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CJ제일제당-대상-사조, 유전자변형농산물 미표기 논란
유전자변형농산물(GMO)을 대량 수입하는 CJ제일제당과 대상, 사조가 관련 제품에 GMO 표시를 전혀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소비자정의센터는 1일 각 업체 홈페이지에 등록된 제품 1077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콩·대두·옥수수를 원재료로 표시한 전제품(386개)에 GMO 표시가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이 중 266개 제품은 원산지조차 표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업체들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GMO를 수입하는 친GMO 기업들로, 경실련은 이들 제품 중 대부분에 GMO 원재료가 사용된 것으로 보고 있다. 3사의 수입량은 전체 GMO 대두와 옥수수의 69%에 해당한다.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3년간 CJ제일제당이 수입한 GMO 대두는 166만8000톤(68%), 사조해표는 93만톤(35%)이며, 대상은 전체 GMO 옥수수의 45%를 수입했다.
이처럼 GMO 표기가 전혀 이뤄지지 않는 까닭은 현행 표시 제도에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현행 '유전자재조합식품 등의 표시 기준'을 보면, GMO 표시는 ▲원재료 5순위 내 포함 제품 ▲DNA 또는 외래 단백질이 남아있는 제품에만 한정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식용유를 비롯한 많은 제품이 표시 대상에 제외되며 GMO 표시 제도 자체가 유명무실해졌다는 지적이다.
이와관련 CJ제일제당 관계자 역시 "자사에서 생산하는 제품 중 GMO를 사용한 제품은 콩기름 제품과 카놀라유 제품이 전부"라며 "유전자 변형의 흔적은 단백질로 남는데, 이 제품들의 경우 지방 100%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규정에 따라 GMO 표기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경실련 관계자는 "GMO가 발육기능, 면역력, 위장기능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 최근에는 GMO가 종양을 악화시키고, 간과 신장의 손상을 가져오며 불임 가능성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까지 보고됐다"며 "GMO의 유해 가능성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유명 식품업체들이 GMO 사용 여부를 표기하지 않는다면 소비자들의 알권리와 선택권을 빼앗는 것"이라고 말했다.
경실련은 향후 GMO 용어 통일과 완전 표시제의 도입을 위한 국회 및 정부의 결단을 촉구할 계획이다. 이어 합리적인 GMO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실태조사·토론회 개최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이소은 기자 luckysso@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