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경제일반

한전, 작년 사상 최악 경영실적

한전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71조2719억원, 영업손실 32조6034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매출은 전력판매량 증가와 요금인상 등으로 2021년 60조6736억원에 비해 17.5% 증가했다. 하지만 영업손실은 역대 최고치에 달했다. 업손실 종전 최대치였던 2021년의 5조8465억원의 5.6배에 달하는 수준이다.특히 작년 4분기 영업손실은 10조7670억원으로 역시 역대 분기 최고를 기록했다.지난해 전기 판매 매출은 제조업 가동률 증가에 세 차례(4·7·10월) 요금 인상에 따라 전년 대비 15.5% 증가한 66조1990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연료 가격 급등에 따른 전력도매가격 상승으로 영업비용이 전년 대비 56.2% 증가한 103조7753억원을 기록해 영업손실 폭이 커졌다.한전 측은 "전력 수요 증가로 발전량이 증가하고 액화천연가스(LNG), 석탄 등 연료 가격 급등과 이에 따른 전력도매가격(SMP·계통한계가격)이 배 이상 상승한 결과"라고 설명했다.지난해 평균 SMP는 kWh(킬로와트시)당 196.7원으로 2021년 94.3원에 비해 2.1배 올랐다.한전은 재무건전성 확보를 위해 비핵심자산 매각, 사업 시기 조정, 비용 절감 등으로 향후 5년간 20조원(한전 14.3조원·그룹사 5.7조원)의 재무 개선을 목표로 내걸었다.하지만 올해 전기, 가스, 대중교통 등 공공요금이 크게 오르자, 정부가 가스와 전기료 등의 인상을 올 하반기 이후로 미룰 것으로 예상되면서 한전의 올해 영업손실이 크게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3.02.24 16:34
산업

한전, 3분기까지 21조8000억원 영업손실 '역대 최대'

한국전력공사가 올해 3분기(7~9월)에도 7조5000억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내며 올해들어 22조원 가까운 누적적자를 기록했다. 한전은 에너지 위기 지속으로 올해들어 3분기까지 연결 기준 누적 영업손실이 21조8342억원에 달했다고 11일 밝혔다. 1~3분기 누적 기준 역대 최대 영업손실이다. 1분기(1∼3월)와 2분기(4∼6월) 각각 7조7869억원, 6조5164억원의 적자를 본 데 이어 3분기에는 전분기보다 1조원 넘게 늘어난 7조5309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3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다. 3분기까지 누적 영업손실은 전년 동기(-1조1240억원) 대비 무려 20조7102억원 늘어난 수치다. 1~9월 매출액은 전력판매량 증가와 요금조정에도 불구하고 6조6181억원 늘어난 51조7651억원에 그쳤으나 영업비용은 연료가격 급등 27조3283억원이나 급증한 73조5993억원을 기록한 데 따른 것이다. 구체적으로 올해 3분기까지 전기 판매 수익은 제조업 평균 가동률이 3.7% 증가하고 요금 조정으로 판매 단가가 8.2% 상승하면서 작년 동기 대비 5조4386억원(12.8%) 늘어난 47조9568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자회사 연료비가 10조8103억원, 민간 발전사 전력 구입비가 15조729억원 증가하는 등 비용은 훨씬 큰 폭으로 늘었다. 이는 전력 수요 증가로 발전량이 증가하고 액화천연가스(LNG), 석탄 등 연료 가격 급등과 이에 따른 전력 도매가격(SMP·계통한계가격)이 두 배 이상 상승한 결과라고 한전은 설명했다. 기타 영업비용 또한 발전·송배전 설비 취득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 등으로 1조4451억원 증가했다. 4분기에도 한전의 대규모 적자는 이어질 것으로 보여 올해 연간 30조원에 가까운 적자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점차 커지는 양상이다. 국제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연료비·전력 구매비는 크게 늘었지만, 전기요금 인상은 상대적으로 억제되며 전력 판매가격이 그만큼 인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전은 글로벌 에너지 위기 지속에 따른 대규모 적자 누적과 이로 인한 재무 구조의 급격한 악화에 대응하기 위해 재정 건전화 계획에 따라 비핵심자산 매각, 투자 사업 시기 조정, 전력공급 비용 관리 강화 등 향후 5년간 총 14조3000억원의 재무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차입금 증가로 사채 발행 한도 초과가 예상돼 한전법 개정을 통해 한도를 높이고, 은행차입 확대 등 차입 재원을 다변화해 안정적 전력공급에 필요한 자금을 차질없이 조달하겠다는 방침이다. 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2.11.11 15:21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