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부동산

거래절벽,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 2749억원 증발

최근 가파른 금리 인상과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시행 이후 매물 증가로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이 2700억원 가량이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부동산R114 통계를 보면 8월 말 현재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은 총 1357조4685억3800만원으로, 5월10일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 시행 직전인 4월 말의 1357조7435억200만원에 비해 2749억6400만원이 감소했다. 양도세 중과 유예 기간 내 팔려는 매물은 늘었지만 최근 계속되는 금리 인상과 경기침체 여파로 매수세가 자취를 감추면서 집값 하락이 본격화했기 때문이다. 부동산빅데이터 업체 아실 집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 건수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시행 직전인 5월9일 5만5509건에서 현재 5만9759건으로 7.6% 증가했다. 그러나 서울 아파트 월간 거래량은 지난 5월 1745건에서 6월 1079건, 7월에는 639건에 그치며 역대 최저를 기록 중이다. 이 가운데 새 정부 들어 규제 완화 기대감으로 강세를 보였던 서울 재건축 단지의 시가총액도 4월말 239조5270억600만원에서 8월말에는 239조4983억3000만원으로 286억7600만원이 줄었다. 이에 비해 1기 신도시 시가총액은 4월말 145조6084억5700만원에서 145조7093억6000만원으로 1009억원가량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들어 1기 신도시 아파트값도 하락 전환했지만 신도시 재정비 사업 추진에 대한 기대로 서울 재건축보다는 낙폭이 작기 때문이다. 평촌신도시의 시가총액이 4월 말 대비 849억원이 줄어 감소액이 가장 컸고 분당이 97억원, 중동이 54억원가량 줄었으나 일산의 시가총액은 4월 말 대비 1926억원, 산본은 83억원가량 증가했다. 이런 분위기는 아파트값 상승률로도 나타난다. 부동산R114 조사 기준으로 올해 2분기까지 상승세를 보였던 서울 아파트값은 3분기(이달 9일 기준) 들어 0.23% 하락했으며 특히 대표적인 투자상품인 재건축 단지가 0.38% 떨어져 상대적으로 낙폭이 컸다. 지난 2분기에만 0.56%나 뛰었던 1기 신도시 아파트값은 3분기 들어 0.2% 하락했다. 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2.09.11 10:49
경제

작년 집값 GDP 대비 사상 최고

한국은행은 26일 지난해 말 국내 주택 시세의 합인 주택 시가총액(명목)이 5056조7924억원으로, 한 해 전(4709조6118억원)보다 7.4% 증가했다고 밝혔다. 빠른 속도다. 국내 집값 시가총액은 2000년 처음으로 1000조원을 넘었고, 2006년에 2000조원을 돌파했다. 2010년에 3000조원, 2016년에 4000조원대로 각각 올라섰고, 지난해에 처음으로 5000조원대를 기록했다. 총액 1000조원이 늘어나는 데 3년 걸린 것이다. 통계 집계 이래 집값 시가총액이 전년 대비 줄어든 때는 외환위기를 겪던 1998년 단 한 차례밖에 없었다. 김대중 정부 말기와 노무현 정부 시절에 해당하는 2002∼2007년에는 매년 10% 이상 시가총액이 불어났다. 특히 2002년(1천321조4267억원)에는 한 해 전보다 무려 16.8% 늘어 역대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 시가총액 상승률은 2012년, 2013년에 각각 2.5%, 2.6%씩으로 2%까지 줄었으나 이후 점차 상승했고, 2018년(9.2%)에는 다시 10%에 육박하며 11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경제 성장세와 견줘 주택 시장이 얼마나 활성화했는지 나타내는 지표인 명목 GDP 대비 시가총액 배율은 지난해 2.64배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이 배율은 2005년 처음으로 2배를 넘은 뒤 4차례를 제외하고는 매년 상승했다. 이 배율이 올랐다는 것은 경기보다 주택 시장이 비교적 더 호조를 나타냈다는 뜻이다. 한국의 명목 GDP 성장률은 최근 들어 눈에 띄게 감소하고 있다. 명목 GDP 성장률은 2017년 5.45%에서 2018년 3.40%로 줄었다. 지난해에는 GDP 성장률이 1.1%(1898조2천억→1919조원)로 2018년의 3.4%(1835조7천억→1898조2000억원)보다 크게 낮아졌다. 이 기간 집값 시가총액이 크게 불어난 반면 명목 GDP 성장률은 둔화하면서 배율은 높아져만 갔다. 2017년 2.35배였던 것이 2018년 2.48배로 올랐고, 지난해에는 가장 높은 값인 2.64배까지 상승했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0.07.26 10:52
경제

50개 대장주 아파트값, 11개월 만에 마이너스…'침체기' 신호탄?

━ 대장주 아파트의 시가총액 변동률, 올해 첫 마이너스 전국 아파트 대장주만 모아놓은 ‘국민은행(KB) 선도아파트 50지수’가 11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연초 이후 상승폭이급격이 줄어들더니 3월에는 하락세로 전환했다. 서울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국 주택 가격이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도 커지고 있다. KB선도아파트50지수.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29일 KB부동산에 따르면 3월 KB 선도아파트 50지수가 전월 대비 -0.13%로 하락했다. 이 지수가 마이너스로 전환한 것은 지난해 4월(-0.48%) 이후 11개월 만이다. 선도아파트 50지수는 전국 주요 아파트 가운데 가격이 비싸고 세대수가 많은 단지(시가총액) 50곳을 골라 가격 등락을 지수화한 것이다. 마치 주식 시장에서 국내 우량기업만 뽑아놓은 ‘코스피200’과 비슷하다. 선도아파트 50지수에는 지난해 12월 기준 서울은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대치동 은마, 잠실동 리센츠 등 45곳이 포함됐다. 서울 외에는 경기도 3곳, 부산과 대구 각각 1곳이 들어간다. 황재현 KB국민은행 부동산정보팀장은 “지난해 5월부터 아파트 가격 상승세를 이끌었던 선도 아파트들이 이달 하락세로 돌아섰다”며 “서울을 비롯한 주요지역의 시장 방향 전환의 신호탄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잠실엘스 4개월 사이 호가 3억원 하락 최근 대장주 아파트들의 호가가 눈에 띄게 하락하고 있다. 서울 송파구 잠실엘스 인근 공인중개업체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21억원에 팔렸던 84㎡(전용면적)가 이달 18억원에 팔렸다”며 “최근 인근 트리지움 같은 평형대가 16억원에 급매물이 나와 호가는 더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 재건축 이슈로 많이 올랐던 대치동 은마 아파트에는 급매물이 늘고 있다. 3개월 사이 호가가 2억원가량 떨어진 매물이 나오지만, 거래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게 인근 공인중개업체 운영하는 K 대표의 설명이다. ━ 100 아래로 떨어진 서울 매매가격 전망지수 매매전망지수추이.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KB부동산은 대출 규제가 덜한 경기도 군포를 비롯해 세종시, 대전으로 번지던 풍선효과는 지속하기 어려울 것으로 본다. 주택 매매시장 지표인 매매가격 전망지수가 전국 모든 지역에서 내림세로 꺾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전국 4000여개 중개업소를 조사해 매매 가격이 더 오를지 아니면 내려갈지를 0~200 범위로 지수화했다. 수치가 100을 초과할수록 2~3개월 후 집값이 오른다는 전망이 많다는 의미다. 이달 서울은 올해 들어 처음으로 기준점(100) 아래인 99가 나왔다. 집값이 더 떨어질것이라고 보는 이가 많다는 얘기다. 광역시 중에서는 부산ㆍ대구ㆍ광주 등지가 93으로 가장 낮았다. 지난달 지수가 121까지 치솟았던 대전도 이달 116으로 다소 낮아졌다. 전국 전망치는 지난 2월 110에서 이달 103으로 하락했다. 염지현 기자 yjh@joongang.co.kr 2020.03.29 15:08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