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자동차

공간 잘 빠진 '경차' 잘 나가네

국내 경차 시장이 다시 들썩이고 있다. 차량용 반도체 대란 속에서도 '나홀로 질주'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유가 급등이 호재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공간 활용성이 훨씬 좋아지며 작은 차의 한계를 극복한 점도 소비자의 선택을 받은 배경으로 꼽힌다. 전망도 밝다. 다른 차종에 비해 빠른 출고가 가능하고 유류세 환급 등의 혜택이 더해져 올해 10만대 판매를 돌파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국산차 10.9% 감소에도 경차는 39.5% 늘어 11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경차 판매량은 1만2698대로 2019년 이후 최대 판매량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로는 39.5% 이상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국산차 전체 내수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10.9% 이상 줄어든 것과 대조적이다. 앞서 경차는 올해 1분기에도 3만189대가 판매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5% 늘었다. 캐스퍼가 1만977대로 가장 많이 팔렸고 레이는 1만382대가 판매됐다. 모닝은 6793대, 스파크는 1925대가 팔렸다. 현재 국내에서 경차로 분류되는 차종은 기아의 레이·모닝, 한국GM 쉐보레의 스파크, 르노코리아의 트위지, 현대차의 캐스퍼 등 모두 5종이다. 지난달 실적까지 포함하면 캐스퍼는 1만4736대, 레이는 1만4681대로 국내 베스트셀링카 10위와 11위에 각각 이름을 올렸다. 특히 올해 경차 누적 판매량은 총 4만2976대로 소형차 판매량(4만2138대)도 제쳤다. 업계 관계자는 "확실히 경차 시장이 다시금 활기를 띠고 있다"며 "올 1분기 현대차 코나와 기아 니로 같은 소형 SUV 판매량도 넘어섰다. 분기 기준으로 경차 판매량이 소형 SUV를 추월한 건 6년 만이다"고 말했다. 신차 효과+고유가 호재 경차는 현대차 코나, 쌍용차 티볼리 등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 인기를 끌기 시작하면서 존재감을 잃어왔다. 2012년 20만2844대 판매를 기록한 이후 8년 연속 판매가 줄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캠핑 등 열풍이 더해지며 2020년 경차 판매량은 2007년 이후 처음으로 10만대 밑으로 떨어졌다. 반전의 조짐은 지난해부터 시작됐다. 현대차가 경차 캐스퍼를 지난해 말 출시하면서다. 캐스퍼는 사전 예약 1만8000대를 기록하며 폭발적 인기를 끌었다. 이는 지난해 생산 가능 물량 1만2000대를 훌쩍 넘긴 수치다. 캐스퍼의 사전계약 물량은 당시 현대차의 역대 내연기관 모델 가운데 가장 많은 수치이기도 했다. 캐스퍼 효과로 레이도 지난해 말부터 꾸준히 3000대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 중이다. 경차이지만 공간 활용성이 훨씬 좋아지며 작은 차의 한계를 극복한 점도 소비자의 선택을 받는 또 하나의 배경이다. 캐스퍼는 운전석과 뒷좌석을 모두 접을 수 있고, 기아는 연초 레이 1인승 모델도 출시했다. 여기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촉발한 국제 유가 상승으로 국내 주유소 휘발유 가격이 리터당 2000원을 넘나들면서 상대적으로 연비가 높은 경차 선호도가 높아졌다. 캐스퍼의 복합연비는 14.3km/ℓ이다. 모닝은 15.7km/ℓ, 스파크는 15km/ℓ, 레이는 13km/ℓ다. 그랜저의 연비가 11.9km/ℓ라는 점을 고려하면 경차의 연비 효율이 20% 이상 높은 셈이다. 경차 혜택을 확대하는 내용의 법률 개정안이 지난해 국회를 통과한 점 역시 시장에 긍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회는 지난해 12월 조세특례제한법 일부 개정안과 지방세특례제한법 일부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통과된 개정안에 따라 경차 유류세 환급(연간 20만원 한도) 혜택은 2023년까지 2년 연장됐다. 경차 취득세 감면 혜택은 2024년까지 75만 원으로 기존보다 25만 원 올랐다. 빠른 출고도 장점…올해 10만대 돌파할 듯 중대형 차종과 달리 빠른 출고 역시 경차의 부활을 앞당기고 있다.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에 인기 신차의 경우 12개월 이상을 대기해야 하지만, 경차는 대부분 3~4개월 안에 인도받을 수 있다. 5월 납기표에 따르면 모닝 신차 대기시간은 1~2개월, 레이와 캐스퍼의 경우 3~4개월이다. 올해 경차 판매량은 3년 만에 10만대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조심스레 나온다. 현대차는 캐스퍼 5만대, 기아는 레이 4만대 판매를 각각 목표로 하고 있다. 두 차종을 합해 9만대에 달하고, 전통적 경차인 기아 모닝(올해 9566대)과 쉐보레 스파크(올해 3109대)의 판매량이 기존 추세만 이어가도 10만대를 돌파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가 19년 만에 선보인 경차 캐스퍼를 필두로 다른 경차들 역시 덩달아 힘을 내는 모습"이라며 "고유가, 빠른 출고 등에 힘입어 올해 경차 판매량은 다시 10만대를 넘어설 전망"이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2.05.12 07:00
자동차

개소세 혜택 곧 끝나는데…신차 안 나오고, 가격 오르고

신차 구매 고객들이 마음을 졸이고 있다. 차량용 반도체 품귀 현상으로 출고 대기가 길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조만간 개별소비세(이하 개소세) 인하 혜택까지 종료되기 때문이다. 개소세 감면 혜택이 사라질 경우 소비자들은 지금보다 약 150만원을 더 지불해야 하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계약하고도 차를 못 받은 이들이 수두룩한 만큼 형평성 차원에서라도 개소세 인하를 연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3일 현대차가 영업 일선에 공유한 고객 인도 일정에 따르면 이달 신차 계약 시 출고 대기 기간은 전달보다 평균 1~2개월 길어졌다. 구체적으로 현대차 ‘아반떼 하이브리드(HEV)’는 지난달 11개월에서 이달 12개월로, ‘그랜저 HEV’는 8개월에서 9개월로 대기 기간이 늘었다. 현대차 ‘아이오닉5’와 ‘포터 EV’는 12개월 이상이 소요된다. 제네시스의 경우 전기차 ‘G80 EV’와 ‘GV60’은 각각 6개월, 12개월을 기다려야 한다. 기아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전기차 ‘EV6’의 경우 출고 기간이 전달 16개월에서 18개월까지 늘었다. ‘쏘렌토 HEV’와 ‘스포티지 HEV’ 역시 모두 18개월가량을 대기해야 한다. 현대·기아차의 출고 대기시간이 길어진 이유는 각종 부품 수급이 원활하지 못해서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이 2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고 최근 중국 내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상하이가 봉쇄되며 ‘와이어링 하니스(전선 뭉치)’ 부품 수급까지 차질이 생겼다. 문제는 신차 출고 적체가 이어지면서 고객들의 피해 역시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는 데 있다. 실제 신차를 기다리는 기간에 연식 변경이 발생하면서 추가 부담금을 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기아는 지난 2일 'K8'의 연식변경 모델을 출시하면서 가격을 63만 원 이상 올렸다. 최하위 트림(세부 모델)을 제외한 모든 트림에 전동식 파워 트렁크(버튼 조작으로 트렁크를 여닫는 기능), 뒷좌석 소음 차단 유리 등이 포함됐다는 이유다. 이로 인해 2022년형 모델을 계약한 고객이 2023년형 모델로 계약을 변경할 경우 추가 부담금을 지불해야 한다. 기아는 생산 시점에 고객에게 2023년 모델로 계약을 변경할지, 취소할지를 물어본 뒤 생산을 한다는 방침이다. 2022년 모델은 생산을 서서히 멈추기 때문이다. 여기에 개소세 3.5% 인하 조치가 오는 6월 말로 종료되는 점 역시 소비자들에는 부담이 되고 있다. 개소세 감면은 경기가 부진한 상황에서 소비 진작을 위해 정부가 꺼내 든 카드다. 2018년 하반기부터 인하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2019년 말까지는 기존 5%에서 30% 낮춘 3.5%가 유지되다가 코로나19가 본격화된 2020년 정부가 인하 폭을 70%까지 늘려 1.5%까지 낮췄다. 그해 하반기에는 30%로 다시 되돌리면서 지금의 3.5% 혜택이 유지되고 있다. 개소세 인하로 자동차를 구매하는 소비자는 최대 143만 원을 덜 내게 된다. 하지만 이는 오는 6월 말까지의 얘기다. 2022년형 K8을 구매한 고객이 2023년형으로 계약을 변경하고 7월 이후에 신차를 인도받을 경우, 개소세(최대 143만 원)를 물어야 한다. 여기에 연식변경에 따른 추가 부담금(최소 63만 원)을 더할 경우, 이 고객은 최대 200만 원의 추가 부담금을 떠안아야 한다. 이에 업계에서는 출고 지연 상황을 고려해 개소세 혜택을 연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수급난으로 인해 생산 지연된 '출고 대란' 문제를 왜 소비자들이 감수해야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며 "개소세 인하를 연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개소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한시적인 개소세 인하가 끝나더라도 또 인하될 수 있다는 사회인식이 형성된다면 정상적인 소비행위가 일어나기 어렵다”며 “우리나라는 자동차의 취득에 대해 부가가치세 10%에 개소세까지 이중 과세되고 있어 세금이 과도하다”고 지적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2.05.04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