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하정우(40) 천하'다. 1년6개월의 공백은 역시 단순한 공백이 아니었다. 열일한 결과를 흥행으로 보답받는 짜릿함. 몇 번을 경험했을 하정우에게도 동시기 개봉한 두 작품이 역대급 성과를 일궈내고 있는 이 과정은 분명 색다른 경험일 것이다.
영화 '신과함께-죄와 벌(김용화 감독)'이 개봉 9일만에 누적관객수 600만 명을 돌파하며 박스오피스 1위를 지키고 있는 가운데, 한 주 늦게 등판한 '1987(장준환 감독)' 역시 만만치 않은 스코어를 자랑하고 있다. 12월 개봉한 세 작품 중 두 작품에 출연한 하정우의 영화가 쌍끌이 흥행을 이끌고 있는 상황. 하정우의 진가는 현재 진행형이다.
섣부르긴 하지만 지금까지 분위기로 본다면 '신과함께'는 2018년 첫 1000만 영화 등극이 사실상 확정이다. 하정우로서는 '암살(최동훈 감독)' 이후 두 번째 1000만 기록이다. '1987'은 개봉 직후 관객들의 이구동성 호평 속 '역대급 인생 영화'라는 찬사를 받고 있다. 흥행과 작품성 두 마리 토끼를 '또' 다 잡은 하정우다.
하정우는 공식적으로 '신과함께' 팀과 언론 인터뷰를 진행했지만 분량은 작정이라도 한듯 딱 '절반'으로 나눴다. '신과함께' 이야기를 신나게 하다가도 "그럼 우리 다시 '1987'로 돌아갈까요?"라며 천연덕스럽게 두 영화를 야무지게 홍보한 것. 무대인사도 어느 한 작품 섭섭함 없이 열심히 소화할 계획이다.
타고난 영리함은 여전하다. 쏟아지는 홍보 일정으로 매일 매일 스케줄이 빼곡하다. 성탄절 연휴는 물론 연말에 새해까지 관객들과 함께 한다. "뇌가 하나 더 있었으면 좋겠다"고 토로한 하정우지만 하정우이기에 할 수 있는 행복한 고민이기도 하다. 힘들어도 잊지 못할 12월이 아닐 수 없다.
※인터뷰②에서 이어집니다. - '신과함께'과 '1987'이 동시기 개봉한다고 해도 너무 다른 장르라 보는 재미가 있다. "구성부터 다르다. '신과함께'가 병렬식으로 진행된다고 하면 '1987'은 한 사건을 다룬다. 사실적인 작품이고 그런 부분에서 조금 더 집중돼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대신 '신과함께'는 다채로워 보이겠지. 어드벤처 영화 같은 느낌이다. 내 기억 속 '쥬라기 공원' '반지의 제왕' 같은 영화들이 떠오른다.."
- '신과함께'를 찍으면서 느낀 현실적 깨달음이 있을 것 같다. "1년 동안 찍으면서 '효도 해야겠다'는 생각ㅇ르 제일 많이 했고, '옛 어른들 말씀 하나 틀린 것 없다'는 생각도 했다. 오래 전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전 시대, 전 세대를 통틀어 변하지 않는 진리들이 있다. '그런 것들만 기본적으로 잘 지키고 살면 되겠구나' 싶었다."
- 잘 지킨다고 생각하나. "난 도덕적인 편이다. 진리를 잘 지키고 살았다고 자부한다. 뭐 그렇다고 지옥 재판이 자신있는 것은 아니다.(웃음) 기도할 때 늘 '알고 지은 죄, 모르고 지은 죄 모두 용서해 달라'고 한다. 나도 그렇지만 대부분의 사람들 역시 모르고 지은 죄가 더 많을 것이다."
- 어떤 면에서? "간접 살인에 대해 이야기 하지 않나. 요즘은 연예인 댓글을 넘어 일반인들까지 댓글 공격을 받는다. 신상을 털고 마녀사냥 하는 일들이 비일비재하게 벌어지고 있는데, 그런 것을 보면서 '무심코 던진 돌에 개구리는 맞아 죽는다. 생각하고 말해야겠다'고 매번 다짐한다. 뱉어내기는 쉽다. 하지만 그런 댓글을 쓰고 비난하는 사람들도 스스로 어떻게 괴물로 변신하고 있는지 모르는 것 같다. 자기 전에 자기 자신을 돌아보면서 타인에게 무슨 말을 했고 어떤 행동을 했는지 한번만 생각해도 괜찮지 않을까 싶다." - 차태현이 하정우의 먹성에 대해 이야기 했다. "봤다. 그러찮아도 형에게 연락이 왔더라. 그런 의도로 이야기한건 아닌데 인터뷰가 다 너 먹는 얘기만 나갔다고.(웃음) 괜찮다고 했다. 사실이니까. 하하. '신과함께'를 촬영하면서 1년 동안 회사에 출근하듯 현장에 갔다. 밖에 해가 떴는지 졌는지도 알 수 없었다. 유일한 낙이 '오늘 뭐 먹을까'였다. 처음엔 밥차로 시작해 라면 끓여 먹고, 치킨과 햄버거까지 먹다가 차츰 새로운 음식에 도전했다. 심지어 분장실 안에서 취사까지 했다."
- 그만큼 엄청 걷는다더라. "맞다. 형과 같이 작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 옆에서 별의 별 음식을 다 먹으니까 '하루종일 먹는구나' 느꼈던 것 같다. 그 이상으로 많이 걸으니까 또 신기해 하고. 기본적으로 걷는 걸 너무 좋아한다. 걷는 건 명상의 효과가 있다. 심신을 단련할 수 있다. 어떤 철학가가 '걷는 것은 자신의 업보를 없애는 것'이라고 하기도 했다. 집이 서울 잠원동인데 홍대, 잠실까지 걷는 경계 안에 있다. 다 걸어 다닌다."
- 텐트폴 영화가 두 편이다. "피곤하다. 몸이 피곤하다기 보다 머리가 너무 피곤하다. 뇌 하나가 더 있어야 할 것 같다. 이틀 연속 언론시사회를 한다는건 올림픽 결승전을 두 번 뛰는 느낌과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 나에게는 그렇다. 전혀 다른 영화에 전혀 다른 캐릭터, 완전히 다른 성격의 투자 배급사 작품이라 어질어질하다.(웃음) '신과함께'에서는 강림으로서 태도를 취하다가 '1987'에 가서는 최검사의 태도를 보여야 한다. 하루 차이로 거의 스케줄들이 다다다닥 붙어 있으니까 제 정신을 차리고 있다는 것 자체가 희한하다."
- 하정우에게도 다시 없을 경험이다. "근데 한 가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내가 '1987' 홍보를 안 한다고 하는데 무비토크 하나 빠졌다. 무대인사 비중까지 똑같이 나눴다. 그런 의혹은 일말의 싹도 없어지라는 의미에서 말씀 드린다.(웃음) 근데 난 이번이 끝이 아니라 여름에도 비슷한 상황에 처할 것 같다. '신과함께' 2편이 여름이 개봉하는데 'PMC'도 여름 개봉을 논의 중이다. 배급사에 '조율 좀 잘 해 달라'고 말해놓기는 했는데 그건 내 권한이 아니니까. 두고 보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