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레인보우 리포트] '나 믿을거야 최주환 믿을거야' SSG의 투자 결과는?
SSG 랜더스 2루수 최주환(34)은 부진에 빠져 있다. 올 시즌 규정타석의 50%를 채운 타자 104명 중에서 그는 타율 104위(0.161) 출루율 103위(0.233) 장타율 94위(0.266) OPS(출루율+장타율) 102위(0.498)에 그치고 있다. SSG는 최주환을 왜 영입했을까. 시간을 2020시즌 종료 후로 돌려보자. 당시 자유계약선수(FA) 최주환은 wOBA(가중 출루율·스탯티즈 기준) 0.372를 기록하고 있었다. 가중출루율은 안타와 장타, 볼넷, 사구, 아웃 등 타석의 모든 결과를 반영해 만든 기록이다. 각 타석의 결과들이 평균 몇 점을 만들어냈는지를 계산해 가중치를 줘 계산한 값이다. 최주환의 wOBA는 리그 타자 평균값(0.330)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었다. 그의 포지션이 수비 부담이 큰 편인 2루수라는 걸 고려하면 가치는 더 컸다. 2020년 KBO리그의 2루수 평균 성적은 OPS 0.717 wOBA 0.330 wRC+(조정 득점 생산력) 90.8이었다. 지명타자를 포함해 10개 포지션 중 8위에 불과했다. 지명타자로 기용해도 평균 이상의 공격력을 보여 주는 최주환이 2루를 지켜준다면 천군만마가 될 수 있다. FA 직전 시즌만 잘한 이른바 'FA로이드(FA+스테로이드·선수들이 FA 계약 직전 잘해서 높은 몸값을 받아내는 현상)'는 아니었을까. 통계적으로 보면 최주환은 믿을 수 있는 선수였다. 최주환 기록의 ‘신뢰성’을 통계적 방법의 하나인 단순이동평균(Simple Moving Average)을 사용해 살펴봤다. 이동평균이란 특정 표본 수를 기준으로 구간을 옮겨 가며 평균을 구하는 방법을 말한다. 조사를 위한 기준 표본 수는 350타석으로 잡았다. 350타석은 야구 리서치·콘텐츠 제작 커뮤니티 '야구공작소'가 2009년부터 2017년까지의 KBO리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 선수들의 OPS가 안정성을 갖는다고 판단하는 최소 기준(샘플 사이즈)이다. 다시 말해 350타석 이상에서 나온 OPS가 선수의 ‘기량’이라고 여겨 조사했다. 위 그래프에서 X축의 타석수는 구간 중 마지막으로 포함된 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1~350타석은 350, 2~351타석은 351을 의미한다. 최주환은 커리어 내내 매우 안정적인 OPS 변화 추세를 보였다. 타석을 거듭할수록 꾸준히 발전했다. 1군에서 1500타석 정도를 소화한 시점에 OPS 0.8을 넘어갔다. OPS 0.8은 3할 타율과 마찬가지로 준수한 타자를 의미하는 기준이다. 약 2000타석을 소화했을 때 기량이 만개했다. OPS가 0.85를 넘어갔다. 그는 한 시즌 잘한 후 이듬해 부진한 선수가 아니었다. 그렇기에 최주환은 '변수'가 아닌 '상수'로 분류하는 데 손색이 없었다. 다른 정상급 2루수들과도 비교해봤다. 최주환은 현역 통산 타율 5위(0.322) 박민우(NC 다이노스)와 비교했을 때 OPS 고점과 최근 경향에서 모두 뒤처졌다. 대신 최주환에게는 다른 2루수에게서 찾기 힘든 홈런 생산능력이 있었다. 2020년까지 두산 베어스에서 뛴 최주환은 국내에서 가장 넓은 잠실구장을 홈으로 썼다. 그런데도 단일 시즌 26홈런(2018년)과 2루수 역대 2위에 해당하는 통산 순장타율(0.154)을 기록했다. 역시 역대급 2루수로 꼽히는 안치홍(롯데 자이언츠)과 비교해도 부족하지 않았다. 최주환은 충분히 살만한 선수였고, 믿을 만한 타자였다. 실제로 영입 효과는 나쁘지 않았다. 모기업과 함께 이름을 바꾼 SSG는 지난해 2루수 wOBA 4위(0.334)를 기록했다. ‘최주환 효과’였다. 타자 친화적인 SSG 랜더스필드에서 최주환은 커리어 두 번째로 많은 18홈런을 기록했다. 시즌 중 왼쪽 햄스트링 부상을 당한 데다 회복도 마치지 않고 도쿄 올림픽을 치른 것까지 고려하면 그런대로 성공적인 시즌이었다. 2022시즌에는 더 좋은 성적을 기대했다. 그러나 올 시즌 최주환은 데뷔 후 최악의 성적을 냈다. 아무리 부진해도 SSG는 최주환을 계속 기용했다. 커리어가 워낙 뛰어나기에 언젠가 제 모습을 되찾을 거라 생각했다. 그러나 SSG와 최주환은 시간이 가도 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지난 2011년, 류중일 당시 삼성 라이온즈 감독은 외국인 타자 라이언 가코의 부진을 두고 “나 믿을 거야. 가코 믿을 거야”라고 말해 화제가 됐다. 그러나 가코는 부진 끝에 한국 무대를 떠났다. '나믿가믿'으로 압축된 류중일 감독의 말은 어리석음을 의미했다. SSG의 믿음 역시 류 전 감독의 믿음처럼 독이 되고 있다. 데이터를 보면 SSG는 “나 믿을 거야. 최주환 믿을 거야”라고 더 외쳐도 된다. 최주환을 살만했던 이유는 그를 ‘아직’ 믿어야 할 이유로도 치환된다. 그의 부진은 단 150타석의 결과다. 선수를 판단하기에 너무나 작은 숫자다. OPS를 안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인 350타석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스탯은 편견에서 벗어나 선수의 진짜 가치를 보게 해준다. 하지만 샘플 사이즈가 작다면 그 가치가 선명히 보이지 않는다. 최주환의 선명한 가치를 보기 위해서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 순재범(칼럼니스트) 경상국립대학교 정보통계학과(휴학중). 야구공작소 칼럼니스트
2022.06.30 0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