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전 서울 중구 삼성전자 브리핑실에서 열린 삼성 미래기술육성사업 성과 발표회에서 장재수 삼성미래기술육성센터장(왼쪽부터), 국양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 권오경 한국공학한림원 이사장이 브리핑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2022년까지 국가 미래과학기술 육성을 위해 9600억원을 투입한다. 기초과학·소재기술·ICT(정보통신기술) 등 분야가 대상이다.
삼성은 지난 2013년 8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기초과학)과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소재, ICT)를 설립해 연구지원사업을 진행해 왔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10년간 총 1조5000억원을 미래 과학기술 연구에 투입하겠다는 계획으로, 지금까지 모두 5389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했다. 이에 따라 삼성은 남은 약 9600억원을 2022년까지 투입하게 된다.
지난 8월 발표한 대규모 투자계획에 따라 연구비 지원은 당장 추가되지 않는다.
지금까지 연구비 지원은 기초과학이 149건, 소재기술 분야가 132건, ICT분야 147건 등으로 총 428건이었다. 여기에는 서울대, KAIST, 포스텍 등 국내 대학과 KIST, 고등과학원 등 공공연구소 46개 기관에서 교수급 1000여명을 포함해 총 7300여명의 연구인력이 참여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국가에서 지원하기 어려운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 과제를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육성된 기술 인력과 연구 성과가 삼성 외에도 다양한 기업·대학·연구소·스타트업 등에 공유하는 개방형 혁신(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삼성은 삼성 미래기술육성재단을 통해서는 기초 과학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를 통해서는 AI(인공지능), IoT(사물인터넷), 차세대 통신, 반도체, 바이오 등 4차 산업혁명 기반 미래기술 지원을 확대해, 과학계를 중심으로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미래기술육성센터 장재수 전무는 “연구비 지원뿐만 아니라 삼성의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한 차별화된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 성과 제고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