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연은 1인자다. 최민식·송강호 등 상위 1% 연기파 남자배우들과 어깨를 견줄만한 여배우를 꼽는다면 전도연이 유일무이하다. '배우들이 존경하는 배우' '후배들이 꼽는 롤모델' '함께 연기해 보고 싶은 파트너' 등 모든 워너비에는 늘 '전도연'이라는 이름 석자가 있다. 그런 면에서 대한민국 최초 '칸의 여왕'이 전도연이라 참 다행이다.
전도연은 솔직하다. 너무 솔직해 당황스러울 정도. "속닥거리지 말고 앞에서 그냥 다 얘기해~" "나이드니 얼굴 살만 쭉쭉 빠져 큰일이다"고 말하는 전도연 앞에 '척'이라는 단어는 없다. 작품 속 늘 예민하고 완벽에 가까운 연기를 펼치지만 카메라 밖으로 나오면 언제 그랬냐는 듯 도도함을 벗어 던진다. 꾸밈없는 자연스러움 역시 독보적인 매력. 화장기 하나없는 얼굴은 전도연의 가장 큰 무기다.
전도연은 데뷔 26년 차다. 20여 년간 톱배우 자리를 유지하며 더 이상 올라갈 곳 없이 올라선 전도연에게도 2016년은 조금 특별하게 남는다. 영화 '무뢰한'으로 제52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최우수여자연기상을 수상했다. 11년 만의 브라운관 복귀작 tvN '굿 와이프'도 성공적이다. 두 작품에서 전도연이 맡은 캐릭터의 이름은 공교롭게도 모두 '김혜경'. 전도연은 "전도연보다 김혜경이 더 익숙한 순간이 있었다"며 김혜경에 대한 애정을 끝없이 표했다.
백상예술대상 수상 직후 전도연과의 만남을 고대했지만 당시에는 전도연이 어떠한 것에도 신경쓰지 못할 정도로 '굿 와이프'에 푹 빠져있었다. 결국 '굿 와이프' 종영 시기 백상 수상 뒤풀이가 진행됐고 두 명의 김혜경에서 전도연으로 완벽하게 돌아온 순간 마주할 수 있었던 전도연이다.
시청자들은 매주 두 번 씩 볼 수 있는 전도연에 환호했지만 정작 본인은 하루 25~26회차 촬영을 소화하며 지옥같은 시간을 보내야 했다. 잠 못자는 강행군 속에서 결국 스스로를 이겨냈고 어려운 숙제를 끝냈다. 한결 홀가분해진 표정으로 "더 이상 혼자만 잘한다는 소리를 듣고 싶지는 않다"고 고백한 전도연은 "상을 받아도 연기상보다 작품상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고 간절해졌다. 백상때 감독님이 함께 감독상 후보에 올랐는데 끝나고 '무뢰한' 팀과 맥주 한 잔을 하면서 너무 큰 행복을 느꼈다. 드라마를 끝낸 후에도 이 사람들과 더 하고 싶다는 마음이 컸다"고 밝혔다.
드라마 종영 후 만난 전도연은 홀가분했다. 앞서 말했듯 꾸밈없는 소탈함이 그의 매력. 배우병과 담쌓은 매력에 빠져들자 어느덧 샴페인 세 병을 비웠다. 특유의 웃음인 "허허허헝. 너무 기분이 좋아요. 그냥 모든 게 다"라며 세 시간 뒤 자리를 떠났다.
>>2편에 이어
-'칸의 여왕'이라는 수식어가 아직도 따라다녀요. "칸에서 상을 받았으니깐요.(웃음) 사실 부담스럽긴한데 그 부담이라걸 생각하다보면 끝이 없어요. 기대를 뛰어넘을 수 있는 사람이 되면 좋겠지만 주어진 것에 최선을 다하자고 생각해요. 다행히 가지지 못한 것에 대한 포기가 빨라요.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지만 포기해야 할 일이 있다면 집착하지 않고 수긍한 후 내가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는 편이에요."
-칸에서 수상과 심사위원 이후 달라진 게 있나요. "그런 건 없어요. 사람들이 제가 연금받는 줄 알더라니깐요.(웃음) 다만 양조위는 영화 '화양연화'로 칸에서 상을 받았는데 중국에서 전 세계인을 초청해 국가적인 파티를 열었다고 하더라고요. 문화적인 존중인거죠. 혼자 잘해서 받은 상이 아니니까. 나라를 홍보하는데도 잘 이용한 것 아닐까 싶어요."
-헤어스타일 변화도 눈에 띄었어요. "극 초반 헤어스타일 답답하지 않았나요. '컷' 할때마다 머리칼 만지는게 스트레스였어요. 이렇게 앞으로 모았다고 옆으로 넘기고 또 몇 가닥 넘기고… 누가 보면 목 아픈여자인 줄 알았을걸요. 16회까지 이 스타일을 고집한다는게 무서웠어요. 변화를 준답시고 나중에 앞머리칼을 잘라냈는데 나중에 첫 스타일이 예쁘다는걸 알았죠. 그리곤 질끈 묶기도 하고 뭐 마음대로였죠.(웃음)
-최근 영화 흥행 성적이 썩 좋진 않아요. "영화 흥행도 그 배우의 몫이긴 하죠. 투자한 사람이 있고 대중이 많이 본다는게 그 배우의 흡인력이기도 하고요. 그런 점에서는 조금 모자를 수 있지만 언젠간 최다 관객 영화를 할 수도 있고 또 언젠간 다른 의미로 좋은 성적을 거둘 수도 있겠죠."
-연기에 대한 부족한 점이 있나요. "그럼요. 이번에 특히 느낀게 김서형·나나 등 모두들 대사 전달력이 정말 좋더라고요. 저는 감정적으로 대사를 전달하는 건 자신 있는데 어떤 정보를 전달할 때 너무 괴로워요. 그래서 나름 힘을 줘 말을 또박또박 하려고 했는데 입이 삐뚤어지더라고요. 화면을 보며 '내가 평소에 저렇게 말하나' 싶을 정도였어요."
-실제로 '굿 와이프'인가요. "잘 모르겠어요.(웃음) 그냥 평범해요. 너무 남편만 사랑하는 것도 아니고 과거에는 내 인생 전부가 사랑이라고 생각했거든요. 사랑 없으면 죽을 것 같고 결혼하고 아이 키우면서 사랑만으로 살아지는 게 아닌 것 알았어요. 중요한 건 믿음이에요. 틀을 깨지 않고 사는 게 결혼이잖아요."
-딸도 배우를 하겠다면 어떨까요. "글쎄요. 지금은 하고 싶다는 게 많을 나이인데 정확히 엄마 직업을 잘 몰라요. 배우라는 직업이 어떤 건지 정확한 인식은 없는 것 같은데 이왕이면 다른 직업을 선택했으면 좋겠어요. 배우를 한다고 해도 말리진 않을텐데 그래도. 딸 자랑이지만 예뻐요. 이마와 코가 저랑 닮았고 남편과 잘 섞였어요."
-추석이에요. 어떻게 보내나요. "여느 며느리와 다를 게 없어요. 모여서 추석 음식 만들어 제사 준비하고요. 특이한 건 없어요. 화면 밖에선 저도 명절증후군을 겪는 평범한 주부니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