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5건
영화

[더보기] ‘아바타2’ 또 보자! N차 관람 확산… 전편+속편 ‘쌍’ 천만 카운트다운

영화 ‘아바타: 물의 길’(‘아바타2’)의 N차 관람 열풍이 확산하고 있다. N차 관람은 ‘아바타2’가 전편에 이어 13년 만에 또 다시 천만영화에 등극하는데 결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N차 관람’은 관객 한 명이 한편의 영화를 두 번 이상 관람하는 것을 일컫는다. 통상 스토리 상 여운이 크게 남는 영화에서 이뤄진다. ‘아바타2’의 경우는 차이가 있다. 처음 관람에서 놓친 장면을 되짚으며 스토리를 다시 생각해보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상영관에서 컴퓨터그래픽(CG)과 각종 체험요소를 통해 영화의 재미를 만끽하기 위해 선택하는 이들이 많다. 때문에 특별 상영관은 ‘아바타2’의 매출액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영상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2일 기준 ‘아바타2’의 특별 상영관을 통한 매출액은 전체의 60%에 달한다. 전국 스크린 3635개 중 특별 상영관 스크린 수는 932개에 불과하지만 매출 비중은 훨씬 크다. 3D·4D, 아이맥스, 스크린X, 돌비 등 특별 상영관의 관람료가 디지털(2D) 상영관보다 더 비싸기 때문이다. 서울 용산 CGV에서 주말 ‘아바타2’의 2D 상영관 관람료는 1만5000원인 반면 아이맥스 레이저관은 2만7000원에 관람할 수 있다. 일반 상영관보다 2배 가까이 비싼 관람료에도 관객이 기꺼이 지갑을 여는 이유는 특별 상영관이 주는 특별한 경험 때문이다. 이에 SNS 상에는 ‘아바타2’의 N회차 관람 포인트를 공유하는 팬덤층도 생겨났다. 지급되는 3D 안경의 크기나 최고의 명당, 4K(초고화질) 상영이 가능한 영화관 등 정보를 공유하는 식이다. 압도적 그래픽의 ‘아바타2’를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포맷은 4D 상영관이다. 의자 진동, 바람, 물 등 생생한 효과를 통해 행성 판도라를 오감으로 즐길 수 있다. 3D 상영관은 좀 더 ‘등장인물’에 집중할 수 있다. 눈앞으로 튀어나오는 나비족과 툴쿤족에 빠져드는 것이다. 아이맥스(IMAX) 상영관은 시야를 꽉 채우는 웅장함을 느끼고 싶은 관람객이 몰려든다. ‘용아맥’으로 통하는 CGV 용산점 아이맥스관은 가로 31m, 세로 22.4m의 국내 최대 스크린을 자랑한다. 초당 48프레임인 HFR(High Frame Rate)로 촬영된 ‘아바타2’의 부드러운 프레임을 보기 위해 ‘용아맥’을 찾는 이들이 많다. 이 밖에도 정면과 양측까지 3면이 이어지는 스크린X 상영관은 비행 장면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아바타2’에 적용된 4K와 HDR(명암비)를 동시에 경험하고 싶은 관람객은 돌비 시네마 상영관을 찾는다. 돌비 상영관이 위치한 영화관은 전국에 5개 뿐이지만 인기가 많다. 또한 영화 사운드가 관객을 사방에서 감싸 안아 어느 위치에서라도 동일한 상영 품질을 즐길 수 있다. ‘아바타2’의 3D 기술을 제대로 느끼려면 돌비 상영관으로 가라는 말도 나온다. 상영 타입 별 관람 순서도 있다. 3D 멀미로 영화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 맨 먼저 2D로 영화를 보고, 그 다음으로 3D 영화를 보는 식이다. 3D 영화를 보고 나면 돌비 상영관에서 4K와 HDR가 적용된 영상을 비교하거나, 스크린X 상영관에서 확장된 화면을 비교해볼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는 4D 상영관에서 생생한 체험을 하는 것으로 마무리하는 이들이 많다. 한편 ‘아바타2’는 2일 기준 누적 관객 수 788만을 돌파했다. 두터운 팬덤층의 N차 관람을 등에 업고 ‘아바타2’는 빠르면 1월 둘째주에 천만 관객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아바타2’는 개봉 첫 주 주말 관객 수 82만명을 넘어섰고, 크리스마스 이브가 낀 주말에는 관람객 150만명을 모았다. 신년이 낀 주말에도 94만명 이상이 ‘아바타2’를 보기 위해 영화관을 찾았다. 2009년 12월 개봉한 ‘아바타’ 1편은 공개 18일차에 누적 관객 수 600만을 돌파하고 47일차에 천만 관객을 돌파했다. ‘아바타2’가 전작보다 더 빠르게 천만 관객을 달성하며 전작과 속편 모두 ‘쌍 천만 영화’에 오르는 시점을 향한 카운트다운이 시작됐다. 김혜선 기자 hyeseon@edaily.co.kr 2023.01.04 06:30
무비위크

CGV, 4월 4일부터 관람료 1천원 인상 "불가피한 선택"

CGV가 영화 관람료를 인상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코로나19)로 인한 영화산업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CGV가 위기 극복을 위해 4월 4일부터 영화 관람료를 인상한다. 성인 2D 영화 관람료는 1천원이 올라 주중 1만 4천원, 주말 1만 5천원으로 조정된다. IMAX를 비롯한 4DX, ScreenX, SPHEREX, 스타리움 등 기술 특별관은 2천원, 그리고 씨네드쉐프, 템퍼시네마, 골드클래스 등 고급관은 5천원씩 인상된다. 무비머니(영화관람권)도 동일하게 인상된다. 단, 군인·경찰·소방공무원 및 장애인·국가 유공자 우대 요금은 이번 인상에서 제외됐다. CGV 측은 "코로나19 이후 영업시간 제한과 띄어앉기 등의 제약으로 관객이 급감했고, 이로 인해 주요 기대작들이 개봉을 미루며 영화산업 악순환이 심화되고 있다"며 "이로 인해 영화관의 적자는 누적돼 경영 위기가 가중되고, 제작 및 투자·배급 등 영화산업 생태계 전체가 더 이상 버틸 힘이 없어 생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가격을 인상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국내 영화계가 겪는 어려움은 최근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2021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 자료'에 잘 나타난다. 2021년 한국 영화산업은 1조 239억원의 매출로 2년 연속 감소 중이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2조 5,093억원) 대비 약 60% 가까이 줄어들었다. 같은 기간 극장 매출감소율은 이보다 더 높아 2019년(1조 9,140억) 대비 70%가 줄었다. 한국 상업영화의 추정 수익률 역시 -50%에 육박해 영화진흥위원회 조사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개봉하는 영화들의 대부분이 제작비 대비 50% 가량 손실을 보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개봉하는 영화마다 수익을 거두기 힘들어지면서 60여 편이 넘는 상업성 있는 국내 영화 기대작들이 개봉을 확정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해외 블록버스터들 역시 개봉 일정에 차질을 빚고 있다. 개봉이 확정된 영화들마저도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수시로 개봉일을 변경해야 하는 등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 특히, CGV는 임차료 및 관리비 등 고정비 증가, 상영관 취식 금지로 인한 매점 매출 급감, 영업시간 제한, 좌석 띄어앉기, 방역비 부담 증가 등으로 인해 지난 2년간 국내에서만 약 3,668억 원에 달하는 누적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올해도 설 연휴가 있던 2월 이후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상황이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코로나19가 본격화 된 2020년 2월 이후 25개월 연속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적자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영화산업 선순환 구조를 지탱하기 위해 CGV는 지난 여름 영화 ‘모가디슈’, ‘싱크홀’ 등 한국영화의 개봉 촉진 목적으로 약 88억원에 달하는 비용을 배급사 및 제작사에 지원했고, 지금까지 개봉하는 영화들의 마케팅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등 한국영화 생태계 복원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CGV는 이번 영화 관람료 인상을 통해 제작·투자·배급 등으로 분배되는 금액이 늘어나 영화업계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CGV 자체로도 극장 안정화 및 사업 개편 등을 추진하며 생존을 위한 기반 마련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한편 해외에서도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극장업계가 생존을 위해 몸부림 치고 있다. 미국 최대 영화관 체인인 AMC에서는 텐트폴 영화의 경우 1~1.5 달러의 추가 요금을 받는 정책을 3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세계 2위 영화관 체인인 씨네월드는 영국에서 지난해 코로나19로 문을 닫은 후 영업을 재개하면서 평균 영화 관람료를 40% 인상했다. CGV 관계자는 “투자·제작·배급·상영이 한 몸처럼 움직이고 있는 국내 영화산업은 코로나 이후 그 어떤 산업보다 가장 큰 피해를 입어 붕괴 직전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영화산업의 생존을 위해 피치 못하게 관람료 인상을 할 수밖에 없는 지금의 상황을 너그러이 이해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영화를 사랑하는 관객 분들의 부담을 늘리게 되어 매우 송구스러운 마음이지만 좋은 영화들이 지속적으로 극장에 걸리게 하고 이를 통해 전 국민이 위로를 받으실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선우 기자 kim.sunwoo1@joongang.co.kr 2022.03.25 10:10
무비위크

CGV, 4월 2일부터 영화 관람료 1000원 인상

CJ CGV가 1년 넘게 이어진 코로나19 여파로 국내 영화산업이 고사 직전에 처함에 따라 위기 극복을 위해 4월 2일부터 영화 관람료를 1000원 인상한다고 18일 밝혔다. 성인 2D 영화 일반 시간대를 기준으로 영화 관람료는 주중 1만 3000원, 주말 1만 4000천 원으로 조정된다. 3D를 비롯한 IMAX, 4DX, ScreenX 등 기술 특별관 및 스윗박스 가격도 1000 원씩 일괄 인상된다. 장애인이나 국가 유공자에 적용되는 우대 요금은 인상 없이 기존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코로나19로 관객이 급감함에 따라 극장은 물론 투자·배급사, 제작사 등 영화 산업 전반이 고사 위기로 내몰리고 있는 상황에서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2019년 기준으로 한국 영화산업 구조는 전체 매출의 76%가 극장 관람료 매출에서 발생했다. 극장 관람료의 50% 이상이 영화 배급 및 투자·제작사에 배분되는 점을 감안할 때, 지금은 영화산업 전체의 붕괴로 이어질 수도 있는 절박한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달 19일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국내 전체 극장 관객수는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가동을 시작한 2004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매출액도 2005년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과 관객 수를 비교했을 때는 2020년은 전년 대비 73.7% 줄어 6천만 명에도 이르지 못했다. 2021년에도 코로나19 3차 유행 여파가 지속돼 1~2월 누적 관객수는 2019년 대비 87.9% 감소하며 관객 감소폭은 오히려 더 증가했다. 이는 고스란히 한국 영화산업 생태계 전반의 위기로 돌아오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관객이 급감하면서 배급사들은 기대작 개봉을 연기하고, 극장 개봉을 포기한 채 OTT로 직행하는 사례도 늘었다. 제작이 완료된 영화조차 개봉이 미뤄지다 보니 신규 제작 역시 줄줄이 중단되고, 영화가 개봉해야 일감을 얻을 수 있는 영화 홍보 마케팅업계 역시 극심한 불황에 시달리고 있다. 매출이 급감하면서 적자를 이기지 못하고 문을 닫는 영화 관련 업체들이 늘고 있으며 종사자들도 속속 업계를 떠나는 추세다. CGV의 상황은 더욱 난감하다. 지난해 국내 매출 3258억원에 영업손실이 2036억원에 달해 창사 이래 가장 어려운 한 해를 보냈다. CGV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희망퇴직을 실시하고, 일부 직영점의 일시 영업중단, 자율 무급 휴직 등 필사적인 자구노력을 시행하고 있지만 적자 기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관객 감소에도 불구하고 극장이 부담해야 하는 임차료와 관리비 등 고정비를 줄이기 힘들고, 안전한 관람을 위한 방역비 부담도 커졌기 때문이다. 이처럼 적자가 지속되는 상황 속에서도 CGV는 영화 개봉이 이뤄져야 영화산업 전체가 생존할 수 있다는 판단 하에, 재정적 부담을 감수하고 2월과 3월 상영부금 외에 관객당 1천 원의 개봉 지원금을 배급사에 추가로 지급하고 있다. 이를 통해 CGV의 적자는 더욱 쌓이며 경영 부담 또한 커지고 있다. 지금과 같은 어려움이 지속되면 개봉 지원금을 추가로 지급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CGV는 이번 영화 관람료 인상을 통해 늘어나는 재원으로 신작 개봉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금 지급을 당분간 이어가기로 했다. 아울러 내부적으로는 뼈를 깎는 사업 개편 및 비용 절감 노력을 통해 생존 기반 마련에 주력할 방침이다. CGV 관계자는 “극장 및 영화업계 전반의 정상화를 위해 불가피하게 관람료를 인상하게 되어 영화를 즐기는 관객들의 부담이 늘어나게 된 점에 대해서는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적자폭이 더욱 늘어날 경우 극장은 물론 영화산업 전반의 붕괴가 올 수 있다는 절박함 속에 생존을 위한 피치 못할 선택이었음을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tbc.co.kr 2021.03.18 16:42
무비위크

CGV, 26일부터 영화 관람료 인상...좌석 차등제 폐지

CJ CGV가 영화 관람료를 인상한다. CGV는 "지속적인 임대료 상승 등 고정비에 대한 부담 증가와 코로나19로 인한 영화업계 전체의 어려움이 장기화 됨에 따라 26일부터 영화 관람료를 인상한다"고 18일 밝혔다. 극장 임차료 및 관리비, 인건비 등 고정비 부담은 해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고, 올해 불어닥친 코로나19로 인해 매출 급감과 함께 방역비 등 추가 비용 부담도 커지고 있어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주중(월~목) 오후 1시 이후 일반 2D 영화 관람료는 1만 2천 원, 주말(금~일)에는 1만 3천원으로 조정된다. 이코노미, 스탠다드, 프라임으로 세분화되었던 좌석 차등제는 폐지한다. 다만 고객 편의를 고려해 맨 앞좌석인 A열과 B열은 1천 원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시간대는 고객들이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3단계(모닝, 브런치, 일반)로 단순화한다. 특별관 요금도 조정된다. 4DX와 IMAX 관람료는 인상되는 반면, 씨네&리빙룸 가격은 소폭 인하된다. 스크린X와 씨네&포레, 씨네드쉐프, 골드클래스는 요금 변동이 없다. 만 65세 이상 경로자, 장애인, 국가유공자에게 적용되는 우대 요금은 기존 가격을 유지할 방침이다. ‘가치봄’ 행사 또한 동일한 가격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CGV 관계자는 “올해 관객 수와 매출이 대폭 급감한 가운데도 고정비 부담은 오히려 가중돼 도저히 운영하기 힘들 정도로 어려움이 컸다"며 "위기 극복을 위해 지난 2월부터 비상경영체제를 도입하고, 직영점의 30% 일시 영업 중단, 희망 퇴직, 자율 무급 휴직 및 급여 반납 등 필사적인 자구노력을 시행했지만 역부족이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 가격 인상으로 어려움에 처한 국내 영화산업이 조금이나마 활력을 되찾고, 이 위기를 함께 극복함으로써 상생의 선순환 구조가 정착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황자영기자 hwang.jeeyoung@jtbc.co.kr 2020.10.18 10:07
무비위크

CGV, 영화관람료 1000원 인상 "비용 증가 때문"

CJ CGV가 오는 11일부터 영화 관람 가격을 기존 대비 1000원 인상한다.5일 CJ CGV는 "주중(월~목) 오후 4시부터 10시까지 스탠다드 좌석 기준으로 9000원이었던 일반 2D 영화 관람료는 1만원으로 오른다. 주말(금~일) 오전 10시부터 밤 12시 사이에는 1만 원에서 1만 1000원으로 조정된다"고 밝혔다. 3D를 포함한 IMAX, 4DX 등 특별관 가격도 일반 2D 영화 관람료와 마찬가지로 1000원씩 인상된다. 어린이나 청소년, 만 65세 이상 경로자, 장애인이나 국가유공자에게 적용되는 우대요금은 이번 요금 인상에선 제외됐다. 기존과 동일한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다. ‘문화가 있는 날’, ‘장애인 영화 관람 데이’도 기존 가격 그대로 진행할 방침이다.CGV 관계자는 “시간대별, 좌석별 가격 다양화 정책을 통해 관객들의 부담을 최소화하려 했지만 물가 상승에 따른 비용 부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부득이하게 인상하게 되었다” 며, "CGV는 향후 상영관 좌석, 화면, 사운드 투자를 지속함으로써 관객들이 보다 즐겁고 편안하게 영화를 관람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oins.com 2018.04.06 09:24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