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중 가요 중에서 레게는 낯선 장르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스컬은 음악을 시작한 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 한 번도 레게의 품을 벗어난 적이 없다.
최근엔 하하와 손을 잡고 예능에서도 레게 알리기에 나섰다. 레게신의 발전을 위해 정성을 쏟았고, 레게의 본 고장인 자메이카에서 먼저 스컬을 알아봤다. 지난해 9월엔 세계적인 뮤지션 밥 말리의 아들이자 다수의 그래미 시상식 수상자인 스티븐 말리와 함께 '러브 인사이드'로 자메이카 차트 1위를 달성했다.
하지만 아직도 국내에서의 레게신은 미약하다. 그는 "예능으로 많이 알려졌지만 아직 부족하다. 힙합신처럼 부흥이 일어났으면 좋겠다"며 "레게가 허름한 옷을 입고 음악을 하지만, 사실 가난하지 않다. 레게 정신이 험블하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 뿐"이라며 웃음을 보였다. 이하 일문일답.
- 다른 아티스트와 작업할 때 힘들었던 점은.
"외부 아티스트 같은 경우는 그 친구가 뭘 하고 사는지, 듣는 음악이 뭔지도 모르기 때문에 멜로디를 보낼 때 어떤 결과물이 나올지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다. 좋은 게 올 수도 있고 안 좋을 수도 있지 않나. 어떤 방향성을 정해서 보내면 창작자에 대한 배려가 없게 느껴진다. 오랜만에 외부 아티스트들과 작업을 했는데 둘 다 내가 생각했던 레벨보다 높아서 좋았다."
- 해외 아티스트들과 작업할 때도 같은 고민을 하나.
"당연하다. 가끔 1을 해달라고 보내면 10을 해서 보내줘서 '이걸 잘라서 써도 되나'라는 고민을 한 적도 있다. '잘랐다고 화내면 어쩌지'라는 생각이 들더라. 과감히 몰래 잘랐다.(웃음)"
- 해외 아티스트들의 작업 방식인가.
"국내와 해외 차이는 아니고, 그분이 그냥 기분이 좋았던 것 같다. 버벌진트도 8마디 요청했는데 16마디를 가져왔다."
- 레게라는 장르가 한국에선 취약하다.
"레게로 많이 알려져 있는 내가 앨범을 많이 냈어야했는데 지난해 두 곡만 발표했다. 그래서 올해는 못 도망가게 날짜를 타이트하게 잡았다. 레게를 더 널리 알리려고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 취약한 기반을 넓히기 위해 해야할 일이 있다면.
"아무래도 인디보다 스컬과 하하가 인지도가 있기 때문에 책임감이 있다. 개인적인 명예와 욕심이 있지만 레게신을 위해서 활발하게 활동을 해야 앞으로도 우리나라에서 레게가 없어지지 않을 것 같다. 올해 목표 중 하나가 레게가 힙합신처럼 유명해지는 거다. 이는 아티스트 한 명이 떠서 될 일은 아니다. 과연 '그게 뭘까'라는 회사에서 회의를 많이 했다. 그 답은 내가 솔로로서 곡을 많이 발표는 것이었다.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들으시는 분들이 재미를 느꼈으면 좋겠다."
- 레게 본고장에서도 인정 받았는데 한국에서의 인지도는 아직이다. 섭섭하진 않나.
"섭섭한 건 없다. 떼쓴다고 될 문제는 아니지 않나. 내 음악이 그 정도인 것 같다. 변명은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그래서 이번 앨범에 고민을 하고 더 좋은 곡을 내려고 고뇌의 시간을 거쳤다. 운도 따라줘야 한다. 반짝 사랑 받는 것 보다 롱런하는게 중요할 것 같다."
- 1위를 하고 싶나.
"모든 가수들이 1위하고 싶은 건 똑같겠지만 내 음악이 레게의 매력을 발산하기에 좀 모자랐던것 같다. 하지만 1위를 해 본 적이 없기 때문에 내려 가 본 적도 없다. 이제 올라갈 일만 있다."
- 차트 욕심이 있다.
"차트 욕심 있긴 하다.(웃음) 무조건 높으면 좋겠지만. 계획 했던 대로 10개의 디지털 싱글을 내면 성공이라고 자축할 것같다. 작년에도 안 냈으니까.(웃음)"
- 어떤식으로 성공 여부를 판단할 건가.
"항상 음악하는 친구나 동생에게 하는 말이 있다. 바로 '지금 곡을 쓰는 이 순간, 네가 펜을 잡고 있는 이 새벽에 성공과 실패가 결정된다. 프로모션을 하고, 인터뷰를 하고, 뮤직비디오를 잘 찍느냐에 승패가 갈리지 않는다'다. 이 순간 집중해서 좋은 음악을 만드는 게 성공인 것 같다. 최소한 내 음악을 좋아한다면 찾아서 듣는다. '스컬 음악은 좋아' '역시 스컬' 등의 평을 듣는 게 성공이다. 앨범을 몇 장 팔았다는 건 성공의 척도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