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 : 한 은행에 붙은 대출 관련 현수막. 연합뉴스전체 가계대출 중 마이너스통장과 신용대출 등의 비중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27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예금취급기관의 기타대출 규모는 401조836억원으로 1년 전 대비 9.5% 증가했다. 예금취급기관의 전체 가계대출은 983조4765억원이었다.
가계대출에서 차지하는 기타대출 비중은 40.8%로, 전 분기 대비 0.1% 상승했다. 이는 한은이 분기 기준으로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8년 1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 2014년까지 기타대출 비중은 37~39%대를 맴도는 수준이었다. 2015년 2분기부터는 이 비중이 가파르게 상승하더니 2017년 1분기 처음으로 40%를 돌파했다.
기타대출 비중이 높아진 데에는 정부가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대출 규제 정책을 시행한 탓이 크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주택담보대출 증가율은 둔화됐지만, 가계가 기타 대출로 눈을 돌리며 증가세로 이어지게 됐다.
실제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을 보면 기타대출이 2015년 3분기부터 주택담보대출을 앞지르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올해 1분기에도 주택담보대출 증가율은 5.8%로, 기타대출 증가율보다 3.7%포인트 낮았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24일 기자간담회에서 “기타대출은 연체율이 상당히 낮아 건전성은 전반적으로 양호하고 기타대출 증가도 크게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자가 비싼 기타대출이 주택담보대출보다 부실 위험이 크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기타대출은 주택담보대출보다 통상 금리가 높고 변동금리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위험성이 있다.
향후 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지거나 경기가 침체될 경우 연체 등 문제가 대두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t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