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7건
산업

쿠팡 "PB 납품 중소협력사 630곳…고용인원 2만7000명"

쿠팡의 자체 브랜드(PB) 상품을 제조, 납품하는 파트너사 수가 600곳을 넘어섰다.쿠팡은 자체 브랜드 자회사 '씨피엘비'(CPLB)에 PB상품을 납품하는 전국 중소 제조사 파트너가 지난해 말 기준 630곳으로 늘어났다고 6일 밝혔다. 이는 2019년 160곳과 비교해 파트너 수가 4배 늘어난 것이다. CPLB와 함께하는 중소 제조사는 꾸준히 증가, 2021년 380여곳에서 2023년 말 550곳을 돌파했다.올 2월 기준 중소 제조사들의 고용인원은 2만7000명으로 지난해 초(2만3000명) 대비 4000명 늘어나며 업체 수 증가율 대비 최대 인력 증가폭을 나타냈다. 지난해 초 CPLB 신규 파트너 중소 제조사가 약 100곳 늘어날 때 고용인원이 3000명 늘었는데, 최근 1년간은 신규 파트너 업체 수(80곳) 대비 고용인원이 4000명 늘어났기 때문이다. CPLB 중소 제조사들의 고용인력은 지난 2022년 초 대비 올해 64% 증가했다.CPLB 중소 제조사들의 지난해 매출 성장률은 전년 대비 약 20%를 기록했다. PB 중소 제조사들이 가파른 매출 성장세로 고용 창출력이 높아진 셈이다. 소비자가 쿠팡의 PB상품을 구매하면 할수록 중소 제조사의 고용과 매출이 덩달아 늘고, 지역 경제활성화에 기여하는 효과로 이어진다.곰곰·탐사·코멧·비타할로 등 브랜드를 운영하는 CPLB의 파트너사 10곳 중 9곳은 중소 제조사들이다. 중소 제조사들의 판매 상품 품목 수는 수만개이며, 이들은 쿠팡 PB상품 매출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중소제조사들은 경상도, 전라도 등 비서울 지역에 80% 이상이 포진하고 있다.중소 제조사들은 PB상품 생산을 위한 추가 투자를 통해 생산시설 등을 늘리며 고용과 매출이 늘고 있다. 경기 화성에 위치한 식품 제조사 '놀이터컴퍼니' 매출은 2019년 80억원에서 지난해 200억원으로 상승했다. 곰곰 한알육수, 곤약젤리, 비타할로 석류 콜라겐 등 상품들이 인기를 얻으면서다. 쿠팡에서 성장으로 직원 수는 같은 기간 15명에서 35명으로 늘었고, 공장 규모는 5배 키웠다.CPLB 관계자는 “중소 제조사들이 성장할수록 고용이 늘어나고 지역 경제까지 활성화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양질의 제품을 제조하는 다양한 파트너사들을 발굴해 다양한 가성비 제품을 고객들에게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5.04.06 14:31
산업

쿠팡, PB상품 제조 중소협력사 550곳 넘어…매출 20% 증가

쿠팡은 자체 브랜드(PB) 상품을 제조·납품하는 중소 협력사가 550곳을 돌파했다고 7일 밝혔댜. 쿠팡은 자체 브랜드 자회사 '씨피엘비'(CPLB)를 통해 곰곰·탐사·코멧·비타할로 등의 브랜드 상품을 판매하며, 이들 제품의 제조사 가운데 90%가 중소업체이다.쿠팡은 PB상품을 납품하는 중소업체 수가 2019년 말 160여 곳에서 작년 말 550곳으로 세 배 이상 늘었고, 이들 업체의 올해 1월 말 기준 고용 인원은 2만3000명이라고 했다.이들 중소업체 550곳의 작년 매출은 전년 대비 20% 증가했으며, 80% 이상이 서울 외 제주·충청·경상·전라도 등 지방에 위치한다.쿠팡은 또 부산의 등푸른식품이 재고관리 실패 등으로 2015년부터 법정관리를 받았으나 2019년 자사에 PB상품을 납품하면서 매출이 급격히 늘어 2022년 법정관리를 졸업한 사례 등을 소개했다.쿠팡 관계자는 "소비자가 쿠팡의 PB상품을 구매하면 중소 제조사의 고용과 매출이 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효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권오용 기자 bandy@edaily.co.kr 2024.04.07 11:03
산업

고물가에 닫은 지갑, PB 상품에 활짝

대형마트 자체브랜드(PB) 제품이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고물가로 생활비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먹거리부터 생필품까지 저렴한 가격에 구매하려는 소비자가 늘어난 결과다. 이에 업계는 PB상품 가격을 연말까지 동결하거나 상품 구색을 늘리는 등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5일 홈플러스에 따르면 지난 1월 13일부터 9월 18일까지 프리미엄 PB ‘홈플러스시그니처’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다. 2019년 11월 출시한 홈플러스시그니처는 단순 저가에만 초점을 맞추던 초기 PB 시장에서 벗어나 고급화와 전문화를 앞세우며 ‘프리미엄 PB’라는 기준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고객들이 자주 찾는 대표 상품을 연중 저렴하게 판매하는 ‘물가안정365’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는데, 판매 수량 상위 품목에는 홈플러스시그니처 상품인 무라벨맑은샘물, 1A 우유, 물티슈 등이 대거 이름을 올렸다. 롯데마트 역시 현재 1100여 개의 PB 상품을 운영 중인데 올해 1월부터 이달 28일까지 PB 상품 매출을 보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0% 이상 증가했다. 이마트에서도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PB ‘노브랜드’와 ‘피코크’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일반 제조사 상품(NB) 매출 증가율은 1.4%에 그쳤다. 이마트 관계자는 “고물가에 지갑이 얇아진 소비자들이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좋은 PB 상품을 많이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마트가 지난 7월 노브랜드 상품 중 생수 우유 물티슈 등 고객 구매 빈도가 높은 25개 주요 상품들의 가격을 일반 상품과 비교했을 때 노브랜드 상품이 평균 46%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황 속 가성비 제품을 찾는 소비자가 늘자, 업계는 앞다퉈 PB 상품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이마트는 가격 승부수를 띄웠다. 올해 연말까지 노브랜드 1500여 개와 피코크 700여 개 모든 상품의 가격을 동결하기로 했다. 이마트는 가격 관리와 더불어 노브랜드와 피코크의 상품군 확대에도 힘쓰고 있다. MZ세대들이 선호할 만한 ‘단백질바’ 등 트렌디한 상품을 내놓는 것이 대표적이다. 롯데마트 역시 1100여 개 PB 상품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소싱처를 다변화하고 물량을 최적의 시기에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온리프라이스 유지류(올리브유, 해바라기유 등) 상품이 있다. 해외 각지를 돌며 경쟁력 있는 제조사를 발굴해 선제적으로 대량 물량을 계약하며 원가 협상을 진행해 최근 유지류 가격이 급등하는 상황에서도 일반 제조사 상품 대비 단위 가격 기준 30~60%가량 저렴하게 판매 중이다. 홈플러스도 모든 물가가 다 오른 ‘올플레이션’으로 고객들의 알뜰 소비 성향에 따른 PB 상품의 인기가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홈플러스시그니처 경쟁력 강화에 더욱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물가가 급등했지만, 대표 장바구니 식품의 소비는 줄이기 어려운 만큼 소비자 가계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가성비 PB 상품에 대한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며 “특히 PB 경쟁력은 고객 증가와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지속해서 개발할 예정”이라 말했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10.06 07:00
산업

PB상품 제조사에 "판촉비 내놔"… GS리테일 과징금 243억 '철퇴'

편의점 GS25에 김밥·샌드위치 등 신선식품을 수급하는 업체에 판촉비 등을 뜯어내 온 GS리테일이 공정거래위원회에 적발됐다. 매출의 100%를 GS리테일에 의존하고 있다는 업무상 지위를 이용한 '갑질'을 행해온 것이다. 2일 공정위는 GS리테일의 하도급법 위반행위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243억6800만원 부과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GS리테일은 2020년 기준 총 1만3818개의 GS25 편의점을 운영하고 있다. GS25에서 판매되는 신선식품(FF제품)은 GS리테일이 기획·개발해 제품의 규격, 원재료, 제조방법 등을 담은 기술이전서를 수급사업자들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제조를 위탁하고 있다. 이에 수급사업자들은 제공받은 기술이전서에 따라 제품 생산만 담당했는데, 'GS25 FF제품 전용공장'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매출의존도가 사실상 100%에 달했다. 8개 수급업자에게 GS리테일은 2016년 11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신선식품 제조를 위탁하면서 정당한 사유 없이 성과장려금 68억7800만원을 수취했다. 매월 매입액의 0.5% 또는 1%를 가져간 것이다. 통상 성과장려금은 납품업자가 자기 제품 매입을 장려하기 위해 대규모유통업자에게 주는 금전을 말한다. 하지만 GS리테일의 PB상품 제조만 위탁한 수급사업자로부터 성장장려금을 가져갈 이유가 없다는 게 공정위 측 설명이다. 같은 기간 이들에게 판촉비는 126억1200만원을 수취했다. 또 수급사업자들이 판촉비 부담으로 손익이 악화되는 상황임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수급사업자들로부터 수취하는 판촉비를 늘려 자신의 수익을 개선하려 했다. 심지어 목표대비 판촉비 기여도가 낮은 수급사업자들에 대해서는 거래관계를 중단하려고 했다. 2020년 2월부터 2021년 4월 기간 동안은 정보제공료 27억3800만원을 가져갔다. 수급사업자들은 단순히 GS리테일의 발주서에 따라 발주 품목, 규격, 수량대로 생산해 납품하므로 제공받은 정보를 활용할 여지가 거의 없음에도, 매월 최대 4800만원의 정보제공료를 내야 했다. 특히 공정위는 GS리테일이 2019년 10월 조사가 시작되자, 성과장려금 수취를 중단하고 대신 정보제공료를 도입(2020년 2월)한 것으로 파악했다. 정보제공료 수준도 성과장려금과 동일하게 매입액의 1%가량을 수취해, 사실상 성과장려금 대신 동일한 금액을 수취할 목적으로 명목만 변경해 위반행위를 지속해 왔다고 봤다. 공정위 관계자는 "하도급법이 적용되는 PB상품 분야에서 대형유통업체들이 성과장려금, 판촉비 등을 부당하게 수취해온 거래 관행을 개선해 수급사업자들이 납품대금을 제값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2.08.02 12:00
경제

슬금슬금 가격 오르는 빅3 대형마트 PB상품

대형마트 3사(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의 자체브랜드(PB) 상품 10개 중 3개의 가격이 1년 내 인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여성소비자연합은 올해 6월 30일부터 7월 15일까지 대형마트 3사의 PB 제품 가격을 조사해 지난해와 비교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PB상품 2176개 중 가격 비교가 가능한 1603개를 조사한 결과 514개(32.1%)의 가격이 인상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르면 3사 중 인상된 상품 수가 가장 많은 곳은 이마트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564개 상품 중 283개 상품(50.2%)의 가격이 인상됐다. '노브랜드' 160개 상품 중 104개, '피코크' 365개 중 179개의 가격이 올랐다. 이어 홈플러스는 540개 상품 중 193개(35.7%)의 가격을 올렸다. '시그니처' 412개 중 141개, '심플러스' 95개 중 44개, '좋은상품' 33개 중 8개로 집계됐다. 롯데마트는 '요리하다' 243개 중 23개, '온리프라이스' 203개 중 11개, '초이스엘' 53개 중 5개로 총 499개 상품 중 38개 상품(7.6%) 가격이 올랐다. 인상률은 제각각이다. 이마트 식품 PB인 피코크의 가격 인상률은 0.4∼126.6%였고, 노브랜드 중 비식품 상품의 평균 인상률은 7.8%였다. 롯데마트 식품 PB 요리하다는 가격이 0.13∼76.4% 올랐다. 홈플러스 시그니처의 식품류 인상폭은 1∼83.7%로 평균 17.4%, 식품외 상품은 평균 22.7% 가격이 인상됐다. 반면 가격 인하된 상품은 1603개 중 10%(160개)에 불과했다. 가격이 오르지 않고 동일한 상품은 929개(58%)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식품류 PB 상품의 가격 인상 비율은 지난 2019년 13.1%에서 올해 31.5%로 나타나 꾸준히 가격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 올해는 식품 외 PB 상품의 인상 비율 또한 크게 늘었다. 2019년 8.4%에 불과했던 식품 외 상품의 인상 비율은 올해 33.6%로 나타나며 식품류 상품의 인상 비율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여성소비자연합 측은 “대형마트 PB 상품 중 식품류의 가격 인상은 해마다 지속해서 두드러지고 있지만 용량, 브랜드명, 제조사 등을 바꿔 비교가 어렵다”며 “(이 때문에) 소비자들이 이전 상품과 가격을 비교하기 어려워 깜깜이 인상이 될 여지가 크다”라고 지적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11.12 10:29
경제

CU, PB상품에 '포장재 재활용 등급' 표기 추진

편의점 CU가 친환경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업계 최초로 모든 PB상품에 재활용 용이성의 정보를 담은 등급 표기를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지금까지 폐기물 처리나 재활용은 소비자 관점에서 진행됐다면 이젠 CU가 제조 및 유통을 맡고 있는 PB상품에 대해서는 생산 시점부터 폐기물 처리와 관련된 정보제공 의무를 적극 이행해 환경보호를 돕겠다는 취지다. 이는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와 연계된 조치로서 환경부는 지난 2019년 ‘포장재 재질∙구조개선 등에 관한 기준’을 개정해 포장재에 대한 등급 평가 기준(재활용 최우수, 우수, 보통, 어려움)을 마련한 바 있다. CU는 이를 위해 이미 지난해 자체 QC팀을 중심으로 외부 전문기관과 연계해 판매 중인 모든 PB상품에 대해 정부 기준에 따라 포장재 등급 평가를 완료했다. 그 결과, CU의 전체 PB상품 중 86%의 상품이 재활용 우수 등급을 받았고 9%가 보통, 나머지 약 5%만 재활용 어려움 등급을 받았다. 현행 재활용 보통 이상 등급의 포장재로 만들어진 상품의 경우 등급 표기 의무사항이 아니지만 CU는 소비자들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재활용 활성화를 위해 전 PB상품에 등급 표기를 진행하기로 했다. 일부 재활용 어려움 등급의 상품에 대해서는 제조사와 협의해 포장 재질 등의 변경을 추진하고 제품 특성상 포장 변경이 불가한 경우에는 해당 상품들의 단계적인 퇴출까지 검토할 방침이다. CU는 1분기 내 등급 표시를 진행하고 한국환경공단,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과 공조해 올해 안에 전체 PB상품의 등급 표시를 100% 적용할 계획이다. CU 관계자는 “재활용 등급 표시는 생산 및 유통사, 소비자들이 함께 하는 자원절약, 환경보호 활동의 시발점”이라며 “CU는 재활용 등급 표시는 물론 앞으로 포장재의 재활용 용이성을 최우선으로 PB상품 개발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01.14 09:48
연예

롯데하이마트, PB '하이메이드 전기레인지' 출시…쿠쿠와 공동개발

롯데하이마트는 쿠쿠전자와 공동개발한 '하이메이드' 전기레인지(CIHR-DL306HFB)를 출시한다고 밝혔다.열효율이 높고 안전한 인덕션 방식 화구(2구)와 조리 용기에 제약이 없어 편리한 하이라이트 방식 화구(1구)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제품이다. 특히 두 개의 인덕션을 합쳐서 하나의 인덕션으로 쓸 수 있는 '플렉스존' 기능을 더해 조리용기 모양과 크기의 제약 없이 쓸 수 있다.안전성도 강화했다. 요리중일 때 전기레인지가 작동중인 것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알려준다. 제품 상판은 프랑스 명품 글라스 유로케라 글라스를 사용했고, 스크래치나 지문이 덜 찍히도록 상판에 패턴을 적용했다.제품은 빌트인과 프리스탠딩 모델 두 가지다. 가격은 89만9000원으로 프리미엄 전기레인지에 포함되는 '플렉스존' 기능을 갖춘 시중 타브랜드 제품보다 최대 25% 저렴하다. 롯데하이마트는 출시를 기념해 오는 23일까지 할인 판매한다.류진아 롯데하이마트 PB개발팀장은 “전기레인지가 안전하고 편리한 주방가전으로 자리잡으면서 기술력을 갖춘 쿠쿠전자와 손잡고 PB상품으로 선보인다”면서 “앞으로도 캐리어, 위니아대우 등 국내 제조사들과 공동개발해 소비자에게 가성비가 우수하면서도 뛰어난 품질을 갖춘 PB상품을 선보이겠다”고 말했다.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19.09.20 09:04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