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직원들이 양자내성암호기술이 적용된 Q-PUF USB를 소개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는 양자컴퓨터의 공격을 막을 수 있는 양자내성암호(PQC) 기술을 USB에 담은 'Q-PUF USB' 보안토큰을 개발하고, 이를 디지털뉴딜 사업에 적용했다고 19일 밝혔다.
양자내성암호는 양자컴퓨터로 풀어내는 데 수십억년이 걸리는 복잡한 수학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현재 통용되는 RSA 암호화 방식은 양자컴퓨터에 의해 쉽게 풀릴 수 있어 차세대 보안기술이 필요하다.
양자내성암호는 암호키 교환 및 데이터 암·복호화, 무결성 인증 등 보안의 주요 핵심요소에 적용할 수 있다. 별도의 장비 없이 소프트웨어만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이 덕분에 휴대폰에서 소형 사물인터넷(IoT) 기기까지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양자컴퓨팅 시대에는 암호화 통신을 수행할 대상을 인지하고 데이터가 조작되지 않았는지 검증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LG유플러스는 ICTK 홀딩스와 인증 시 보안위협을 해결하는 양자내성 알고리즘을 업그레이드해 USB 형태의 보안토큰을 개발했다.
Q-PUF USB는 ICTK 홀딩스의 하드웨어 보안기술인 물리적 복제 방지기능(PUF)과 양자난수발생기(QRNG)를 결합해 만들었다. QRNG의 양자난수를 이용해 응용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암호키를 생성하고 PUF로 보호하기 때문에 높은 보안성을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Q-PUF USB를 디지털뉴딜 사업에 투입한다. 지난해 정부의 디지털뉴딜 사업 과제를 수행하며 LG이노텍 공장(평택~부산 640㎞ 구간)과 을지대병원(서울 노원구~대전 207㎞ 구간)이 사용하는 전용회선에 양자내성암호화모듈을 장착한 바 있다. 이번에는 Q-PUF USB를 산업·의료현장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해 실제 이용자와 근접한 구간에서도 보안을 강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