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생활/문화

SKT 신설회사는 'SK스퀘어'…"자산 가치 75조원 목표"

SK텔레콤의 신사업을 이끌 투자전문회사의 명칭이 'SK스퀘어'로 결정됐다. SK텔레콤은 인적분할로 새롭게 출범하는 신설투자회사의 사명을 'SK스퀘어'로 확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존속회사의 사명은 'SK텔레콤'을 유지한다. SK텔레콤은 오는 10월 12일 임시주주총회에서 인적분할 계획 수립을 마무리하고, 분할기일인 11월 1일 SK텔레콤(존속회사)과 SK스퀘어(신설회사)로 공식 출범한다. SK스퀘어에는 사업 재편으로 반도체 및 ICT 산업에서 투자와 혁신을 선도하겠다는 자신감과 의지가 담겨 있다. 스퀘어는 '광장' 또는 '제곱'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융합과 혁신으로 사회∙주주와 함께 지속 가능한 미래 가치를 키우겠다는 비전을 보여준다. SK스퀘어는 반도체·ICT 영역에서 적극적 투자 및 M&A(인수·합병)와 포트폴리오 성장, 미래 성장동력 창출로 순자산 가치(NAV)를 2025년에 현재의 3배인 75조원 규모로 키울 계획이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M&A를 추진해 SK하이닉스와의 시너지를 제고한다. 또 정부와 민간이 함께 추진 중인 'K반도체 벨트' 조성에 힘을 쏟는다. 앱마켓(원스토어), 커머스(11번가), 융합 보안(ADT캡스), 모빌리티(티맵모빌리티) 등 다양한 ICT 영역에서도 선제적 투자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의 협력으로 포트폴리오를 강화한다. 양자암호, 디지털 헬스케어, 미래 미디어 콘텐트 등 고성장 미래 혁신기술에 대한 선제 투자도 이어갈 계획이다. 박정호 SK텔레콤 CEO(최고경영자)는 임시주주총회 및 이사회를 거쳐 SK스퀘어 CEO로 선임될 예정이다. 박정호 CEO는 "새롭게 출범하는 SK스퀘어는 글로벌 ICT 투자전문기업으로 도약해 반도체 등 미래 핵심 산업을 진흥하고 생태계 활성화를 선도할 것이다"고 말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08.17 16:10
생활/문화

SKT, 37년만에 통신·투자사로 분할…액면분할로 '국민주' 도약

SK텔레콤이 설립 37년 만에 통신, 투자 두 개 회사로 쪼개진다. SK텔레콤은 10일 이사회를 열고 SK텔레콤(존속회사)과 SKT신설투자(가칭, 신설회사)로의 인적분할을 결의했다. 분할비율은 순자산 장부가액 기준으로 존속회사 0.6073625, 신설회사 0.3926375로 결정했다. 이번 인적분할로 현 SK텔레콤은 인공지능(AI)·디지털 인프라 회사와 반도체∙ICT 혁신기술 투자전문회사로 재탄생한다. 존속회사의 사명은 'SK텔레콤'을 유지할 계획이며, 신설회사의 사명은 임시주주총회 전에 확정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오는 10월 12일 임시주주총회를 거쳐 11월 1일(분할기일)에 존속회사와 신설회사로 새롭게 출범한다. 두 회사는 주식 매매거래정지 기간(10월 26일~11월 26일)이 종료되면, 11월 29일에 변경상장(존속회사) 및 재상장(신설회사)한다. SK텔레콤은 주주들의 투자 접근성과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액면분할도 추진한다. 액면분할을 통해 현재 액면가 500원인 보통주 1주는 액면가 100원인 5주가 된다. SK텔레콤 발행 주식 총수는 현재 7206만143주에서 3억6030만715주로 늘어나며, 이는 인적분할에 따른 약 6대 4 분할비율대로 존속회사와 신설회사로 나눠진다. SK텔레콤은 액면분할을 통해 주주 구성 측면에서 소액주주들의 비중이 많이 증가해 국민주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적분할과 액면분할의 효과는 모두 변경상장 및 재상장일인 11월 29일부터 유가증권시장에 반영된다. SK텔레콤 주식 20주를 보유하고 있다면 액면분할로 인해 5배 늘어난 100주를 갖게 되며, 약 6대 4 분할비율에 따라 존속회사 주식 60주와 신설회사 주식 39주를 각각 받게 된다. 소수점 이하 단주는 11월 29일 종가로 환산해 현금으로 받는다. 신설회사는 우선 글로벌 반도체 시장을 무대로 인수·합병(M&A)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성장 잠재력이 높은 미래형 반도체를 포함한 혁신기술에 투자해 SK하이닉스와 함께 반도체 에코시스템을 구축한다. 또 보안(ADT캡스), 커머스(11번가), 모빌리티(티맵모빌리티) 등 다양한 ICT 영역에서 국내외 투자를 통해 사업 경쟁력을 높이고, 자회사 IPO(기업공개)를 추진해 미래 성장 동력을 마련한다. 존속회사는 유·무선통신 및 홈미디어 분야의 성장세를 이어가며 'AI∙디지털 인프라 컴퍼니'로 거듭난다. AI 기술로 구독, 메타버스 등 신규 서비스를 발굴하고 관련 사업을 확장해나갈 예정이다. 신설회사에는 총 16개 회사를 편제한다. 대상 회사는 SK하이닉스, ADT캡스, 11번가, 티맵모빌리티, 원스토어, 콘텐츠웨이브, 드림어스컴퍼니, SK플래닛 등이다. 존속회사에는 유·무선통신 사업에 시너지를 낼 수 있는 SK브로드밴드, SK텔링크, 피에스앤마케팅, F&U신용정보 등이 위치한다. 존속회사는 신설회사로 배치될 16개 회사를 제외하고, 기존에 투자했던 기업들의 지분을 모두 그대로 보유한다. SK텔레콤은 연내 인적분할을 완료할 계획이다. 박정호 SK텔레콤 대표는 "SK텔레콤과 SKT신설투자회사로의 분할은 더 큰 미래를 여는 'SKT 2.0 시대'의 개막이다"며 "회사의 미래 성장을 통해 대한민국 ICT 생태계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06.10 09:32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