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브 '서울메이트'는 10일 서울 영등포구 타임스퀘어 아모리스홀에서 장서희·김준호·김숙·이기우·박상혁PD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작발표회를 열었다.
'서울메이트'는 한국에 관심이 있는 외국인이 다양한 형태의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국내 연예인의 집에 방문해 2박3일간 함께 홈셰어링 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들이 함께하는 과정에서 좌충우돌하는 모습이 시청자들에게 웃음을 안길 예정이다. 또한 서울의 숨겨진 명소 등 한국인도 몰랐던 한국의 새로운 모습을 보여준다는 각오다.
'서울메이트'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관찰 예능 프로그램이다. MBC에브리원 '어서 와 한국은 처음이지'와 JTBC '나의 외사친', SBS '내 방을 여행하는 낯선 이를 위한 안내서'(내 방 안내서) 등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예능들이 쏟아지는 가운데 론칭을 알렸다. 이 때문에 '따라하기'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랐다.
그러나 '서울메이트'를 연출하는 박상혁 CP는 자신감이 넘쳤다. 박 CP는 "외국인 예능이 많아진 것이 사실이다. '서울메이트'는 외국인을 위한 프로그램이 아니다. 호스트들의 프로그램이다. 자기 집에서 게스트하우스를 하게 됐을 때 어려움을 극복해가는 과정을 담았다. 문화적 차이점이 자연스럽게 녹아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박 CP는 가장 큰 차이점으로 네 명의 호스트들이 전전긍긍하는 모습을 꼽았다. 그는 "네 명의 호스트들이 앞으로 어떻게 해볼까 하는 점이 가장 큰 차별점이다. 본인들의 집에 잠깐이 아니라 2박 3일에서 3박 4일 동안 외국인과 함께한다는 건 정말 힘든 일이다. 그러나 인생에 있어서는 즐거움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전했다.
시간대도 걸림돌이다. 토요일 프라임 시간대를 편성 받았다. 동시간대엔 MBC '무한도전'과 격돌한다. 박 CP는 "시간대는 얘기하기 조심스럽긴 하다. 쉬운 시간대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경쟁 프로그램들이 오랫동안 사랑을 받았다"며 "우리 나름대로 색깔이 있고 관찰예능의 매력이 있기때문에 단시간에 좋은 성과를 내기는 어렵겠지만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서울메이트'의 첫 회 관전 포인트는 단연 '첫 만남의 떨림'이다. 박 CP는 "외국인들 각자의 캐릭터, 호스트와의 친구가 돼가는 과정이 흥미롭게 담기기 때문에 사랑을 더 받을 것 같다. 낯선 사람과 차이점을 극복해가는 과정들이 흥미롭게 담길 예정"이라며 편성에 자신감을 보였다. '서울메이트'에는 장서희·김준호·김숙·이기우가 출연해 외국인과 생활한다. 각자 어떤 새로운 모습을 보여줄지 관심사.
이준석 PD는 각 호스트들의 장점들을 파악해서 외국인을 섭외했다. 이 PD는 "김숙이 보험이라 첫 촬영이었다. 감히 테스트용이라고 말할 수 있다. 김숙의 매력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여자들을 섭외했다. 이기우는 영어에 대하는 두려움이나 외국인을 대하는 데에 두려움이 없었다. 이런 점이 호감으로 다가갈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김준호는 '얍쓰' 캐릭터 성향이 강해서 자기가 안 할 것 같아서 자기가 스스로 할 수밖에 없는 외국인을 섭외했다. 장서희는 앞선 호스트들과 똑같은 루틴이 생길까 봐 가장 어려운 과제를 드렸다. 바로 대가족이다. 가장 고생을 많이 하고 촬영일도 가장 많았다. 진땀을 많이 흘렸을 것"이라며 각 호스트들의 관전 포인트를 전했다.
호스트들도 프로그램에 자신감을 보였다. 김숙과 장서희는 외국인을 자신의 집에 초대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낄 법했지만 흔쾌히 허락했다. 또한 의사소통의 두려움도 금방 극복했다.
김숙은 "영어는 못 하지만 외국에 가도 충분히 말이 통해서 일부러 영어 배우지 않았다. 몸으로 부딪히면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있었다. 그래서 나중에 통역하는 분을 불렀는데 대충 뜻은 통했더라. 얼토당토않은 대화를 한 게 아니더라"고 말했다. 이어 "대신 오해는 있었다. 윤정수 씨와 찍은 사진이 있었고, 재능기부 때문에 아기를 안고 있는 사진이 있었다. 그런데 설명할 길이 없어서 그냥 '맞다'고 했다. 그분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갔는진 모르겠지만 해코지는 하지 않았다"며 웃음을 보였다.
김숙은 자신의 꿈인 게스트하우스 주인을 이루기 위해 '서울메이트'를 이용하고 있었다. 그는 "인심 좋은 아줌마가 있는 게스트 하우스를 하고 싶은 생각이 있기 때문에 제2의 직업을 생각한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