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르노삼성자동차가 올해 내수 10만대, 수출 17만대 등 총 27만대를 판매목표로 잡았다.
르노삼성은 13일 서울 강남구 푸르덴셜타워에서 신년 최고경영자(CEO) 기자간담회를 갖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미래 전략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도미닉시뇨라 르노삼성 사장은 “올해 르노삼성 사업 목표와 중장기 비전 달성 동력은 결국 고객”이라며 “더 많은 고객의 목소리를 더 가까이서 듣고 제품과 마케팅 활동에 빠르게 반영해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시뇨라 사장은 올해 내수 10만대와 수출 17만대 등 총 27만대의 판매목표를 제시하고, 강화된 고객 니즈 분석을 통해 제품뿐 아니라 영업, 애프터서비스(AS), 신차 도입 계획 전반에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출시한 QM6 가솔린, SM5 클래식, SM6 사양 강화 모델 등과 같이 고객의 필요를 한 발 앞서 반영한 제품을 개발하고 출시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시뇨라 사장은 올 상반기 출시를 앞둔 소형 해치백(뒷문을 위로 올리는 방식) '클리오'에 큰 기대를 걸었다.
시뇨라 사장은 "클리오는 동일 세그먼트 중에서는 유럽에서 가장 잘 팔리는 차이고 굉장히 좋은 제품이기에 연간 목표 달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기차에 집중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르노삼성은 이미 SM3 ZE 신형·트위지 등으로 국내 시장에 전기차를 내놓았는데, 이후에도 꾸준히 전기차에 신경을 쓴다는 방침이다.
시뇨라 사장은 "한국에서 앞으로 전기차가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될 것"이라며 "아직 라인업이 어떻다고 구체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분명히 잠재력이 있는 시장이고, 연말에는 EV(순수전기차)밴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르노그룹의 중기전략인 ‘드라이브 더 퓨처 (Drive the Future 2022)’를 주축으로, 그룹의 목표인 ‘수익성을 기반으로 한 지속적 성장’을 함께 실현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이를 위해 르노삼성차는 얼라이언스 차원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함은 물론, 세계 시장에서 활약하는 다양한 국내 업체와의 협업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국내에 디자인 센터, 기술연구소, 생산공장 등 완성차 제작에 필요한 모든 기반을 갖추고 있는 점을 적극 활용해, 시장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속도와 능력을 한층 더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세계적인 배터리 산업과 통신 인프라가 구축돼 있는 국내 시장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해 친환경자동차, 커넥티드카 개발에도 더욱 큰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in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