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는 2018년 2분기 매출 15조194억 원, 영업이익 7710억 원을 기록했다고 26일 공시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2%, 16.1% 증가했다.
올 상반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0조1424억 원, 영업이익 1조878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2%, 18.5% 증가했다.
역대 상반기 가운데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최대다. 상반기 매출액이 30조 원을 넘은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사업본부별 실적을 보면 H&A사업본부는 매출액 5조2581억 원, 영업이익 4572억 원을 달성해 실적을 견인했다.
매출액은 역대 분기 기준 최대이며 국내시장에서 에어컨 성수기 진입과 건조기, 스타일러, 공기청정기 등 신성장 제품의 판매가 늘며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했다. 올 상반기 매출액은 처음 10조 원을 돌파했고, 영업이익률은 9.9%다
영업이익은 원자재 가격, 환율 등의 영향에도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확대와 원가 절감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7% 늘었다.
HE사업본부는 매출액 3조8222억 원, 영업이익 4070억 원을 냈다. 매출액은 신제품 출시와 더불어 올레드 TV 등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4.1% 늘었다.
영업이익은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확대와 원가구조 개선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1% 증가했다. HE사업본부는 지난 1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이어갔다. 상반기 영업이익률은 12.4%로 두 자릿수는 이번이 처음이다.
MC사업본부는 매출액 2조723억 원, 영업손실 1854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 둔화와 중남미 시장의 중저가 스마트폰 판매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줄었다.
스마트폰 매출이 줄어들고, 전략 스마트폰 출시에 따른 마케팅 비용이 늘면서 영업손실이 이어졌다.
VC사업본부는 매출액 8728억 원, 영업손실 325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신규 프로젝트가 양산에 돌입하며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했다. 메모리 등 원자재 가격의 상승과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자원 투입의 증가로 영업손실이 이어졌다.
B2B사업본부는 매출액 5885억 원, 영업이익 390억 원을 냈다. 매출액은 대형 디지털 사이니지와 고효율 태양광 모듈의 판매가 늘며 전년 동기 대비 10.7%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확대와 원가경쟁력 개선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3% 늘었다.
LG전자는 올해 3분기에는 생활가전 부문에서 건조기, 스타일러 등 신성장 제품의 수요가 늘어나고 유럽과 중남미 등의 수요도 회복하면서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TV 시장의 경우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의 경기 침체로 수요가 다소 부진할 것으로 우려했다.
스마트폰 시장은 성장 정체와 경쟁 제품의 출시로 프리미엄 시장에서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MC사업본부는 사업구조 개선을 지속하며 ‘LG G7 씽큐’, ‘LG V35 씽큐’ 등 프리미엄 신모델의 판매 확대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t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