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남한산성(황동혁 감독)'은 마치 오케스트라 같다. 영화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가 조화롭다. 어떤 영화는 음악이 영상을 가리고, 누구 배우가 누구의 분량까지 잡아먹게 마련인데, 이 영화는 마치 견고한 남한산성의 돌 하나 하나가 쌓여나가듯 조화롭게 '남한산성'이라는 큰 그림을 그려나간다.
'남한산성'은 1636년 인조 14년 병자호란, 나아갈 곳도 물러설 곳도 없는 고립무원의 남한산성 속 조선의 운명이 걸린 가장 치열한 47일간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김훈 작가의 동명 소설을 스크린으로 옮겼다. 황동혁 감독이 글을 쓰고 연출을 맡았다. 이병헌이 청과 화친을 주장하는 최명길 역으로, 김윤석이 청과 맞서자는 김상헌 역으로 분했다. 박해일이 힘 없는 왕 인조로, 고수가 평범한 백성을 대표하는 날쇠로, 박희순이 남한산성을 지키는 수어사 이시백으로, 조우진이 청의 편이 된 조선인 정명수를 연기했다.
22일 오후 서울 강남구 메가박스 코엑스점에서 진행된 제54회 백상예술대상 '백상후보작상영제(GV)-남한산성' 편은 다소 독특한 분위기로 진행됐다. 다른 4편의 gV 행사에서는 주로 젊은 영화 팬들이 자리를 채웠는데, '남한산성'은 10대부터 5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관객들이 객석을 메웠다. 나이가 지긋한 한 관객은 엔딩크레딧이 올라가자 감격에 차 눈물을 흘렸고, 또 한 관객은 황동혁 감독의 말을 그대로 받아적으며 필기에 몰입했다. 황 감독의 연출 세계를 모두 끌어내보이려는 듯 수준 높은 질문이 이어졌고, 황동혁 감독은 관객들의 성원에 보답하듯 특유의 달변으로 천천히 답변을 해나갔다. 마치 강의실에 와 있는 듯한 풍경이 펼쳐졌다.
이하 황동혁 감독과 관객들이 나눈 일문일답.
-현장에서 애드리브로 만들어진 장면도 있나. "이 영화는 배우들이 즉흥적으로 뭔가를 만들어내기 어렵다. 현장에서 배우가 애드리브를 치는 일은 아예 없었다. 가끔 현장에서 살짝살짝 작게 위앙스 때문에 바꾸는 정도였다. 거의 계획대로 찍은 영화다."
-다른 캐스팅도 고려한 적 있나. "캐스팅은 다른 1순위가 있었어도 절대 말할 수 없지 않나.(웃음) 언제나 내 맘 속 1순위였다는 것이 공식 답변이다. 한번에 캐스팅을 수락한 분들은 없었다. 이병헌과 김윤석에게 동시에 시나리오를 드렸는데, 동시에 안 하겠다고 했다. 동시에 만나겠다고 제안해 따로 따로 만났다. 시나리오를 손을 봐 동시에 다시 드렸는데, 공교롭게도 동시에 하겠다고 했다. 쉬운 과정은 아니었다. '남한산성'은 기존 한국영화의 결과 다르다. 이 분들은 워낙 톱스타다. 보통 원톱 주인공을 하는 배우들이다. 그런데 두 사람은 이 영화에서는 분량이 50%가 안 된다. 앙상블 캐스팅 영화라고 보는 것이 맞다. 게다가 영웅이 아니다. 주인공인데 사실 하는 일이 별로 없어 보인다. 무력감을 느끼게 된다. 말을 할 뿐이다. 말의 끝은 허무한 실패다. 어떻게 이길 것인가가 아닌 어떻게 질 것인가다. 처음에 이 시나리오를 받아들이기 어려웠을 것이다. 박해일의 경우, 당시 박근혜 대통령 시적이었다. '나더러 어쩌란 말이냐'하는 하나마나한 말을 하는 왕을 보며 박근혜 대통령을 떠올릴 수밖에 없다. 그렇게 연기하고픈 캐릭터는 아니었을 것이다. 게다가 자신을 보고 있는 신하들이 다 선배들이다. 인조 캐릭터는 리액션을 하는 캐릭터다. 신하들의 말을 받아서 반응을 보여줘야 한다. 그것 자체가 힘들고 부담스러울 연기였을 것이다. 박해일은 2번 거절했다. 삼고초려했다. 바짓가랑이를 잡다시피해서 설득했다."
-작품상과 감독상, 두 상 중 어떤 상이 더 받고 싶으신가. "작품상은 제작사가 호명되지 않나. 감독이 영화를 만드는 유일한 이유는 연출력을 인정받기 위함이 아니고 작품이 인정받기 위함이다. 작품상이 감독에게 주는 가장 큰 상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