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가 본질적인 기능에 집중한 2019년형 LG 디오스 김치톡톡 신제품 40종을 선보인다고 12일 밝혔다.
신제품은 스탠드식 26종, 뚜껑식 14종 등 총 40종이고 용량은 128리터(ℓ)에서 836리터까지다.
LG전자는 김치냉장고의 본질이 김치를 맛있게 오랫동안 보관하는 데 있다는 것을 감안해 모든 신제품에 디오스 김치톡톡의 차별화된 신선기능인 ‘New 유산균김치+’를 기본 탑재했다.
지난해까지 주로 프리미엄 제품에 탑재했던 기능이었지만 올해는 가장 저렴한 뚜껑식 1도어 모델까지도 모두 적용했다.
‘New 유산균김치+’는 김치의 감칠맛을 살려주는 유산균을 일반 보관모드에 비해 최대 57배까지 늘려 김치를 오랫동안 맛있게 보관해준다. 고객들은 ‘유산균 디스플레이’를 통해 김치의 상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 LG전자는 스탠드식 전 제품에 냉각-순환-유지로 이어지는 ‘3단계 냉기케어시스템’을 적용했다.
냉기를 고르게 뿌려주는 ‘4D 입체냉각’, 6분마다 냉기를 순환시켜 온도편차를 최소화하는 ‘쿨링케어’, 별도 칸막이를 사용해 냉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한 ‘냉기지킴가드’ 등이 냉장 성능을 높였다.
LG전자 측은 "차별화된 정온기술을 구현하며 김치를 맛있게 숙성시킬 수 있는 것은 LG 냉장고의 차별화된 핵심부품인 ‘인버터 리니어 컴프레서’ 덕분"이라고 말했다. LG전자는 스탠드형 전 모델에 인버터 리니어 컴프레서를 적용했다.
리니어 컴프레서는 모터가 ‘회전’ 대신 ‘직선’으로 운동을 하는데, 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이 적어 일반 인버터 컴프레서보다 효율이 18% 이상 뛰어나다.
부품 구조가 단순해 내구성도 유리하다. 또 모터의 속도를 자유자재로 구현하는 인버터 기술은 보다 정밀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다.
400리터대 제품은 업계 최초로 위쪽칸을 좌우로 구분해주는 ‘다용도 분리벽’을 적용해 활용도가 높아졌다. 고객들은 식재료를 보관하는 패턴에 따라 중간칸, 아래칸, 매직스페이스 등을 포함해 총 5개 구역을 활용할 수 있다. 사용하지 않는 칸만 전원을 끌 수 있다.
고객들이 주로 선택하는 400리터대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은 월 소비전력량이 12kWh다. 한 달 300kWh의 전기를 사용하는 가정의 경우 월 전기료는 2000원이 채 되지 않는다. 동일한 기준으로 300리터대 1등급 제품은 월 전기료가 1750원이다.
신제품의 출하가는 65만~425만원이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t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