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단종 사태까지 부른 '갤럭시노트7'(이하 노트7)의 발화 원인을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최종 결론지었다. 노트7 자체에는 이상이 없고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다는 것이다. 배터리 제조사의 잘못으로 떠넘긴 셈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같은 결론에 실망감을 나타냈다. 원인을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했고 삼성전자 자신의 잘못은 전면 부인했다는 이유에서다.
삼성전자 "배터리 제조 결함"
삼성전자는 23일 삼성 서초사옥에서 노트7 발화 원인을 '배터리 제조 오류'라고 발표했다.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은 "노트7의 발화 원인으로 추정되는 여러 가설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전면 조사를 실시했다"고 말했다. 고 사장은 "고속 충전을 할 때와 아닐 때, 방수 기능의 영향, 백커버 장착·미장착 등 여러 상태에서 조사를 했지만 소프트웨어 오작동에 의한 연관성은 없었다"고 했다.
고 사장은 "제품뿐 아니라 부품 검증·제조·물류 등 유통 측면에서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소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이점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결론적으로 삼성전자가 배터리 제조사에 요구한 설계에는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대신 노트7에 배터리를 제조·공급한 삼성SDI와 중국 ATL의 배터리 제조 공정에서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이 삼성전자의 주장이다.
고 사장은 "휴대전화의 각 모델별로 배터리의 제조와 공정이 다르게 이뤄지기 때문에 무선사업부 내에서도 제품마다 배터리가 다르다"며 "배터리 제조사에는 디자인을 소형으로 하고 용량은 3500mAh 등으로 제시했지만 소손의 문제가 된 배터리의 분리막 사이즈를 요구한다는 등의 지식은 당시에 없었다"고 했다.
이번 노트7 발화 원인 분석에 참가한 해외 전문기관들도 이날 배터리 자체 결함이 문제였다고 입을 모았다.
글로벌 과학회사 UL은 "제품 레벨에서 노트7 소손과 연관된 문제를 발견할 수 없었다"며 "A배터리(삼성SDI)와 B배터리(ATL)의 결함이 소손 유발 요인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전문가·외신 "삼성전자 잘못"
삼성전자의 결론에 전문가들과 외신은 의문을 제기했다.
2차 전지 전문가들은 오히려 삼성전자에서 지나친 주문을 배터리 제조사에 넣었다고 주장했다.
박철완 전 차세대전지연구센터 센터장은 "삼성전자는 배터리 제조사에게 지나친 요구를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며 "이번 사태의 경우에도 삼성전자가 지나친 요구를 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 전 센터장은 "삼성전자의 이번 발표는 결함을 찾은 것이지 발화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고 보기에는 부끄러운 수준"이라며 "개선책에서는 배터리 검수 강화뿐 아니라 소프트웨어와 알고리즘도 강화하겠다고 했는데 원인과 개선책의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결국 삼성전자의 발표는 '원인을 찾지 못했다'가 돼야 했다"고 주장했다.
일부 외신도 이날 결론에 대해 비판했다.
뉴욕타임즈는 "삼성전자가 경쟁사 및 후발주자를 의식하고 급하게 제품을 만든 것이 사태를 키웠다"며 "노트7에 방수·홍채인식 등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면서도 자신들이 아직 선두주자라는 점을 증명하고 싶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성급함 때문에 결국 배터리 설계의 오류를 불러왔다는 것이다.
일부 소비자들도 삼성전자의 결론을 흔쾌히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들은 "배터리가 문제라면 배터리 교체만 하면 되는데 왜 리콜에 단종까지 했느냐"며 의문을 보였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에서 배터리 제조사에 구체적인 배터리의 설계까지 요구하지 않았다"며 "설계하고 제조하는 것은 제조사의 노하우에 따라 자체적으로 이뤄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