 날씨 등의 변화가 그대로 반영돼 지하철이 시민과 얼마나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알 수 있다"며 "더 많은 시민에게 사랑받는 지하철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온라인 일간스포츠'서울 지하철 5~8호선' 2016.02.15 10:56
연예

서울 지하철 5~8호선, 무임운송 금액 환산하면 천억원대... 이러다 망하겠네

지하철 5~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지난해 처음으로 무임운송 인원이 1억명을 넘어섰다고 15일 밝혔다.뉴시스는 도시철도공사의 '2015년 수송인원 분석결과'를 인용, 지난해 무료로 지하철 5~8호선을 이용한 승객은 전체의 14.8%인 1억46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으며 운임으로 환산하면 약 1260억원에 달했다고 보도했다.만 65세 이상 노인이 하루 평균 21만4000명(77.7%)으로 가장 많았고 장애인 5만7000명(20.8%), 국가유공자 4000명(1.5%) 순이었다.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무임운송이 매년 증가 추세이며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그 비율 또한 지속해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지난해 총 운송인원수는 전년도보다 750만명가량 감소한 약 9억7000만명이었다. 특히 메르스 여파로 6~8월 운송인원이 전년 대비 813만명가량 감소했다.가장 많은 시민이 이용한 역은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하루 평균 6만1187명이 다녀갔다. 이어 5·8호선 천호역(5만8682명), 광화문역(5만2240명)이 뒤를 이었다.5호선 마곡역은 전년 대비 일평균 승객이 43.8%(2944명)나 증가했다. 마곡지구 개발로 2만3000여가구가 입주하면서 이용객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도시철도공사는 분석했다.최다 운송인원을 기록한 날은 336만8000명이 이용한 스승의 날(5월15일)이었고 가장 적었던 날은 97만4000명이 이용한 설날 당일(2월19일)로 나타났다.요일별로는 금요일 이용객이 하루 평균 약 300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시간대별로는 출·퇴근 시간대인 오전 7~9시와 오후 6~8시 승객이 전체의 33.4%를 차지했다.김태호 서울도시철도공사 사장은 "운송통계에는 사회 분위기와 경제 상황, 날씨 등의 변화가 그대로 반영돼 지하철이 시민과 얼마나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알 수 있다"며 "더 많은 시민에게 사랑받는 지하철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온라인 일간스포츠'서울 지하철 5~8호선' 2016.02.15 10:37
연예

서울 지하철 5~8호선, 무임운송에 한숨... 운임액 환산 1260억원 '뜨악'

지하철 5~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지난해 처음으로 무임운송 인원이 1억명을 넘어섰다고 15일 밝혔다.뉴시스는 도시철도공사의 '2015년 수송인원 분석결과'를 인용, 지난해 무료로 지하철 5~8호선을 이용한 승객은 전체의 14.8%인 1억46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으며 운임으로 환산하면 약 1260억원에 달했다고 보도했다.만 65세 이상 노인이 하루 평균 21만4000명(77.7%)으로 가장 많았고 장애인 5만7000명(20.8%), 국가유공자 4000명(1.5%) 순이었다.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무임운송이 매년 증가 추세이며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그 비율 또한 지속해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지난해 총 운송인원수는 전년도보다 750만명가량 감소한 약 9억7000만명이었다. 특히 메르스 여파로 6~8월 운송인원이 전년 대비 813만명가량 감소했다.가장 많은 시민이 이용한 역은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하루 평균 6만1187명이 다녀갔다. 이어 5·8호선 천호역(5만8682명), 광화문역(5만2240명)이 뒤를 이었다.5호선 마곡역은 전년 대비 일평균 승객이 43.8%(2944명)나 증가했다. 마곡지구 개발로 2만3000여가구가 입주하면서 이용객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도시철도공사는 분석했다.최다 운송인원을 기록한 날은 336만8000명이 이용한 스승의 날(5월15일)이었고 가장 적었던 날은 97만4000명이 이용한 설날 당일(2월19일)로 나타났다.요일별로는 금요일 이용객이 하루 평균 약 300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시간대별로는 출·퇴근 시간대인 오전 7~9시와 오후 6~8시 승객이 전체의 33.4%를 차지했다.김태호 서울도시철도공사 사장은 "운송통계에는 사회 분위기와 경제 상황, 날씨 등의 변화가 그대로 반영돼 지하철이 시민과 얼마나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알 수 있다"며 "더 많은 시민에게 사랑받는 지하철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온라인 일간스포츠'서울 지하철 5~8호선' 2016.02.15 10:17
연예

서울 지하철 5~8호선, 무임운송 인원 1억명 돌파... 500원이라도 받아야 하나

지하철 5~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지난해 처음으로 무임운송 인원이 1억명을 넘어섰다고 15일 밝혔다.뉴시스는 도시철도공사의 '2015년 수송인원 분석결과'를 인용, 지난해 무료로 지하철 5~8호선을 이용한 승객은 전체의 14.8%인 1억46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으며 운임으로 환산하면 약 1260억원에 달했다고 보도했다.만 65세 이상 노인이 하루 평균 21만4000명(77.7%)으로 가장 많았고 장애인 5만7000명(20.8%), 국가유공자 4000명(1.5%) 순이었다.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무임운송이 매년 증가 추세이며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그 비율 또한 지속해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지난해 총 운송인원수는 전년도보다 750만명가량 감소한 약 9억7000만명이었다. 특히 메르스 여파로 6~8월 운송인원이 전년 대비 813만명가량 감소했다.가장 많은 시민이 이용한 역은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하루 평균 6만1187명이 다녀갔다. 이어 5·8호선 천호역(5만8682명), 광화문역(5만2240명)이 뒤를 이었다.5호선 마곡역은 전년 대비 일평균 승객이 43.8%(2944명)나 증가했다. 마곡지구 개발로 2만3000여가구가 입주하면서 이용객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도시철도공사는 분석했다.최다 운송인원을 기록한 날은 336만8000명이 이용한 스승의 날(5월15일)이었고 가장 적었던 날은 97만4000명이 이용한 설날 당일(2월19일)로 나타났다.요일별로는 금요일 이용객이 하루 평균 약 300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시간대별로는 출·퇴근 시간대인 오전 7~9시와 오후 6~8시 승객이 전체의 33.4%를 차지했다.김태호 서울도시철도공사 사장은 "운송통계에는 사회 분위기와 경제 상황, 날씨 등의 변화가 그대로 반영돼 지하철이 시민과 얼마나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알 수 있다"며 "더 많은 시민에게 사랑받는 지하철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온라인 일간스포츠'서울 지하철 5~8호선' 2016.02.15 09:33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