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소매점 매출 기준으로 지난해 빙과시장 규모는 1조6837억원이었다. 이는 2016년 1조9618억원보다 약 2800억원(14.2%) 감소한 수치이다.
모든 유통채널에서 아이스크림 매출이 줄었다. 편의점 아이스크림 매출은 2013년 2995억원에서 2016년 5185억원까지 급증했다가 지난해 4949억원 규모로 주춤했다. 체인슈퍼 매출은 2013년 1274억원에서 2015년 2546억원 규모로 늘었지만, 지난해에는 2199억원 규모로 떨어졌다. 독립슈퍼는 2013년 1조4468억원 규모였으나 지난해 매출은 2816억원에 불과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아이스크림 시장이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며 "신제품을 계속 내놓고 있지만 매출이 줄고 수익성도 떨어져 적자가 난다"고 말했다.
빙그레는 올해부터 투게더와 엑설런트 등의 제품에 권장소비자 가격을 표시하고 점차 가격정찰제 제품을 확대하기로 했다. 롯데제과는 이달부터 셀렉션, 티코 등의 제품 상자에 권장소비자가격을 표기하고 있다. 롯데푸드도 이달부터 구구 제품에 권장소비자가격을 표기해 공급하고 있다. 하지만 최종 판매 가격은 소매점이 결정한다.
업계는 가격정찰제를 통해 모든 유통매장에 대한 공급가격을 일원화하고 일종의 기준가격을 제시함으로써 왜곡된 가격 구조가 바로잡히기를 바라고 있다.
'반값 아이스크림'을 흔히 볼 수 있을 정도로 소매점들은 큰 폭의 할인판매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70∼80% 할인을 내세운 아이스크림 전문 할인점도 생겨났다.
업계 관계자는 "가격정찰제 추진이 처음은 아니지만 최근 아이스크림 시장이 워낙 좋지 않고 수익이 악화하다 보니 다시 이러한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며 "가격정찰제 확대로 시장이 정상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