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경제

한국 2분기 집값 상승 6.8%, 55개 주요국 중 31위···미국 3위

한국의 2분기 부동산 상승률이 세계 주요국 순위에서 3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영국 부동산 정보업체 나이트 프랭크의 '글로벌 주택 가격 지수'에 따르면 한국의 2분기 주택가격은 1년 전보다 6.8%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 55개국 가운데 31위에 해당하는 상승률이다. 한국은 올 1분기에 5.8% 올라 56개국 중 29위를 기록했다가 이번에 순위가 내려갔다. 전체 평균 상승률은 9.2%에 달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환율과 물가가 불안한 터키가 주택가격 상승률이 29.2%로, 6분기째 1위를 고수했다. 뉴질랜드(25.9%), 미국(18.6%), 호주(16.4%), 캐나다(16.0%) 등 선진국이 주택가격 상승세를 주도했다. 선진 10개국 평균 상승률은 12%에 달했다. 이중 미국이 1분기에 13.2% 올라 2005년 4분기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바 있다. 이어 2분기엔 18.6%로 한층 더 치솟았다. 호주도 2분기 상승률이 2003년 이후 가장 높았다.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한 국가가 18개국에 달했다. 2분기에 주택가격이 하락한 국가는 인도(-0.5%)와 스페인(-0.9%) 등 2개국에 불과했다. 한국을 비롯해 나이트 프랭크가 개발도상국으로 분류한 10개국의 주택가격 상승률은 평균 4.7%를 기록했다. 나이트 프랭크는 미국에서 주택담보대출 신청이 하락하는 등 일부 국가에서 주택 수요가 둔화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9.19 10:04
연예

대구산업선 교통 호재, 대구국가산단 대방노블랜드 눈길

아파트의 가치를 결정하는 대표적인 항목은 ‘교통의 편리성’이다. 고속도로, 내부순환도로 인접을 통해 이동시간 단축을 기대할 수 있고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의 접근용이성은 집값상승에도 높은 영향을 준다. 유동인구가 활발한 교통시설을 중심으로 상업시설 등 편의시설이 들어서고 생활인프라가 다른 지역에 비해 빠르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최근, 대구산업선의 예비타당성 면제확정에 따라 가장 관심을 받고 있는 ‘대구국가산단 대방노블랜드’가 선착순 분양중이다. 서대구 KTX역 (예정)에서 대구국가산업단지를 연결하는 대구산업선이 22년 착공을 통해 서대구 KTX역(예정)까지 약 20분 만에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1호선 설화명곡, 2호선 계명대역에 대구산업선이 들어설 예정이기 때문에 대구 시내로의 접근성 역시 높아질 전망이다. 그리고, 단지 바로 옆에 위치해있는 국가산단대로를 통해 현풍IC까지 차량으로 5분내에 이동이 가능하며, 중부내륙고속도로를 통해 창원, 구미 등 다른 지역으로 이동 역시 편리하다. 분양관계자는 “서대구 KTX역(예정)에서 대구국가산업단지를 연결하는 대구산업선이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가 확정되면서 대구국가산단 아파트 분양 관련 문의가 늘고 있는 가운데 ‘대구국가산단 대방노블랜드’의 견본주택에도 선착순 분양에 대한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단지 내 조경과 놀이시설에서도 대방건설만의 강점을 확인할 수 있다. 사계절 녹음을 감상할 수 있는 상록수종, 다양한 색채 및 계절감을 연출하는 낙엽수 및 관목이 식재될 예정이며 맞춤식 테마 놀이터를 설계하여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과 참여를 유도하는 놀이터가 조성될 예정이다. ‘대구국가산단 대방노블랜드’는 대구 달성군 구지면 국가산업단지 A2-1블록에 지하 3층~지상 최고 25층, 11개동 규모에, 전용면적 76㎡, 84㎡ 881가구로 구성된다. 또한 단지 내 대형 휘트니스센터, 스크린골프장, 골프연습장 등 고품격 커뮤니티 시설을 자랑한다. 대구국가산단 대방노블랜드 견본주택은 대구 테크노폴리스(현풍읍 중리)에 위치해 있다.이소영 기자 2019.11.15 09:00
경제

안산 와동 학세권아파트 ‘천년가 리더스카이’ 공급

주택시장에서 스테디셀러로 통하는 학세권 아파트는 ‘학교가 걸어서 이용할 수 있을 만큼 가까운 단지’를 말한다. 이 같은 아파트는 안전한 자녀 통학이 가능한 것은 물론 향후 집값상승의 개연성이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번 8·2 대책의 규제 대상에서 제외된 경기도 안산에 학세권 아파트의 분양이 시작돼 눈길을 끈다. ‘안산 천년가 리더스카이’가 그 주인공. 안산 천년가 리더스카이는 지난 4일 모델하우스(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524-1)를 개관하고 현재 분양일정을 진행 중이다. 단지는 전 가구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으로 구성되며총 6개 타입으로 설계됐다. 타입별로 59A㎡ 21가구, 59B㎡ 21가구,59C㎡ 90가구 등으로 구성된다. 이 아파트는 안산시 와동 초고층 아파트로 향후 새로운 랜드마크로 주목받고 있으며 3.3㎡당 900만원 대의착한 분양가를 내세워향후 높은 프리미엄을 기대하는 수요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더군다나 지난 2일 발표된 8.2 대책으로 인해 그간 부동산 시장에서 꾸준히 선호되던 수도권지역이 주요 규제지역으로 포함되며 부동산 시장의 위축이 예상되는 가운데 규제를 피한 비(非)규제지역에 반사이익이 기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안산 천년가 리더스카이는 영화에 등장하던 집처럼 집안 각종 시스템을 스마트폰으로 원격 제어하는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러한 아파트 내 유비쿼터스 시스템은 입주민들의 생활을 한 차원 높이며 미래 혁신 주거 패러다임을 새롭게 정립하고 있다. 유비쿼터스 기술은 아파트 실내 조명, 냉난방, 방재 및 통신 기능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가정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약도 실현해입주민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외에도 집밖에서 수도, 전기, 가스 사용량을 검침할 수 있는 원격검침 시스템이 적용되고 주방에 주방TV폰이 설치돼 요리시 다양한 채널의 TV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일괄소등 스위치, 각 방마다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시스템,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전력낭비를 줄이는 대기전력자동차단 시스템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였다는 게 분양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학부모 입장에서 자녀 교육 환경은 주거시설 선택에서 중시되는 요소다. 안산 천년가 리더스카이는 사업지 바로 앞 덕인초교를 비롯해 1km 이내 초∙중∙고가 위치해 있으며 신안산대학교 및 서울예술대학교와도 인근에 위치해 있다. 아파트 사각지대에 설치돼 24시간 모니터링하는 CCTV와 주차관제 시스템은 안전한 아파트 환경을 제공해 우리 아이 안전에 안심을 더했다. 분양 관계자는 “안산엔 낡은 주택이 많은데다 최근 5~6년 동안 아파트 공급이 부족해 대기수요가 많은 상황”이라며 “분양가가 저렴한 만큼 높은 프리미엄 형성을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계약은 오늘(25일)까지 진행된다. 관련 자세한 사항은 안산 천년가 리더스카이 공식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이정호기자] 2017.08.25 15:26
연예

11.3 부동산규제 관련 없는 블루칩 단지는?

11.3 부동산대책 시행과 잔금대출 규제 적용으로 청약조정대상지역을 주축으로 한 분양시장에 한파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청약조정대상지역에서 제외된 경기지역의 안산, 김포를 비롯한 부산 연지, 김포 등의 지역에서 분양을 예고하고 있어 수요자들의 관심이 모아진다. 작년 말 정부는 부동산시장의 과열현상을 진압하기 위해 전국 37곳을 ‘조정대상지역’으로 정하고 안정화 조치를 취했다. 그 결과 조정지역에 포함되는 경기도 고양, 과천, 남양주, 성남, 하남, 화성(동탄2신도시) 등 6개 지역의 올 봄(2017년 3~6월 기준) 분양물량은 작년(1만4991가구) 동기 대비 78% 감소한 8415가구로 집계됐다(출처 부동산114). 반면, 수도권 내 비조정지역의 경우 3~6월간 2만1637가구가 분양을 예고하며 갈 곳 잃은 수요자를 흡수할 전망이다. 11.3부동산 규제 이후 청약조정대상지역에 가수요가 차단되면서 청약경쟁률 또한 많이 낮아졌다. 작년에 가장 인기가 높았던 지역 중 한 곳인 동탄2신도시의 경우 작년 1월부터 11월 규제 발표 전까지 신규 분양 아파트 1순위 평균 청약경쟁률은 27대 1이었다. 하지만 규제발표 후 작년 12월 분양된 ‘동탄2신도시 금호어울림 레이크 2차’의 1순위 평균경쟁률은 2.03대 1에 불과했으며, 올해 초 공급된 ‘동탄2아이파크’는 2순위에서도 마감에 실패했다. 규제를 받는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과의 집값상승률도 온도차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부산의 경우 해운대구, 동래구, 남구 등 5개 구만 청약조정대상지역으로 포함되면서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타 구의 아파트값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부산 남구 ‘오륙도 SK VIEW’ 전용 84㎡(28층)의 경우 작년 3월 3억4200만원에 거래되던 가격이 10월에는 4억7500만원까지 올랐으나, 규제발표 이후에는 4000만원 떨어진 4억3500만원에 거래됐다. 반면, 규제에서 빗겨간 부산진구 ‘연지 자이 2차’ 전용 100㎡(22층)는 지난 2015년 3월 4억3700만원, 작년 9월 4억8300만원 수준이었지만 규제발표 이후인 12월에는 5억3900만원에 거래됐다. 1년 6개월동안 4600만원 오르던 집이 규제발표 이후 1달만에 5600만원 상승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11.3부동산대책 이후 규제 대상지역에서 제외된 일부 지역들에 높은 반사이익이 따른 풍선효과가 보여지고 있다”며 “내 집 마련을 위한 실수요자들이 적극적으로 신규분양에 임하는 만큼 올 봄 분양시장에서 단순히 비조정지역이라는 이유만으로 인기를 얻기 보다는 대단지 브랜드타운, 역세권, 학세권 등 수요자들이 매력을 느낄 만한 신규분양 단지에 쏠림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청약 조정 비대상 지역에 공급하는 봄성수기 주요 분양 단지는 어디일까? SK건설, 대우건설, 포스코건설이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 953 일대에 선보이는 ‘안산 라프리모’는 오늘(8일) 1순위 청약 접수를 진행한다. 단지는 국내를 대표하는 메이저 건설사 3사가 힘을 합친 컨소시엄으로 지역 내 희소성 높은 브랜드 아파트다. 지하 3층~지상 35층, 21개 동, 전용면적 59~99㎡, 총 2,017가구 규모 대단지로, 이 중 일반분양은 926가구다. 단지는 2018년 개통 예정인 소사-원시선 선부역세권 입지에 위치하며, KTX 예정(2021년)된 지하철 4호선 초지역도 생활권 내에 위치한다. 또한, 소사-원시선이 신안산선 시흥시청 분기선 노선과 일부 겹치면서 구로, 영등포, 여의도 등 서울 접근성도 강화될 전망이다. GS건설은 오는 10일(금) 경기도 평택시 고덕국제신도시에서 '고덕신도시 자연&자이' 견본주택을 연다. 단지는 고덕국제신도시 첫 분양단지로 경기도시공사가 시행하고 GS건설이 시공하는 민간참여 공공분양 방식이다. 규모는 지하1층~지상 최고 36층, 9개 동, 총 755가구며, 전 가구 전용면적 84㎡다. 단지 인근으로 수서고속철도(SRT) 지제역, 지하철 1호선 서정리역, 경부고속도로, 평택화성고속도로가 인접하다. 여기에 주변에는 삼성전자가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산라인을 조성하는 고덕첨단산업단지가 위치한다. 한화건설은 이달 부산 부산진구 연지 1-2구역 재개발 사업지에 짓는 ‘부산 연지 꿈에그린’을 분양한다. 지하 5층~지상 29층, 11개동 1,113가구 대단지로 구성되며 이 중 710가구를 일반 분양 예정이다. 최근 실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전용 59~84㎡ 중소형으로만 구성됐다. 단지는 부산 분양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도심 재개발 아파트로, 우수한 입지여건과 대단지 브랜드 프리미엄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 동래 생활권이면서도 11.3 부동산 대책의 규제를 받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부산어린이대공원, 부산시민공원, 백양산 등이 가깝고 이마트 트레이더스와 롯데마트 등 대형 쇼핑시설은 물론 부산 최대 상권인 서면역 접근성도 좋다.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 570-7, 503-1번지 일대에 조성되는 ‘김포 풍무 데이엔뷰’는 전용 64·74-84㎡ 등 중소형 타입으로만 구성된 총 1,822가구 규모의 단지다. 김포도시철도 풍무역(예정), 인천지하철 1호선 연장선(계획) 등과 인접하고, 서울외곽순환도로, 김포한강로, 올림픽대로 접근성도 뛰어나다. 단지 인근에는 초·중·고등학교가 고루 위치하며, 이마트트레이더스(예정)·홈플러스·김포시청·저류지공원(예정) 등 인프라도 풍부하다. 현재 예정된 조합원 모집가는 3.3㎡당 평균 800만원대부터며, 청약통장이 필요 없고, 전매 제한으로부터도 자유롭다. 이승한기자 2017.03.08 18:28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