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금융·보험·재테크

'코픽스 3.4%'에 주담대 금리 또 올라…이자 어떻게 줄일까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18일 또 올랐다. 아직 이달 빅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인상)은 반영되지도 않은 금리다. 연내 주담대 금리 상단이 8%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더구나 또 한 번의 빅스텝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차주들은 이자 부담을 줄이는 방법을 고민하는 분위기다. 18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우리·NH농협은행의 신규취급액 코픽스(주택대출 변동금리 기준이 되는 자금조달비용지수) 연동 주담대 금리가 이날부터 0.44%p씩 올랐다. 국민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연 4.65~6.05%에서 하루 만에 연 5.09~6.49%로, 우리은행은 연 5.24~6.04%에서 연 5.68~6.48%로 상승했다. 전날 은행연합회가 9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가 전월 대비 0.44%p 오른 3.40%라고 공시한 것에 따른 움직임이다. 이번 코픽스는 2012년 7월 이후 10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상승폭도 올해 7월 0.52%p 이후 역대 두 번째로 크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로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의 수신상품 금리 변화를 반영한다. 한국은행이 8월 말 기준금리를 0.25%p 올린 이후 시중은행들이 예·적금 금리를 일제히 올리면서 9월 코픽스를 끌어올린 것이다. 문제는 대출금리 상승세가 여기서 끝이 아니라는 것이다. 지난 12일 한국은행이 빅스텝을 단행하면서 다음 달 발표하는 10월 코픽스가 또 오를 전망이다. 내달 한국은행이 다시 한번 빅스텝을 하면, 코픽스는 물론 이와 연동되는 변동형 대출 금리는 또 뛸 가능성이 크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분이 반영되면 대출 금리 상단이 8%에 가까워질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대출 금리가 계속해서 오르자 거액을 빌리게 되는 주택담보대출은 중도상환도 하지 못한 채 '이자 부담'에 직격탄을 맞고 있다. 이날 윤창현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1∼8월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가계 주담대 중도상환 건수는 2018년 42만1662건(월평균 3만5138건)에서 2019년 39만6087건(3만3007건), 2020년 39만1889건(3만2657건), 2021년 27만2979건(2만2748건), 올해 1∼8월 16만1230건(2만153건) 등으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은행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은 대출 규모가 크고 집을 사기 위한 목적으로 돈을 빌리는 것이다 보니, 쉽게 상환을 할 수 있는 액수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에 주담대 이자 부담을 조금이라도 줄이려는 움직임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부동산 관련 커뮤니티에는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게 도와주세요" "주택담보대출 이자 내느라 장사를 해도 남는 게 거의 없었는데, 주택담보대출을 갈아타서 이자가 줄었다" 등의 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금융권에서는 기존 대출을 보유한 차주에게 '안심전환대출' 등 고정형 정책금융 상품으로 갈아타는 것으로 이자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조언한다. 안심전환대출은 변동금리·준고정금리(혼합형) 주담대를 최저 연 3.7% 금리의 장기·고정금리·분할상환 상품으로 갈아탈 수 있는 상품이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안심전환대출 신청접수 18일차인 지난 14일까지 3만5855건(약 3조6490억원)이 신청되는 데 그쳤다. 이는 올해 공급 한도인 25조원의 약 14.5%에 불과한 실적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이달 말까지 우선 4억원 이하를 차주를 대상으로 신청을 받은 뒤, 다음 달 7일부터는 주택가격 기준을 높여 신청을 받는다는 계획이다. 대출 비교 플랫폼 관계자는 "정책금융 대상인지부터 확인해봐야 한다"며 "정책금융 대상자가 아니면, 금리 상한형 주담대 같은 상품을 상담받아보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금리 상한형 주담대'는 연간 금리 상승폭을 최대 0.75%p, 5년간 금리 상승 폭을 2%p 이내로 제한하는 상품이다. 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은 연간 최대 금리 인상 폭을 0.5%p로 낮췄다. 단, 은행이 금리 리스크를 떠안아야 하는 만큼 기존 대출금리에 0.15~0.2%p의 가산금리가 붙는다. 하지만 최근 신한·우리·NH농협은행 등의 경우 한시적으로 이를 면제해주고 있다. 이 관계자는 "금리인하요구권을 신청해보는 것도 방법"이라고 했다. 재산이 늘거나 신용등급이 올라가면 은행에 금리를 깎아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다. 업계는 지난달부터 금융권의 금리인하요구권 실적 비교공시가 시작되면서, 은행들이 실적 경쟁에 나설 경우 금리인하요구권 수용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2.10.19 07:00
경제

케이뱅크가 쏘아올린 '비대면 주담대'…우리은행도 합세

100% 비대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시장이 커지고 있다. 케이뱅크가 '아파트담보대출'로 히트를 하자, 시중은행들도 이 시장의 가능성을 보고 있는 분위기다. 4일 우리은행은 영업점 방문 없이 모바일로 가능한 우리WON뱅킹 전용상품 ‘우리WON주택대출’을 출시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신청부터 실행까지 전 과정이 모바일로 가능한 완전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상품"이라고 설명했다. 우리은행의 비대면 주담대는 금융권에서는 처음으로 주택구입부터 대환대출, 생활안정 등 자금용도 구분 없이 신청부터 실행까지 모바일로 가능한 서비스다. 주택구입자금의 경우 최대한도 5억원, 금리는 최저 연 2.74%이다. 특히, 부부 공동명의인 경우에도 전자등기를 통해 담보제공자가 영업점에 방문하는 번거로움 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보유 주택 수 확인을 위한 세대원 동의절차도 미성년자까지 확대 적용했다. 고객이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등 주택종류에 따라 상품을 선택했던 기존 대출상품과 달리, 주택종류를 자동분류해 ‘우리WON주택대출’ 한 가지 상품으로 신청할 수 있게 했다. 또 소득과 주택시세를 입력하면 3분 안에 대출금리와 한도 확인이 가능하다. 금리 우대 조건도 5개로 간소화했다. 이런 주담대 상품의 가능성은 앞서 상품을 출시한 케이뱅크에서 확인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비대면 주담대는 지난해 KB국민은행이 인터넷뱅킹을 통해 대출가능금액 등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는 ‘KB스타모기지론’을 내놓으면서 시작되기는 했지만, 본격적으로 신호탄을 쏘아 올린 곳은 케이뱅크다. 업계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출범 초기서부터 해당 아파트담보대출 상품에 공을 들여 왔다. 지난해 8월 '아파트담보대출(아담대)'을 출시한 케이뱅크는 최근 6월 말 기준 누적취급액이 7000억원을 넘겼다. 케이뱅크의 아담대는 제출 서류를 토지·건물의 등기권리증과 소득증빙서류 두 가지만으로 대폭 간소화한 100% 비대면 담보대출이다. 대환 대출은 최대 10억원까지 가능하다. 금리는 연 1.90%~3.61% 정도로, 타 은행 대비 0.5%포인트 이상 낮은 최저 수준이다. 소요 시간도 2분이 수준이다. 모바일로 금리와 한도 조회가 가능하고, 아파트 주소와 연 소득 등 기본 정보만 입력하면 별다른 서류 없이도 예상 금리와 한도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인터넷은행이다 보니 영업점 운용비용을 줄인 만큼 금리를 낮춰 기존 은행보다 저렴한 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금융권 메기'인 카카오뱅크도 연내 100% 비대면 주담대 출시를 내놓을 것으로 보이면서 비대면 주담대 경쟁은 과열될 전망이다. 최근 카카오뱅크는 ‘주담대 상품 기획·운영 담당자’를 모집한 바 있다. 주담대는 장기상환이라는 특성 탓에 은행 입장에서는 '장기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상품이다. 더군다나 코로나19 등으로 활발해진 비대면 거래는 해당 상품 이용을 '비대면'으로 전환하기에 충분한 배경이 되고 있다. 이 은행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카카오뱅크의 '비대면' 서비스가 금융권 메기로 작용하면서 시중은행들도 비대면 상품에 공을 들이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1.07.05 07:00
경제

직장인 10명 중 8명 "나는 하우스·렌트푸어족"…"대출 1억여원"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알바몬과 함께 직장인 1988명을 대상으로 ‘하우스·렌트푸어’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밝혔다. 이에 따르면 직장인 10명 중 8명 이상은 내집 장만과 전세 보증금 마련을 위한 대출 상환 때문에 여유 없이 사는 ‘하우스·렌트푸어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이들 직장인들은 매월 자신의 소득 5분의 1 이상을 주거비로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참여한 직장인 10명 중 8명(82.4%)은 스스로를 ‘하우스·렌트 푸어’라 답했다. 이는 2016년 조사(79.2%) 당시에 비해 3.2%p 증가한 수준이다. 직장인들의 매월 소득 중 주택대출 상환과 월세 등의 ‘주거비’ 지출 비율을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 월 소득의 22%를 지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월세’ 거주자의 경우 월 소득 중 주거비가 평균 27.6%로 가장 높았다. ‘전세’ 거주자는 월 소득 중 평균 14.0%, ‘자가’ 거주자의 경우 평균 24.3%를 주거비로 지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직장인들은 매월 나가는 주거비에 대해 부담스러워 했다. 조사결과 ‘부담되는 편이다’가 47.7%, ‘매우 부담스럽다’도 32.8%로 10명 중 8명의 직장인들이 매월 고정적으로 나가는 주거비로 인해 힘겨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을 마련할 때 매매자금이나 전세 보증금을 위해 대출을 받았는지’ 조사한 결과 65.0%가 ‘대출을 받았다’고 답했다. 기혼직장인 중에는 74.9%가, 미혼직장인 중에도 46.0%가 대출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주택 마련 형태별로는 집을 구입한(매매) 직장인들 중 68.7%가, 전세 계약의 경우 57.5%가 대출을 받아 주택을 마련했다고 했다. 대출은 ‘제1금융권(78.1%)’에서 받았다는 직장인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기혼직장인(80.1%)과 미혼직장인(72.0%) 모두 제1금융권에서 빌렸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나, 미혼직장인 중에는 ‘부모님이나 친지’에게 빌렸다는 응답자도 12.8%로 뒤를 이었다. 주택 계약 시 대출금 규모는 전체 응답자 평균 1억400만원으로 조사됐다. 전세 계약의 경우 평균 7600만원, 매매는 평균 1억1500만원 정도대출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월세의 경우에는 한 달 평균 51만원 정도를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0.06.06 15:51
경제

YEPP, K3 캠퍼스 PR 공모전 열어

삼성전자는 YEPP T9 ‘K3’의 출시를 기념하여 ‘제2회 YEPP K3 캠퍼스 PR 페스티벌 공모전’을 연다. 25일까지 옙 홈페이지(www.yepp.co.kr)를 통해 응모할 수 있으며. 신청서 1부와 파워포인트로 작성한 PR 기획안 1부를 제출하면 된다. 1차 심사를 통과한 7팀은 4월 9일부터 20일 사이에 자신들이 기안한 PR 아이디어를 실행에 옮기게 된다. 행사 진행비로 110만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최종 심사 결과 발표는 5월 11일. 대상 1팀에는 상금 300만원이. 최우수상 1팀에는 상금 100만원이 지급된다.●6.9도짜리 맥주 ‘카스 레드’출시술 알코올 도수가 점차 낮아지고 있는 가운데 오비맥주가 고도(高度) 맥주를 선보인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오비맥주는 이달 중 알코올 도수 6.9의 ‘카스 레드’를 출시한다.하이트와 오비맥주의 기존 제품군 알코올 도수가 2.8에서 최대 5까지 하향 조정돼있는 상황에서 도수 6.9는 맥주업계에서 이례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지금까지 알코올 도수가 가장 높았던 맥주는 1991년 9월 출시된 알코올 도수 7의 하이트 흑맥주 ‘스타우트’였지만 시장에서 그다지 호응을 얻지 못해 2000년 12월 알코올 도수를 5로 낮춰 재출시된 바 있다.●주택대출금리 다음달 또 인상 예정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분의 가산금리가 다음달부터 0.1~0.3%포인트씩 또다시 오를 것으로 보인다. 4월 중에 금융회사에 대한 주택신용보증기금 출연요율이 인상되면서 원가부담이 급격하게 늘어나게 될 은행들이 금리를 올리는 방법으로 대응할 것이 확실시되기 때문이다. 3월부터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확대 적용되는 데다 금리마저 큰 폭으로 오르면 주택담보대출은 받기도 어렵고 받아 봐야 금리 부담도 견디기 어려운 ‘주택부담대출’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07.03.05 11:04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