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경제

현대차,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변신 로봇 '타이거' 공개

현대차그룹이 4개의 다리와 바퀴로 험난한 지형도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변신 로봇 ‘타이거’를 선보였다. 현대차그룹은 10일 걸어 다니는 무인 모빌리티 타이거를 현대차그룹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처음 공개했다. 타이거는 변신하는 지능형 지상 이동 로봇을 의미한다. 현대차그룹 산하의 미래 모빌리티 담당 조직인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에서 개발한 타이거는 2019년 미국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서 처음 공개했던 걸어다니는 자동차 '엘리베이트'와 유사한 모듈형 플랫폼 구조를 갖췄다. 이번에 공개된 타이거의 첫 콘셉트 모델은 'X-1'으로, 여기서 'X'는 실험용을 의미한다. 타이거와 엘리베이트 모두 사륜 자동차에서 4개의 다리가 달린 4족 보행 로봇으로 변신할 수 있고 복잡한 지형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타이거는 엘리베이트와 달리 무인 탑승 차량으로 설계됐다. 타이거는 길이 약 80cm, 폭 약 40cm, 무게 약 12kg에 4개의 다리와 바퀴가 달린 소형 무인 모빌리티로, 자재와 상품, 기기장치 등 다양한 유형을 운반할 수 있는 자율 플랫폼이다. 대칭적인 디자인을 채택해 전진과 후진뿐 아니라 좌우로도 쉽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타이거는 도시에서 상품을 배송하고 원거리에 긴급 보급품을 수송하거나 센서와 계기판을 활용해 과학 탐사와 연구를 할 수 있다. 울퉁불퉁한 지형을 지나거나 장애물을 넘어갈 때는 로봇 다리의 보행 능력을 이용하고, 평탄한 지형에서는 다리를 안쪽으로 집어넣어 사륜구동 차량으로 변신한다. 또 접근이 어렵거나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지역으로 이동해야 할 때는 무인항공기(UAV)와 연결해 함께 구동할 수 있다. 차체 내부에는 별도의 화물 적재실을 갖춰 물품 보호기능을 강화했으며, 로봇 다리로 상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험로와 극지 등 노면의 상태가 불규칙한 공간에서도 물품을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다.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는 타이거를 오픈 이노베이션 방식으로 개발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반의 엔지니어링 설계 분야의 선두 기업 '오토데스크', 콘셉트 디자인 전문 기업 '선드버그-페라'와 긴밀히 협업했다. 현대차그룹은 향후에도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전 세계의 혁신적 기업과 협력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의 새로운 가능성을 다각도로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은 작년 말 총 8억8000만 달러(약 9588억원)를 투자해 '로봇 개'로 유명한 미국 로봇 전문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를 인수하기로 합의하기도 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2.10 10:44
연예

현대차, 글로벌 브랜드 가치 141억 달러 달성

현대차가 5년 연속 글로벌 30위권 브랜드에 이름을 올렸다.현대자동차는 글로벌 브랜드 컨설팅 업체 인터브랜드가 발표한 ‘2019 글로벌 100대 브랜드’에서 종합 브랜드 순위 36위, 자동차 부문 6위를 달성했다고 17일 밝혔다.브랜드 가치는 전년비 약 4.6% 상승한 141억 달러를 기록했다.현대차는 글로벌 100대 브랜드에 처음으로 이름을 올린 2005년 이후 올해까지 15년 연속으로 선정됐으며, 그 동안 브랜드 순위는 48계단, 브랜드 가치는 100억 달러가 오르는 등 괄목할만한 성장을 기록해왔다.특히 현대차는 글로벌 경기 둔화 속에서도 4% 이상 성장이라는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으며 2015년부터는 5년 연속으로 종합 브랜드 순위 30위권 진입에 성공했다.인터브랜드 관계자는 “이번 현대차의 높은 브랜드 가치 상승 요인은 수소사회를 위한 공격적인 투자와 미래 모빌리티 사업의 확장과 지속적인 노력에 있다”며 “더불어 ‘FCEV 비전 2030’이라는 미래 수소사회를 향한 비전과 로보틱스 사업의 성공적인 도약은 현대차가 미래 모빌리티 시장의 변화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고 말했다.현대차가 최근 미래 수소사회 구현을 위해 제시한 ‘FCEV 비전2030’에는 2030년까지 국내 수소전기차 50만대 생산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해 약 7조 6천억원의 투자 계획 등 수소 기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이 담겨있다.또한 현대차는 수소사회를 위한 비전과 함께 사우디 석유회사인 ‘아람코(Aramco)’와 수소 에너지 관련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자율주행 수소차 개발을 위해 ‘오로라(Aurora)’에 투자를 진행했으며 현대차그룹 정의선 수석부회장이 글로벌 최고경영자 협의체인 ‘수소위원회’ 공동회장으로 취임하는 등 수소사회를 이한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아울러 현대차는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도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자동차 회사는 자동차를 팔아야 한다는 기존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로보틱스, 마이크로 모빌리트 등 미래 이동성과 관련하여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특히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9’에서 선보인 ‘엘리베이트(Elevate)’ 프로토타입은 현대차의 로보틱스 기술력을 전 세계에 보여주었으며 최근 선보인 상향작업용 착용로봇 ‘벡스(VEX)’는 착용하는 산업용 로봇으로 현존 최고수준이라 평가 받고 있다.이와 함께 현대차는 서비스 산업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는 서비스 로봇, 제약이 있는 사람들의 이동을 도와줄 수 있는 웨어러블 로봇 등을 지속 개발해 다양한 분야에서의 브랜드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뿐만 아니라 현대차는 자율주행 분야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 9월 글로벌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용 소프트웨어 업체로 평가 받는 미국의 ‘앱티브(APTIV)’와 함께 총 40억 달러 가치의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이 외에도 현대차의 브랜드 역량 강화 역시 이번 글로벌 브랜드 가치평가에서 높은 평가를 받게 된 이유 중 하나다. 지난해 현대차는 국내 업계 최초로 ‘레드닷 디자인상’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활약을 펼친 1개의 브랜드에게 수여하는 ‘올해의 브랜드 상’을 수상했으며 제품 부문에서의 수상과 더불어 커뮤니케이션 부문에서도 수상을 하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브랜드 가치를 높게 평가 받았다.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는 자동차 산업 환경에 불어 닥치고 있는 거대한 변화를 기회로 삼아 새로운 모빌리티 리더가 되기 위해 힘쓰고 있다”며, “수소사회 및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19.10.17 15:13
연예

현대차, 걸어다니는 자동차 ‘엘리베이트 컨셉트카’ 티저 공개

현대자동차가 2일 걸어다니는 자동차, ‘엘리베이트 컨셉트카’의 티저 이미지를 공개했다.현대차의 로봇 및 전기차 기술이 적용된 '엘리베이트 컨셉트카'는 기존 이동수단의 틀을 깬 새로운 개념의 미래 모빌리티다. 2017년 11월 미국 실리콘밸리에 문을 연 현대차그룹의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 ‘현대 크래들’에서 개발했다.공개된 티저 이미지 속의 '엘리베이트 컨셉트카'는 바퀴 달린 로봇 다리를 자유롭게 이용해 기존 이동수단이 접근할 수 없었던 위험한 지형까지도 걸어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현대차는 오는 7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2019 CES)'에서 축소형 프로토타입이 작동하는 모습을 최초로 공개하며, 이와 함께 미래 모빌리티 비전과 전략도 발표할 예정이다.또한 앞으로 기존 이동수단의 한계를 뛰어넘어 이동성의 개념을 재정의한 '엘리베이트 컨셉트카'를 통해 미래 모빌리티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안민구 기자 an.mingu@jtbc.co.kr 2019.01.02 13:2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