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산부인과 의사들의 '낙태 수술 거부' 이후 피임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졌다. 하지만 여전히 피임을 터부시하거나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인공임신중절 실태 조사에 따르면 계획하지 않은 임신을 경험한 비혼 여성 2명 중 1명은 임신하게 된 시점에 피임하지 않았으며, 피임했다고 응답한 경우에도 질외사정법이나 자연주기법과 같이 실패 확률이 높은 피임법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사용자가 많은 커뮤니티 ‘파우더룸’과 ‘네이트판’, 여성 포털 사이트 ‘이지데이’에는 피임과 피임법에 대한 질문이 끊임없이 올라오고 있다. 최근 6개월간 '피임'을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총 759건의 피임 관련 질문과 답변 글이 게재됐다. 한 커뮤니티에서 하루 평균 1.4건씩 피임에 대한 질문이 올라오는 셈이다.
오는 9월 26일 '세계 피임의 날'을 맞아 3곳의 커뮤니티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피임 관련 질문을 선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피임제 복약 지도 매뉴얼과 글로벌 제약회사 알보젠의 도움을 받아 일문일답 형식으로 풀어 봤다.
- 성공률 100%의 피임법은 없나. "안타깝지만 없다. 경구피임약과 같이 피임 효과가 99% 이상 높은 피임법은 존재하지만, 100%의 효과를 보장하는 피임법은 없다. 평소 정확한 생리 주기를 가진 여성이라도 호르몬 상태 및 몸의 컨디션에 따라 배란일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임기 여성이라면 피임에 대해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정해 놓은 피임약 복용 시간에서 1시간만 늦어도 피임 효과에 영향이 있나. "경구피임약은 매일 일정한 시각에 복용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복용해야 하는 시점에서 경과한 시간이 12시간 이내인 경우 피임 효과에 영향을 주진 않는다. 단, 경구피임약은 불규칙하게 복용하는 횟수가 많아질수록 부정출혈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가급적 일정한 시간을 잘 지켜서 복용할 것을 권장한다. 복용해야 하는 시간에서 12시간 이상 지났다면 피임 효과가 감소할 수 있으며, 복용을 잊은 시간과 잊은 알약의 개수 및 복용 몇 주 차인지에 따라 대처법이 달라진다."
- 피임약 복용 시간을 다른 시간대로 변경하고 싶은데 언제 변경하면 되나. "정해진 복용 시간에서 12시간 이내에 변경하는 것은 피임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복용 기간 중 아무 때나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나 바꾸고자 하는 시간대가 기존에 정한 시간에서 12시간 이상 차이가 난다면 현재 포장된 약의 복용을 마치고 7일간 휴약 기간을 가진 뒤 새로 포장된 약의 복용을 시작할 때 복용 시간을 변경해 주는 것이 좋다."
- 피임약을 복용하다가 다른 약으로 바꾸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 "기존에 복용하던 제품의 마지막 정제 복용 이후 휴약 기간을 가지지 말고 다음 날부터 바로 이어서 바꾸고자 하는 제품을 복용한다. 기존에 복용하던 제품이 위약을 포함하고 있는 제품이라면 위약 정제는 버린 뒤 새 제품을 복용하도록 한다."
- 미리 피임을 계획하지 못해 사후피임약을 성관계한 다음 날에 복용했는데도 임신할 가능성이 있나. "사후피임약은 성관계 이후 가급적 이른 시간 안에 복용해야 피임 성공률이 높다. 사후피임약은 성관계 시점에서 72시간 이내에 복용하면 임신 가능성의 위험을 85% 이상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사후피임약을 복용하더라도 임신 가능성은 있기 때문에 다음 생리가 예정일보다 7일 이상 지연된다면 임신 여부를 확인해 봐야 한다."
- 피임약을 복용하기 시작한 이후 전에 없던 두통, 메스꺼움, 기분 변화 같은 증상이 생겼다. 괜찮을까. "일부 여성은 몸이 피임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복용 초기에 그런 증상을 경험할 수 있으나 보통 경미하게 나타나고, 대부분 복용을 지속함에 따라 수개월 이내에 자연적으로 줄어들거나 사라진다."
- 피임약을 복용하면서 생리 양이 줄어들고, 생리 기간이 아닐 때 부정출혈이 있기도 하다. 계속 복용해도 되나. "경구피임약을 복용하면 휴약 기간에 평소보다 생리 양이 줄어들거나 복용을 시작한 뒤 초반에 몇 개월간 불규칙한 출혈을 경험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부정출혈은 복용 기간이 지속됨에 따라 수개월 이내에 사라지게 되지만, 복용을 시작한 뒤 3개월이 지나도 부정출혈이 지속될 경우 다른 경구피임약으로 바꿔 보거나 전문의와 상담해 보는 것을 권장한다."
- 피임약을 장기간 복용해도 원할 때 임신하는 데는 문제가 없나. "경구피임약은 복용 기간 중에만 효과를 나타내며, 여성의 가임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 유럽에서 시행된 대규모 임상 연구 결과, 피임약 복용 중단 이후 임신율은 피임약 복용 기간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간혹 일부 여성들은 피임약 복용 중단 이후 정상적인 생리 주기가 회복되기까지 수개월이 소요되기도 하지만, 이는 피임약 복용 기간 동안 억제됐던 자궁내막이 다시 증식하는 데 시간이 더 소요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 피임약을 몇 달 이상 복용하면 중간에 복용을 잠시 쉬어야 한다는데. "피임약 복용 중 1~2개월씩 ‘휴식 기간’을 가지는 것은 입증된 건강상의 이점이 없으며, 오히려 휴식 기간 이후 다시 복용을 시작할 때 피임약 복용 초기에 나타나는 이상 반응을 다시 겪게 될 수도 있어 권장하진 않는다. 효과적인 피임을 위해서라면 지속적으로 피임약을 복용하는 것이 원치 않는 임신을 예방하기에 더 좋다."
- 피임약은 여성의 건강에 해롭다고 한다. 사실인가. "피임약은 처음 발명된 뒤 현재까지 60년 가까운 시간 동안 피임 효과를 유지하는 한도 내에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새로운 성분이 개발되고 함량은 지속적으로 낮춰 왔다. '머시론' 같은 현재 시판 중인 초저용량 경구피임약에 함유된 에스트로겐 성분의 함량은 최초 경구피임약에 함유됐던 에스트로겐 함량의 5분의 1 수준이다."