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야구

[KBO 연승 연대기] ① 선동열은 20연승, 전병호는 3241일 무패

지난 4월 6일 SSG 랜더스의 언더핸드 투수 박종훈은 인천 SSG랜더스필드에서 열린 한화 이글스와의 정규시즌 경기에서 7이닝 2피안타(1홈런) 1볼넷 5삼진 1실점으로 역투했다. 시즌 첫 등판에서 승리를 올렸다. 이 승리로 한화전 16연승을 기록했다. 투수는 연승 기록을 통해 자신감을 얻는다. 하지만 당하는 팀 입장에서는 고역이다. 투수의 약점을 분석해도, 타순을 바꿔도 좀체 해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연패를 당하다 보니 심리적으로도 위축된다. 특정팀 상대 최다 연승 기록은 ‘국보 투수’ 선동열이 보유 중이다. 선동열은 롯데 자이언츠 상대로 1998년 8월 11일 사직 원정경기부터 1995년 9월 26일 광주 홈경기까지 무려 20연승을 기록했다. 다음 해 선동열이 일본프로야구로 진출한 뒤에 KBO리그로 복귀하지 않으면서 기록은 중단됐다. 선동열은 선발과 불펜을 오가면서 ‘9선발승+11구원승’을 거뒀다. 26년 동안 깨지지 않는 기록이다. 선동열은 롯데뿐만 아니라 여러 팀을 상대로 연승 기록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그는 청보·태평양 상대로 14연승(1987년 8월 19일~1990년 5월9일), MBC·LG(1986년 7월13일~1990년 7월17일)와 삼성(1998년 6월26일~1991년 6월5일), OB(1989년 10월2일~1994년 5월17일)에 12연승을 거뒀다. 무려 5개 구단에게 10연승 이상을 기록한 것이다. 이 부문 역시 KBO 최다이다. 특정팀 상대로 10연승 이상 기록을 가장 많이 달성한 선수도 선동열이다. 그는 총 5개 팀(롯데, 청보·태평양, MBC·LG, 삼성, OB)을 상대해 10연승 이상을 기록했다. 선동열의 뒤를 이어 김상엽과 이상훈이 2개 팀을 상대로 10연승 이상을 기록했다. 김상엽은 롯데에 13연승(1990년 9월3일~1998월 7월24일), 해태에 11연승(1992년 8월6일~1996년 5월22일)을 거뒀다. 이상훈은 빙그레·한화에 11연승(1993년 5월8일~1997년 9월23일), 태평양/한화에도 11연승(1994년 8월27일~2003년 6월10일)을 기록했다. 특정 투수에게 연패를 가장 많이 당한 팀은 한화와 롯데다. 두 팀은 네 명의 투수에게 10연패 이상을 당했다. 한화는 빙그레 시절을 포함해 SSG 박종훈(16연승·2017년 4월16일~), NC 이재학(12연승·2015년 9월 17일~2020년 6월20일), LG 이상훈(11연승·1993년 5월8일~1997년 9월23일), 두산 유희관(11연승·2013년 5월19일~2017년 7월22일)에게 연승 희생양이 됐다. 롯데는 해태 선동열(20연승), 삼성 배영수(14연승), 김상엽(13연승), 전병호(12연승)에게 당했다. 가장 오랜 시간 동안 연승을 유지한 선수는 삼성 전병호다. 그는 1996년 9월 3일부터 2005년 7월 19일까지 3241일 동안 롯데에 12연승을 하며 패배하지 않았다. 반면에 같은 12연승이지만 해태 조계현의 연승 기간은 가장 짧았다. 그는 1993년 4월 11일부터 1995년 4월 25일까지 744일 동안 LG에 패배하지 않았다. 현재 대구 달서구 B리틀야구단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는 전병호 전 코치는 “처음에는 특정 팀 상대로 연승을 기록하고 있는 것을 의식하지 않는다”며 “그래도 연승이 계속 이어지면 조금은 의식하게 된다. 그러면서 좋은 기억만 쌓이다 보니깐, 자신감이 많이 생기고 상대 팀도 위축되는 게 보인다”라고 말했다. 김영서 인턴기자 2021.05.07 07:54
야구

롯데 “천적 투수가 너무 많아”

&#39천적 투수를 넘어야 강팀이 된다.&#39 롯데가 특정 투수들에 유독 약한 징크스를 여전히 깨뜨리지 못하고 있다. 각 팀마다 한 명씩 천적 투수가 펄펄 날게 만들어주고 있다. 삼성 전병호, LG 박명환, 한화 류현진 등이 그 주인공들이다.  롯데는 5일 삼성 선발 전병호를 맞이해 물방망이로 변했다. 지난 주말 KIA와의 경기에서 화끈한 공격력을 발휘했던 타선은 전병호의 &#39느림의 미학&#39에 빠져 맥없이 물러났다. 6회까지 무실점으로 당하다가 7회 이대호의 홈런 한 방으로 겨우 1점을 뽑았다.  전병호는 롯데 킬러의 대표적 투수다. 1996년 후반부터 약 10년 동안 롯데전 12연승 기록을 쌓은 적이 있다. 롯데는 지난해 전병호를 두 차례 무너뜨리며 징크스를 탈피하는가 싶었지만 올 시즌 또다시 천적 관계로 되돌아갔다. 올 시즌 2번 대결해 각각 6이닝 1실점으로 당했다.  지난해까지 두산에서 뛰다 LG로 FA 이적한 박명환은 올해 롯데전 10연승을 수립했다. 두산 시절인 2003년 6월 14일 사직경기 이후 4년 동안 롯데를 상대로 무패를 이어가고 있다.  5월 13일 잠실 경기에서 10연승을 세운 박명환은 5월 26일 잠실 경기에서 7이닝 1실점으로 11연승을 목전에 뒀으나 불펜 투수가 승리를 날려 연승 숫자를 늘리지 못했다.  지난해 신인왕을 차지했던 한화 류현진도 롯데만 만나면 즐겁다. 류현진은 지난해부터 롯데를 상대로 4연승을 달리고 있다. 최고의 구위를 지닌 류현진은 롯데만 만나면 더욱 힘이 솟아 당분간 연승이 계속될 조짐이다. 롯데에 강한 천적 투수들은 로테이션을 조정해 롯데전에 맞춰 등판하는 일도 생긴다. 연패 고리를 끊지 못하자 나타나는 악순환이다.  한편 롯데는 특정 팀 상대 연승 기록의 희생양으로 등재돼 있다. 선동열 삼성 감독이 선수 시절 롯데를 상대로 무려 20연승(1988년 8월 11일~1995년 9월 26일)을 수립한 것이 특정팀 상대 최다 연승 기록이다. 한용섭 기자 2007.06.06 09:5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