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생활/문화

갤워치 화면 전환 매끄럽게…삼성, 웨어러블 전용 프로세서 출시

삼성전자는 최신 5나노 공정 기반의 웨어러블 기기용 프로세서 '엑시노스 W920'을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엑시노스 W920은 웨어러블 기기용 프로세서 중 처음으로 최신 EUV(극자외선) 공정이 적용됐다. 기존 대비 성능과 전력 효율이 크게 향상됐다. 프로세서와 함께 PMIC(전원 관리), 모바일 D램(LPDDR4X), eMMC(모바일 데이터 저장소) 메모리를 웨어러블 기기에 최적화한 초소형 패키지에 구현했다. 삼성전자는 엑시노스 W920에 반도체 설계 회사 Arm의 저전력 '코어텍스 A55' CPU 코어와 '말리-G68' GPU 코어를 탑재했다. 이전 제품보다 CPU 성능은 약 20%, 그래픽 성능은 최대 10배 이상 개선됐으며, 스마트워치에 탑재하면 3D 워치 페이스와 부드러운 화면 전환을 지원할 수 있다. 저전력 디스플레이용 '코어텍스-M55'도 추가로 탑재했다. 전체 화면을 켜지 않고도 시계, 알람, 부재중 전화 등 간단한 내용을 상시 확인할 수 있는 AOD(올웨이즈 온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프로세서가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데 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했다. 엑시노스 W920은 LTE 무선통신과 정확한 위치정보 파악에 필요한 위성항법시스템(GNSS L1)도 갖췄다. 새로운 칩셋은 삼성과 구글이 함께 개발한 신규 통합 플랫폼을 지원하며, '갤럭시워치' 차기 모델에 탑재될 예정이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08.10 17:08
경제

잘 골라야 발열 없다? 100만원 넘는 '갤S21' 양품 뽑기 논란

출시 2개월 차에 접어든 삼성전자 '갤럭시S21(이하 갤S21)' 시리즈가 때아닌 '뽑기' 논란에 휩싸였다. 동일한 모델인데도 소비자마다 체감하는 성능과 발열이 달라서다. 일부에서는 하드웨어 성능 관련 수치를 확인하는 법이 퍼지고 있으며, '100만원 넘는 제품을 사면서 뽑기 걱정을 해야 하느냐'는 불만도 나온다. 4일 해외 안드로이드 개발자 커뮤니티 'XDA 디벨로퍼스'에서는 갤S21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엑시노스 2100'과 관련한 수치와 스마트폰의 실제 성능 간 연관성을 묻는 설문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갤S21에서 특정 명령어로 접근해 얻을 수 있는 시스템 기록의 CPU와 그래픽카드 등 하드웨어 목록 옆에 1~5까지의 숫자가 적힌 것을 볼 수 있다. 이 숫자가 5에 근접할수록 사용하는 전력이 낮아 발열이 없으며, 1에 가까울수록 작업 효율이 높지 않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쉽게 말해 숫자가 낮을수록 발열이 있는 제품을 골랐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지난달부터 국내 IT 커뮤니티에서도 이런 방법으로 자신이 구매한 갤S21이 '양품(질 좋은)'인지 '뿔딱(불량 딱지)'인지 판별한 사례가 올라오고 있다. 해당 하드웨어 수치가 스마트폰 성능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보인다는 의견이 있지만, 성능 분석 사이트 '긱벤치'의 결과와 연계해 의미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일반적으로 긱벤치에서 갤S21 점수가 싱글코어 1000점 초반대, 멀티코어 3000점 중반대라면 양호한 것으로 본다. 이와 관련해 국내 IT 커뮤니티의 한 이용자는 "어느 제조사건 반도체 수율(생산 과정에서 양품이 나오는 비율)이 100%가 나올 수는 없다. 같은 모델도 성능이 다른 것은 이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또 다른 이용자는 "제조사가 보장하는 일정 수준은 지켜야 하는데 편차가 큰 건 문제가 있다"고 반박했다. 갤S21 성능과 관계가 있어 보이는 엑시노스 2100 관련 수치는 번거롭지만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소비자는 통화 화면에서 '*#9900#'을 누르면 시스템 기록을 얻는 영역에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Copy to sdcard(include CP Ramdump)'를 선택하면 시스템 기록이 스마트폰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다. 해당 화면을 빠져나와 '내 파일' 앱을 실행해 내장메모리의 'log' 폴더에 들어가서 'last_kmsg'라는 이름의 파일을 검색한 뒤, 확장자를 텍스트 파일(.txt)로 바꿔 문서 앱으로 열면 된다. 여기에는 '빅 CPU' '미드 CPU' '리틀 CPU' 각각의 'grp(그룹 인덱스)' 값이 1~5 범위 안에서 표시된다. 이것이 발열과 관련 있다는 것이 일부 소비자들의 주장이다. 한 IT 개발자는 "발열을 고려해 CPU와 그래픽카드, NPU(신경망처리장치), 모뎀 등 AP에 탑재된 모듈의 클럭(처리 시간) 값을 보정하는 과정에서 해당 기록이 작성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내외 커뮤니티 이용자들은 여러 하드웨어 자원 중 '빅' '미드' '리틀'로 나뉜 CPU 값이 스마트폰 성능과 직결된 것으로 추정했다. 엑시노스 2100은 영국 반도체 설계 기업 ARM의 표준 코어를 사용했다. 최대 2.9GHz로 구동되는 고성능 '코어텍스-X1' 1개와 2.8GHz '코어텍스-A78' 3개, 2.2GHz 저전력 '코어텍스-A55' 4개를 탑재했다. 웹 서핑 등 일반 작업에는 '리틀'에 해당하는 저전력 코어가 작동하고, 높은 사양의 게임이나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에는 '빅'과 '미들'에 해당하는 고성능 코어가 업무를 수행한다. 시스템 기록 확인은 'T전화'와 같이 이동통신사 등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앱이 아닌 기본 통화 앱으로 시도해야 한다. 갤럭시S 시리즈뿐 아니라 A 시리즈 등에서도 가능하다. 이 과정을 개발자들은 '덤프를 뜬다'고 표현한다. 프로그램 오류나 데이터 결함 등으로 문제가 생겼을 때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스템 기록을 살펴보는 것이다. 삼성전자가 모바일 AP 시장을 확장하기 위해 개발한 엑시노스는 미국 퀄컴의 스냅드래곤 대비 경쟁력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전작인 '엑시노스 990'은 성능과 발열 문제로 자사 스마트폰인 갤럭시S 시리즈에서 점유율이 하락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AP 신작은 별도로 공개행사를 열 만큼 회사 차원에서 공을 들였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로그 기록 관련 커뮤니티 글의 주장은 일부 사실과 다르다"며 "로그 기록 관련 내용은 구체적으로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03.05 07:00
생활/문화

삼성전자, 갤S21 두뇌 '엑시노스2100' 공개...퀄컴 넘을까

삼성전자가 최신 기술을 집약한 프리미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엑시노스 2100'을 출시했다. 전작 대비 성능을 크게 개선한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 20%대 점유율을 확보하며 경쟁사인 퀄컴을 압도하게 될지 관심이 쏠린다. 12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엑시노스 2100은 5나노 극자외선(EUV) 공정으로 생산되며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성능이 각각 30%, 40% 이상 향상됐다. 인공지능(AI) 성능도 강화됐으며, 삼성전자 프리미엄 모바일 AP 최초로 5G 모뎀 통합 칩으로 구현됐다. 고사양 게이밍과 복잡한 멀티태스킹 환경에 적합하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설계 업체 Arm과 협업해 최대 2.9GHz로 구동되는 고성능 '코어텍스-X1' 1개, '코어텍스-A78' 3개, 저전력 '코어텍스-A55' 4개를 탑재하는 '트라이 클러스터 구조'로 엑시노스 2100을 설계했다. 함께 탑재된 '말리-G78' GPU는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과 같은 실감콘텐트의 몰입도를 높인다. 이 제품은 3개의 차세대 신경망처리장치(NPU) 코어와 불필요한 연산을 배제하는 가속 기능 설계 등을 통해 초당 26조번 이상의 AI 연산 성능을 확보했다. 단말기 자체에서 고도의 AI 연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규모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엑시노스 2100은 최대 2억 화소 이미지까지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이미지처리장치(ISP)를 갖췄다. 최대 6개의 이미지센서를 연결하고, 4개의 이미지센서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광각·망원 등 다양한 화각의 이미지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 영상 촬영 기능을 제공한다. 이 제품에 내장된 5G 모뎀은 저주파 대역은 물론 초고주파 대역까지 주요 주파수를 모두 지원한다. 이밖에 소비전력은 7나노 대비 최대 20% 개선됐다. AI 연산에 소모되는 전력은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장 강인엽 사장은 "앞으로도 한계를 돌파하는 모바일 AP 혁신으로 프리미엄 모바일 기기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엑시노스 2100은 퀄컴이 최근 발표한 스냅드래곤 888과 함께 삼성전자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신제품인 갤럭시 S21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유럽, 인도 등에는 엑시노스2100 탑재 모델이 판매될 가능성이 높다. 앞서 시장에 나온 갤럭시 S20에서 엑시노스 990과 스냅드래곤 865의 성능을 비교할 수 있었는데, 성능 측면에서 퀄컴이 삼성전자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삼성전자의 이번 모바일 AP 신제품은 퀄컴의 스냅드래곤 888과 동등한 성능을 낼 것으로 기대된다. 성능 비교 사이트 긱벤치에서 갤럭시 S21 플러스와 울트라 모델의 연산 속도를 측정한 결과 싱글코어에서는 두 AP가 비슷한 수준을 보였지만, 멀티코어에서는 엑시노스2100이 월등히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엑시노스2100이 스냅드래곤 888(2.84GHz)보다 높은 클럭의 고성능 코어를 장착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수치상으로는 좋은 점수를 받았지만, 엑시노스2100이 발열과 배터리 소모 등 고질병을 제대로 극복했는지는 지켜봐야 알 수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2020년 3분기 전 세계 모바일 AP 시장에서 중국과 인도 등 중저가 시장을 공략한 미디어텍이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29%의 퀄컴이었으며, 삼성전자, 하이실리콘, 애플이 12%의 점유율로 공동 3위에 올랐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01.12 23: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