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산업

모빌리티그룹 꿈 펼치는 코오롱 이규호, 후계자 입증할까

재계 순위가 어느덧 42위까지 밀린 코오롱그룹이 후계자를 앞세워 새로운 도전을 준비하고 있다. 오너가 4세 이규호 대표는 코오롱그룹 아래 모빌리티그룹을 신설하며 수장을 맡았다. 미래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모빌리티’를 내세워 코오롱그룹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코오롱 4세 후계자 주도 모빌리티그룹 건설과 수입차 판매 등을 영위하고 있는 코오롱글로벌은 코오롱그룹의 핵심 계열사다. 올해 3분기에 지주사 코오롱은 매출 1조3756억, 영업이익 828억원을 기록했다. 이중 코오롱글로벌의 매출이 1조1984억원, 영업이익이 700억원으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코오롱글로벌의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3조5158억원에 달한다. 이런 코오롱글로벌이 내년 1월 새로운 출발점에 선다. 인적분할을 통해 건설과 자동차부문을 분리해 미래 성장에 속도를 낸다. 자동차부문 신설회사를 코오롱모빌리티그룹으로 정했고, 이규호 대표에게 조타수 역할을 맡겼다. 이에 맞춰 이규호는 부사장에서 사장으로 승진했다. 그는 함께 승진한 전철원 사장과 각자 대표이사 체제로 코오롱모빌리티그룹을 이끌 예정이다. 이웅렬 코오롱 명예회장의 장남인 이규호 대표는 1984년생으로, 지난 2015년 임원으로 승진하며 100대 기업 최연소 임원으로 이름을 올린 바 있다. 2012년 코오롱인더스트리에 입사한 이후 10년 만에 사장으로 고속 승진한 셈이다. 사실 이 대표는 임원이 된 이후 패션 분야 등에서 성과가 좋지 못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패션부문을 진두지휘했던 2019년과 2020년에 나쁜 성적표를 받았다. 2019년 연 매출이 1조원 밑으로 떨어졌고, 2020년에는 급기야 영업손실을 기록하는 등 리더십에 의문부호가 달렸다. 성과가 절실했던 이 대표는 코오롱글로벌에서 이를 만회하며 후계자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코오롱글로벌 수입차 판매 부문은 지난해 처음으로 2조원을 돌파하는 등 순항하고 있다. 올해도 BMW 등 수입차 판매 호조로 좋은 실적이 예고되고 있다. 이 대표는 여세를 몰아 모빌리티그룹으로 판을 키워 그룹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는다는 계산이다. 주도적으로 나서서 모빌리티그룹을 이끌어 그룹의 위상을 높이고, 입지도 굳힌다는 계획이다. 모빌리티그룹이 성공적으로 안착한다면 이웅열 명예회장이 실적으로 평가한다는 눈높이에도 채울 수 있을 전망이다. 이 대표는 코오롱 지분이 전무하기 때문에 49.74%의 지분을 보유한 이웅열 명예회장에서 증여를 받아야 승계가 가능하다. 모빌리티그룹을 표방하면서 수입차 유통 사업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BMW를 중심으로 아우디, 볼보, 지프, 롤스로이스 등 수입차 부문을 통합하는 것인데, 유통 판매 중심의 사업구조를 개편 확장해 종합 모빌리티 사업자로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2년간 코오롱글로벌 자동차부문을 맡은 이 대표는 “과감한 체질 개선으로 1등 DNA를 심는다”며 남다른 의지를 드러내 왔다. 이 대표는 코오롱모빌리티그룹의 미래성장전략 수립과 신사업 발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구축, 재무역량 강화에 집중한다. 이 대표는 모빌리티그룹 출범을 선언하면서 2025년까지 매출 3조6000억원과 영업이익 1000억원 달성을 내걸었다. 지난해 매출 2조197억원과 비교하면 1조5000억원 이상을 끌어올려야 한다. 수치상으로 75% 증대돼야 가능한 수치다. 매출 확대를 위해서는 라인업 강화와 신사업 등이 필수다. 럭셔리 세단과 EV, SUV 브랜드 강화를 도모할 것으로 보인다. 코오롱 관계자는 “코오롱글로벌 자동차부문은 2012년부터 올해까지 연평균 12% 이상 성장하는 실적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캐시카우 역할을 해왔다”며 “아직 새로운 신사업의 명확한 방향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아무래도 오너가 직접 지휘하는 사업이라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모빌리티 사업은 그룹 내 호텔·골프 장 등 다양한 레저 비즈니스와 연계한 상품·서비스를 개발하고, 차별화된 고객 멤버십 프로그램을 도입해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신사업과 관련해 중고차 영역도 확대된다. 2025년 연간 중고차 판매를 6000대로 잡았다. 신차는 2022년 연간 2만7000대에서 4만대를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신규 비즈니스 모델로 연간 4000억원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국내에서 코오롱글로벌과 더클래스효성을 수입차 판매 부문 ‘빅2’로 꼽는다. 두 회사는 엎치락뒤치락했지만 코오롱글로벌이 지난해부터 승기를 잡은 모양새다. 더클래스효성의 매출 규모는 2021년 기준으로 1조3848억원이다. 하지만 영업이익 부문에서는 더클래스효성이 594억원으로 546억원의 코오롱글로벌을 근소하게 앞서고 있다. 더클래스효성은 벤츠를 필두로 토요타, 렉서스, 페라리, 마세라티, 재규어, 랜드로버 브랜드를 판매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코오롱의 경우 오너가가 직접 모빌리티 사업을 진두지휘하고 있기 때문에 좀 더 공격적으로 드라이브를 걸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10년 만에 결별, 건설 부문도 2025년 3.8조 겨냥 존속법인인 코오롱글로벌도 이번 분할을 투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계기로 보고 있다. 올해 9월 기준으로 건설 부문에서 2조226억원, 인프라 부문 7182억원으로 누적 수주액 2조7408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동기의 2조4000억원을 상회하는 수치다. 합병 이후 10년 만에 자동차부문과 결별하지만, 코오롱글로벌 존속법인도 2025년 연간 매출 3조8000억원, 영업이익 2900억원 목표를 겨냥하고 있다. 신규수주 4조원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재 코오롱글로벌은 친환경에너지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건설 부문은 OSC(탈 현장화)를 기반으로 공동시행, 자체사업 등의 고수익성 개발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 국내 최고 수준의 육·해상풍력 사업을 확대하고, 풍력 기반의 전력·수소 에너지 생산 등을 통해 친환경 기업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어나간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코오롱글로벌 관계자는 “2012년 건설과 상사, 자동차 부문을 합병, 안정적 성장을 이뤄왔다. 그러나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환경을 고려해 분할을 결정했고, 분할 이후에도 효율성 극대화와 맞춤형 성장 전략 등으로 지속 성장이 가능한 사업구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2.11.25 07:00
경제

8월 수입차판매 '반도체 수급 영향' 증가세 둔화 '벤츠 1위'

8월 국내 수입차 판매가 전 세계적인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의 영향으로 7월보다 감소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는 3일 8월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 대수가 2만2116대로 작년 동월(2만1894대) 대비 1.0% 증가했지만 7월(2만4389대)보다는 9.3% 감소했다고 밝혔다. 1∼8월 누적 대수는 19만4262대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4.3% 증가했다. 브랜드별 등록 대수는 메르세데스-벤츠가 6734대로 올해 들어 8개월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이어 BMW가 5214대로 2위였고, 아우디(1341대), 폭스바겐(1305대), 볼보(1152대), 미니(969대), 쉐보레(946대), 렉서스(933대), 포르쉐(657대), 혼다(518대), 토요타(467대) 등이 뒤를 이었다. 벤츠는 작년보다 11.7% 증가한 반면 BMW와 아우디는 각각 28.1%와 33.7% 감소했다. 한국수입차협회 집계에서 제외된 테슬라는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2431대가 팔려 전체 수입차 브랜드 중 판매량 3위를 차지했다. 지난달 수입차 베스트셀링 모델은 벤츠 E클래스로 3132대가 등록됐다. 이어서 폭스바겐 티구안(1014대), BMW 5시리즈(960대), 벤츠 S클래스(831대) 등의 순이었다. 국가별로는 유럽 차가 1만8117대로 전체 수입차 중 81.9%를 차지했고, 미국차 2081대(9.4%), 일본차 1918대(8.7%)였다. 특히 일본차와 미국차가 작년보다 각각 35.7%와 34.8% 늘면서 판매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연료별로는 가솔린이 1만1359대로 51.4%를 차지했고, 하이브리드 6353대(28.7%), 디젤 2950대(13.3%), 플러그인하이브리드 1076대(4.9%), 전기차 378대(1.7%) 순으로 많았다. 하이브리드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가 작년보다 각각 209.6%와 83.9% 증가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9.03 15:40
생활/문화

'명문가 혼맥' 그들만의 결혼조건은

이명박 정부의 초대 총리로 지명된 한승수 총리 후보자는 ‘화려한’ 혼맥으로도 눈길을 모으고 있다. 우선 부인인 홍소자씨의 어머니 육인순씨는 박정희 전 대통령 부인 육영수 여사의 큰언니다. 아들 상준씨의 아내 이희연씨는 아버지가 이화영 유니드 회장이고, 할아버지는 이희림 동양제철화학 명예회장(2007년 작고)이다. 딸 상은씨는 동일고무벨트 창업자인 김도근씨(2005년 작고)의 손자인 김세연씨와 결혼했다. 김씨의 작은 아버지는 한국맥도널드와 수입차판매사인 렉서스 동일 모터스의 김형수 회장이다. 이처럼 소위 ‘잘 나가는’ 집안은 ‘잘 나가는’ 집안과 사돈 관계를 맺는 것이 당연한 일일까. 또 그들은 과연 능력과 성격보다는 돈과 지위만을 보고 결혼을 결정하는 것일까. 이른바 ‘명문가’들의 결혼에 얽힌 오해와 진실에 대해 알아봤다. ■‘현정 트리오’가 말하는 현실2006년 8월 노현정 전 KBS 아나운서가 현대가의 정대선씨와 결혼을 하면서 세간에선 ‘현정 트리오’라는 말이 유행했다. 2001년 다음 커뮤니케이션 이재웅 대표와 결혼한 황현정 전 아나운서와 1995년 신세계 정용진 부사장과 백년가약을 맺었던 연예인 고현정을 함께 아울러 지칭한 것이다. ‘현정 트리오’의 탄생으로 남자는 돈, 여자는 외모가 중요하다는 생각이 지배하기 시작했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큰사위 이상주씨는 삼성화재 법무담당 상무보, 둘째 사위 최의근씨는 서울대병원 내과 전문의, 셋째 사위 조현범씨는 한국타이어 부사장이다. 노태우 전 대통령의 딸 노소영씨의 남편은 최태원 SK회장이다. 이외에도 정계·재계·법조계 등의 사돈 관계는 꽤 많다. ■명성과 함께 능력도 중요최근 결혼정보회사 웨디안(대표 손숙, wedian.co.kr)이 지난 1년 동안 프레스티지(VIP) 회원들 중 최상위층으로 꼽히는 258명에게 ‘명문가 결혼’에 대한 생각을 주제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결혼 시 가장 중요시하는 조건은 무엇인가”를 묻자 41%가 ‘사회적 명성’을 꼽았고, 이어 ‘능력’ 35%, ‘외모’ 13%, ‘재산’ 11%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재산이나 외모보다는 명성과 능력을 중요시한다는 답변이 많다는 게 눈에 띈다. “자신이 상류층에 속해서 결혼이 쉽다고 생각하나”라는 질문에는 76%의 응답자가 “오히려 더 힘들다”며 나름대로의 고충을 털어놓았다. “결혼 시 부모님의 의견 존중도”를 묻는 질문에는 81%에 해당하는 대다수의 응답자가 “크게 작용한다”고 응답했다. ■명문가 결혼의 오해와 진실‘명문가는 명문가끼리 결혼한다’ ‘명문가의 결혼에는 사랑은 없고 조건만 있다’라는 속설은 실제로 어려서부터 비슷한 환경의 사람들끼리 어울리기 때문에 비슷한 조건의 사람들과 결혼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맞는 말이다. 하지만 일반인들도 자신과 비슷한 조건의 배우자를 고르는 경향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전적으로 옳다고 할 수는 없다. 중견그룹 임원진의 장녀인 이지연(가명·29)씨는 부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유학 시절 사귀었던 ‘평범한’ 남자와 결혼을 강행했으나 끝내 이혼의 아픔을 맛봤다. 이씨는 “살아온 환경과 가치관이 달라도 맞춰나갈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어린 나이에 결혼해서인지 감당하기 힘들었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특히 ‘돈이 많거나 외모만 뛰어나면 된다’라는 속설은 설문 결과에서 나타났듯 외모와 재산보다는 명성과 능력이 중요한 조건으로 꼽힌다는 점에서 틀린 말이라 할 수 있다. ‘상류층은 결혼 상대자가 넘쳐난다’라는 것도 잘못 알려진 속설 중 하나. 오히려 풍요 속의 빈곤이라고 한다. 애당초 신분 차이 등으로 인해 접근을 두려워하고, 또 소개를 받아도 그 뒤에 흘러나올 소문 때문에 만남 자체가 쉽지가 않다. 최미숙 웨디안 프레스티지 팀장은 “상류층 사람들은 남들에게 알리기 싫어하는 점 때문에 오히려 결혼정보회사를 더 많이 이용한다”고 말했다. ●명문가 결혼에 관한 4가지 오해와 진실명문가는 명문가끼리 결혼한다? →일반인들도 비슷한 조건의 배우자를 고른다명문가의 결혼에는 사랑은 없고 조건만 있다? →살아온 환경과 가치관이 다르면 감당하기 어렵다돈이 많거나 외모만 뛰어나면 된다? →재산과 외모보다는 명성과 능력이 중요상류층은 결혼 상대자가 넘쳐난다? →신분 차이와 소문 때문에 오히려 만남이 쉽지 않다 이방현 기자 2008.01.31 10:2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