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5건
IT

LGU+, '정보보호백서 2024' 발간…올해 투자 30% 확대

LG유플러스는 지난해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보안 역량 강화 노력을 총망라한 '정보보호백서 2024'를 발간했다고 8일 밝혔다.정보보호백서에서는 CEO 직속 조직인 정보보안센터를 중심으로 구성된 LG유플러스의 보안조직체계를 확인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C레벨인 정보보안센터장(CISO·CPO)이 전사 정보보호를 총괄하며, 산하에 정보보안기술담당과 개인정보보호담당을 둔다.정보보안기술담당은 최신 보안 기술 적용 및 검토, 보안 서비스 운영, 침해사고 예방 및 대응 활동을 주도한다. 개인정보보호담당은 전사의 개인정보와 중요 정보가 적법하고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기준을 수립하고, 관리·감독을 담당한다.백서에는 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투자 내용도 수록됐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정보보호를 위해 약 828억원을 투자했는데, 이는 전년 대비 약 196억원 증가한 수치다. 올해도 전년 대비 30% 이상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정보보호 인력도 293명으로 전년 대비 1.86배 늘린다.보안 체계 고도화 작업으로는 내부 보안포털 전면 재구축, 개인정보 컴플라이언스 점검 시스템 신규 구축, AI 기반 보안 모니터링 기능 강화 등이 소개됐다. 또 정보 주체인 고객의 권리 보장을 강화하기 위한 프라이버시센터 개소, 차세대 사이버보안 전문가 발굴을 위해 통신사 최초로 개최한 해킹 대회, 사내 취약점을 발굴한 사람에게 포상금을 지급하는 버그바운티 제도의 운영 성과 등을 파악할 수 있다.이 외에도 스팸·스미싱·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을 위해 운영 중인 LG유플러스의 고객피해방지 분석시스템 및 서울경찰청과의 공조 체계에 대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다.홍관희 LG유플러스 정보보안센터장(CISO·CPO)은 "앞으로도 기본을 충실히 한다는 자세로 회사의 보안 체계를 더욱 공고히하고, 지속적으로 보안 역량을 강화해 고객이 가장 안심하고 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5.07.08 17:48
IT

스마트워크 덕에 사무실 벗어난 경기도교육청 직원들

SK텔레콤은 경기도교육청 직원들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일할 수 있는 스마트워크 도입에 맞춰 5G 국가망 구축을 완료했다고 1일 밝혔다.경기도교육청은 스마트워크가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5G를 전국 교육행정기관 중 처음으로 도입했다. 노트북을 활용한 모바일 근무 환경으로 출장지 또는 이동하는 차 안에서도 업무를 볼 수 있다.교육청 직원 전원에게 지급된 노트북용 초경량 모뎀의 무선 신호에 한해 행정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사전 등록된 업무용 노트북 신호를 별도로 처리하는 전용 장치를 구축하고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을 적용했다. 일반인이 사용하는 5G 데이터 신호와 완전히 분리했다.화상회의와 청사 내 트래픽이 집중되는 이벤트 공간 등 교육청 특성을 반영해 5G 기지국을 추가 구축하고 최적화를 진행했다.양자암호 기술과 차세대 외부 접속 솔루션(SDP) 등 진화한 보안기술로 해킹을 차단하고 외부에서도 안전하게 업무 수행이 가능한 환경을 보장한다.클라우드 PC 시스템도 제공한다.SK브로드밴드가 국내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독자 개발한 가상 데스크 솔루션 '클라우드 X'로 언제 어디서든 안전하게 동일한 PC 환경에 접속할 수 있다.영상회의 트래픽을 최적화해 안정적인 화면을 제공하고, 5G 국가망 관리시스템과 연동한 통합 모니터링 기능도 지원한다.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3.09.01 17:03
생활/문화

LGU+, 양자컴퓨터 해킹 방어 기술 USB에 담았다

LG유플러스는 양자컴퓨터의 공격을 막을 수 있는 양자내성암호(PQC) 기술을 USB에 담은 'Q-PUF USB' 보안토큰을 개발하고, 이를 디지털뉴딜 사업에 적용했다고 19일 밝혔다. 양자내성암호는 양자컴퓨터로 풀어내는 데 수십억년이 걸리는 복잡한 수학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현재 통용되는 RSA 암호화 방식은 양자컴퓨터에 의해 쉽게 풀릴 수 있어 차세대 보안기술이 필요하다. 양자내성암호는 암호키 교환 및 데이터 암·복호화, 무결성 인증 등 보안의 주요 핵심요소에 적용할 수 있다. 별도의 장비 없이 소프트웨어만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이 덕분에 휴대폰에서 소형 사물인터넷(IoT) 기기까지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양자컴퓨팅 시대에는 암호화 통신을 수행할 대상을 인지하고 데이터가 조작되지 않았는지 검증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LG유플러스는 ICTK 홀딩스와 인증 시 보안위협을 해결하는 양자내성 알고리즘을 업그레이드해 USB 형태의 보안토큰을 개발했다. Q-PUF USB는 ICTK 홀딩스의 하드웨어 보안기술인 물리적 복제 방지기능(PUF)과 양자난수발생기(QRNG)를 결합해 만들었다. QRNG의 양자난수를 이용해 응용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암호키를 생성하고 PUF로 보호하기 때문에 높은 보안성을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Q-PUF USB를 디지털뉴딜 사업에 투입한다. 지난해 정부의 디지털뉴딜 사업 과제를 수행하며 LG이노텍 공장(평택~부산 640㎞ 구간)과 을지대병원(서울 노원구~대전 207㎞ 구간)이 사용하는 전용회선에 양자내성암호화모듈을 장착한 바 있다. 이번에는 Q-PUF USB를 산업·의료현장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해 실제 이용자와 근접한 구간에서도 보안을 강화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01.19 16:38
연예

Visa, ‘컨택리스 카드’ 사용 고객 홈플러스 상품권 증정 프로모션 실시

Visa는 홈플러스 대형마트에서 Visa 컨택리스(비접촉식) 카드로 5만원 이상 결제하는 고객 중 선착순 3,000명을 대상으로 ‘1만원권 홈플러스 상품권 증정’ 프로모션을 실시한다. 이 프로모션 이달 30일부터 8월 26일까지 약 한 달 동안 전국의 142개 홈플러스 대형마트 매장에서 진행되며,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365 편의점, 온라인몰은 해당되지 않는다. Visa 컨택리스 결제는 상품 구매 시 카드를 긁거나 삽입하는 번거로움 없이 카드를 단말기에 살짝 대는 것만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는 기술이다. 또한EMV 기반의 IC칩 보안기술을 적용해 탁월한 보안성과 편의성을 가지고 있다. 패트릭 윤(Patrick Yoon) Visa Korea 사장은 “Visa 컨택리스를 국내에서 최초로 도입한 홈플러스와 함께 프로모션을 실시하게 되어 기쁘다”고 설명했다. 이어 “Visa는 앞으로도 컨택리스 등 차세대 결제기술 상용화 및 관련 인프라 확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덧붙였다. 한편, 홈플러스는 국내 최초이자, 아태지역에서는 두 번째로 지난 2005년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Visa 컨택리스를 도입해 국내 NFC 결제 시장을 선도했다. 전국 홈플러스 대형마트와 익스프레스, 365 편의점 매장에 총 4,706대의 컨택리스 가능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다.온라인 일간스포츠 2018.07.30 17:30
생활/문화

SKT, 맥쿼리와 ADT 캡스 인수

SK텔레콤은 8일 이사회를 개최하고 ‘맥쿼리인프라자산운용’(이하 맥쿼리)과 공동으로 ADT 캡스 지분 100%를 1조2760억원에 인수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7020억원을 투자해 ADT 캡스 지분 55%와 경영권을 확보하며, 맥쿼리는 5740억원을 투자해 지분 45%를 보유한다. 양사가 인수하는 회사는 ADT캡스 주식 100%를 보유한 사이렌 홀딩스 코리아다.양사는 사이렌 홀딩스 코리아의 기업가치를 부채 1조7000억원을 포함해 기업가치 2조9700억원으로 평가했다. 이는 ADT캡스 에비타(법인세, 이자, 감가상각비 차감 전 이익)의 11배 수준이다.회사 측은 "해외 주요 보안기업이 인수·합병될 때 기업가치 평가가 평균적으로 에비타의 11.7배에서 이뤄졌음을 고려하면 2조9700억원은 적정한 수준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양사는 8일 매각 주체인 칼라일과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한 뒤 기업결합 신고 및 승인 등 절차를 거쳐 이르면 3분기 내에 인수를 완료할 계획이다.ADT 캡스는 57만명 가입자를 확보한 국내 2위 물리보안 사업자이다. 출입·시설 관리 등 재화에 대한 물리적 보호가 주 사업 영역이다. 국내 시장의 약 30%를 점유하고 있다. 2017년 매출 7217억원, 영업이익 1435억원의 실적을 달성했다. ADT 캡스를 인수한 SK텔레콤은 구글·아마존 등 글로벌 ICT기업들도 적극 뛰어들고 있는 보안 산업에 진출한다. SK텔레콤은 오래도록 준비해온 영상보안기술·AI·IoT·빅데이터 등 뉴 ICT 기술을 적극 도입할 계획이다. 나아가 보안 산업을 4차 산업혁명 혁신이 본격화되는 텃밭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ADT캡스는 SK텔레콤이 추진하는 뉴 ICT와 결합해 차세대 보안사업자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은 AI·IoT·빅데이터 등 뉴 ICT 기술을 활용한 통합 보안 시스템 구축을 검토 중이다. 기존에는 보안 관리자가 육안으로 영상을 감시하며 상황을 판단했지만, 통합 보안 시스템을 활용하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위급 상황 파악이 가능하다. 국내 물리보안시장은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8.7% 성장해 왔다. 또 2022년까지 연간 7% 이상 성장이 계속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개인과 자산 안전을 위한 출동 서비스 중심 사업모델을 넘어 토탈 케어 서비스 영역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SK텔레콤은 “뉴 ICT 기반 차세대 보안 서비스는 블루오션 시장이자 차세대 성장 동력”이라며 “ADT캡스를 2021년까지 매출 1조원 이상의 회사로 키울 것”이라고 기대했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tbc.co.kr 2018.05.08 11:58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