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편의점 CU(씨유)에 따르면 올해 2월 현재까지 수입 맥주와 국산 맥주의 매출 비중은 각각 60.2%, 39.8%로 나타났다.
수입 맥주 점유율이 60%를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14년까지 20% 후반대에 그쳤던 수입 맥주 점유율은 2015년 이후 꾸준히 상승세를 기록하며 지난해 국산 맥주 매출을 제쳤다.
2015년 국산 맥주 매출 비중은 58.3%, 수입 맥주는 41.7%였는데 3년 만에 점유율 수치는 정반대가 됐다.
2014년 국산 맥주는 70.8%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해마다 수입 맥주의 공세에 밀리면서 올해 40%대 점유율마저 무너졌다.
이는 최근 혼자 술을 마시는 '혼술' 문화 확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편의점 맥주 시장이 커지는 가운데 차별화된 맛과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수입 맥주에 대한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매출 신장률을 보더라도 국산 맥주는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한 자릿수에 그쳤지만, 수입 맥주는 2014년부터 매년 40% 이상의 고속 성장을 하고 있다.
올해부터 미국과 유럽연합(EU)에서 수입되는 맥주에 무관세가 적용돼 수입 맥주 수요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CU 관계자는 “지난해 맥주 수입액은 약 2억5000만 달러(약 2698억원)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며 "다양한 맥주를 맛보려는 소비자 수요와 편의점 '4캔 만원'마케팅이 젊은층의 합리적 소비코드와 맞물리며 붐을 일으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