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전 회장은 21일 서울 신문로 축구회관에서 실시된 제53대 대한축구협회장 선거에서 표를 행사한 선거인단 만장일치로 재선에 성공했다. '현대가(家)의 권력'이 느껴지는 부분이다. 정 회장은 취임사에서 "내 능력이 부족하거나 몰라서 못하는 것은 어쩔 수 없겠으나 내가 할 수 있고 내가 알고 있는 것은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정 회장은 어떤 노력을 하겠다는 얘기인가. 3년6개월 전인 2013년 1월 제52대 협회장에 당선된 정 회장과 집행부는 과거 부패와 구태를 반복하지 않겠다고 공언했지만 허사였다. 정 회장은 그때 "각종 비리를 일소하고, 윤리 의식 강화에 힘을 쏟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정몽규 사단은 당시 시작부터 도덕성이 결여된 행보를 보였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첫 집행부 구성부터 비리 심판을 대한축구협회(KFA) 심판위원장으로 앉힌 것이다. 한국프로축구연맹 심판위원장을 지낸 A씨는 문제가 많은 인사였다.
A씨는 축구계에서 악명이 파다했다. 연맹 위원장 시절 각종 구태를 보이며 비리를 일삼은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었다. 집행부 중 선임이 가장 늦은 것도 A씨에 대한 이견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KFA는 이런 인물을 당당히 심판위원장으로 모셨다. 어떻게 가능했던 것일까. 정몽규 사단 중 실세라 불리는 한 간부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얘기가 자자했다. 실세와 A씨가 오래전부터 막역한 사이라는 것은 축구계에서는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이다. 결국 이 부도덕한 심판위원장은 그해 5월 심판 체력 테스트 과정에서 특정 심판을 비호했다는 사실이 드러났고, 급기야 올해 6월에는 심판 상납 비리의 온상으로 밝혀져 검찰 수사까지 받았다. 심판의 폐쇄적 파벌주의의 단면을 보여 주는 장면이었다. 당시 KFA는 쉬쉬하다 언론에 보도가 되자 긴급히 특별징계위원회를 열었지만 7개월이 지난 시점에서야 A씨의 권고사직을 발표하는 등 뒷북 행정의 전횡을 보였다.
신임 정 회장은 그 당시 이런 중차대한 사안을 '능력 부족'이라 몰랐던 것일까, 아니면 A씨를 방어한 'KFA의 실세'를 구제하기 위해 알고도 방관했던 것일까. 문제는 이처럼 최악의 인사를 단행했던 집행부가 모두 모르쇠로 일관하며 지금까지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점이다.
◇비리 심판을 심판위원장에 앉힌 도덕불감증
"당시 심판위원장 선임은 집행부의 정책적 선택이라 거기에 대해서는 할 말이 없다."
A씨를 심판위원장으로 선임한 배경을 묻는 질문에 KFA 한 관계자가 내놓은 답변이다. 문제는 2013년 5월 심판 비호 사건은 '비호' 자체로 끝나지 않았다. 최근 전북 현대의 심판 매수 사건으로 한국 축구가 뒤집어졌다. 그리고 지난달 6월 검찰 조사에서 말로만 떠돌던 심판의 상납 구조가 낱낱이 드러났다. 당시 심판 배정권은 심판위원장이 독점하고 있었다. 엄청난 권력을 휘두를 수 있는 자리였다. 심판 배정권을 가진 심판위원장에게 좋은 배정을 받기 위해 심판이 주기적으로 돈을 상납한 정황이 밝혀진 것이다.
여기에 관련된 핵심 인물도 다름 아닌 A씨였다. A씨는 연맹 심판위원장 재임 시 이런 행태를 보였다. 공교롭게도 연맹 총재였던 정 회장의 임기와 겹치는 시기가 있다. 그런데도 KFA회장이 된 뒤 A씨의 손을 다시 잡았다.
다시 한 번 묻고 싶다. 정말 정몽규 사단은 A씨의 행태를 몰랐을까. 소문이 파다했던 일을 알고도 모른 척한 건 아닐까. 몰랐다면 인물 검증을 제대로 하지 못한 책임이 있다. 알고 선임했다면 돌이킬 수 없는 큰 범죄를 지은 것이다. 어떤 이유라도 책임을 통감해야 했다. 하지만 인사 실패에 대해 이해할 만한 해명조차 없었다. 다들 숨기 바빴다.
◇ 조중연 전 회장을 다시 모신 이유
조중연(70) 전 협회장은 정 회장이 취임하기 전 51대 협회장을 지냈다. 2013년 1월 퇴임했다. 그런데 조 전 회장이 퇴임 뒤 2년 만에 다시 KFA에 입성했다. KFA는 지난 4월 조 전 회장을 축구발전자문으로 위촉했다. KFA는 개인 사무실, 승용차, 운전기사까지 제공하는 등 극진히 모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 전 회장은 왜 다시 KFA로 돌아왔을까. 임기 동안 숱한 구설수와 논란을 보면 선뜻 이해가 되지 않는 인사다. 조 전 회장 집행부는 조광래(62) 전 대표팀 감독을 밀실에서 경질했고, 선수 선발에 관여하는 등 구태를 드러냈다. 또 비리 직원에게 위로금을 지급했고, 자신의 측근들을 협회에 취직시키는 인사 문제도 있었다. 특히 2012 런던올림픽에서 나온 독도 세리머니와 관련 일본에 머리를 숙이는 듯한 이메일을 보내 굴욕 외교라는 꼬리표마저 붙었다.
평가가 부정적인 인사를 정몽규 사단이 다시 불러들였다. 많은 이들이 '정치적인 영입'으로 보는 이유다. 한 축구인은 "다음 선거를 위함이 아니겠는가. 정몽규 회장 반대 세력을 막기 위한 장치다"고 주장했다. 정 회장과 대립하는 반대파를 포섭할 수 있는 능력을 산 것이나 다름없다는 설명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조 전 회장을 자문에 위축한 것을 협회는 적극적으로 알리지 않고 있다. 왜 그러겠는가"라고 말했다. 예상은 맞아떨어졌다. 출마가 유력시됐던 한 후보는 결국 출마를 포기했다. 21일 열린 협회장 선거에서 정 회장은 경쟁자 없이 단독 출마했다. 총 106명의 선거인단 중 98명이 표를 행사했고 98표의 찬성표가 나와 만장일치로 당선됐다.
◇ 무너지지 않는 '현대가 카르텔'
'현대가(家) 카르텔'은 KFA를 지배하고 있는 힘이라고 불린다.
현대가 '제 식구 감싸기'가 만연하고 있다. 현대가 출신 인사는 물론이고 현대가 출신의 특정 업체에 일을 몰아주는 것은 이제 놀랄 일도 아니다.
대표적인 업체가 FC네트워크(이하 FCN)다. 2000년 회사 설립 이후 KFA 마케팅 대행사 자리를 차지한 FCN은 지난 16년 동안 KFA 스폰서십과 관련된 대부분의 일을 도맡아 해 왔다. FCN은 현대그룹 광고 대행사인 금강기획에서 시작된 현대가 출신 기업이다. 꾸준히 협회와 유착 의혹을 받아 온 업체이기도 하다. KFA 간부가 FCN 감사와 이사로 재직한 사실도 드러났다. 이 문제로 2005년 국정감사까지 받았다. 또 조중연 전 회장이 임기 말에 중계권 계약을 FCN에 몰아주려다 비난을 면치 못한 사건도 있었다.
한 스포츠 마케팅 업자는 "설립 초창기에 KFA의 알짜 사업을 따내는 것은 '현대가 카르텔'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FCN은 협회의 자회사도 아닌데 자회사처럼 일한다. 이 업계 모든 사람들이 협회와 FCN의 관계에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정몽규 사단도 어쩔 수 없었다. 연결 고리를 끊지 못했다. 아니, FCN과 관계를 돈독히 하는 데 힘을 실었다. 정몽규 사단은 임기 초 A매치 중계권 계약을 FCN에 몰아줬고, 지난 1월 공개 입찰을 통해 FCN을 통합마케팅 대행사로 선정했다. 또 다른 현대가 업체 이노션과의 컨소시엄이라는 장치를 추 가한 것에 불과했다. "공개 입찰이라고? 눈 가리고 아웅이다. 다른 업체들은 병풍에 불과했다"고 한 스포츠 마케터는 탄식했다.
한 축구인은 "2002전까지 현대가는 한국 축구를 위해 정말 많이 투자했고 노력했다. 하지만 그 뒤 현대가 돈은 들어가지 않았다. 모두 스폰서로 벌어들인 돈"이라며 "아직까지 그 공을 강조하며 현대가가 우려먹고 있다. 현대가 집권이 당연한 줄 안다. 축구계에서 현대가에 인식이 좋지 않은 이들이 많은 이유다"고 고개를 저었다.
이런 부도덕적 행태 속에서도 정몽규 사단이 재집권했다. 바뀐 것이 하나도 없다. 다만 53대에서는 이런 전철을 밟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